잡아함경-1240-248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236 / 2145] 쪽
...느니라. 그 때 세존께서 곧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단단과 율의단과 수호단과 수단 이 네 가지 바르게 끊는 법은 정각(正覺)의 말씀이시니 비구가 방편을 써서 힘써 행하면 모든 번뇌를 없앨 수 있으리라.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4념처에 대하여 설한 경에서와 같이 4정단(正斷) · 4여의족(如意足) · 5근(根) · 5력(力) · 7각지(覺支) · 8도지(道支) · 4도(道) · 4법구(法句) · 바르게 관찰하고 닦아 익힘[正觀修習]에 대해서도 또한 똑같이 말씀하셨다.
880. 불방일경(不放逸經)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비유하면 어떤 사람이 세간에서 건물을 세울 때 저 모든 것은 땅을 의지하는 것처럼, 그와 같이 비구가 선정을 닦아 익힐 때에는 모두 다 방일(放逸)하지 않음을 의지하여 근본으로 삼아야 한다. 방일하지 않는 데에서 쌓이고 방일하지 않는 데서 생기며, 방일하지 않는 데에서 더욱더 늘어난다. 비구들아, 방일하지 않은 사람은 네 가지 선정[四禪]을 닦을 수 있느니라.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1237 / 2145] 쪽
881. 단삼경(斷三經)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는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위에서 설한 것과 같으며, 다만 그와 다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이 비구들은 능히 탐욕 · 성냄 · 어리석음을 끊어야 하느니라.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탐욕 · 성냄 · 어리석음을 끊는 것에 대하여 설한 경과 같이, 탐욕 · 성냄 · 어리석음을 항복 받고, 탐욕을 끝까지 다 없앰과 성냄 · 어리석음을 끝까지 다 없앰과 출요(出要) · 번뇌를 멀리 여읨[遠離] · 열반에 대한 것도 위에서와 같이 말씀하셨다.
882. 불방일근본경(不放逸根本經)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비유하면 온갖 풀이나 약 나무는 다 땅을 의지하여 생장하는 것처럼, 이와 같이 갖가지 착한 법도 다 방일하지 않는 것을 의지하고 그것을 근본으로 삼는다.…… (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위의 소경에서 설한 것과 같다.) ……열반에 드느니라. 비유하면 검은 침수향(沈水香)은 온갖 향 중에 최상이 되는 것처럼, 이와 같이 갖가지 착한 법 중에는 방일하지 않는 것이 최상이 되고, 비유하면 단단한 향으로는 붉은 전단(栴檀)이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일체의 착한 법 중에는 일체가 다 방일하지 않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 이와 같이……(내지)……열반에 드느니라. 비유하면 물이나 육지의 모든 꽃들 중에는 우발라(優鉢羅) 꽃이 제일인 것
[1238 / 2145] 쪽
처럼, 이와 같이 일체의 착한 법 중에는 일체가 다 방일하지 않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 ……(내지)……열반에 드느니라. 비유하면 육지에 난 꽃들 중에는 마리사화(摩利沙華)[팔리어로는 mallik 라고 하며, 말리가(末利迦)라고도 쓴다. 꽃은 황금색이고 귀한 꽃다발을 만드는데 사용한다.]가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일체의 착한 법 중에는 방일하지 않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내지)…… 열반에 드느니라. 비유하면 비구들아, 모든 축생의 발자국 중에서는 코끼리 발자국이 최상인 것처럼, 이와 같이 일체의 착한 법 중에는 방일하지 않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열반에 드느니라. 비유하면 모든 축생들 중에서는 축생의 왕이라고 불리는 사자가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일체의 착한 법 중에서는 방일하지 않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열반에 드느니라. 비유하면 모든 집이나 정각 중에는 대들보가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모든 착한 법 중에서는 방일하지 않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 비유하면 또 염부(閻浮)의 과일 중에서는 염부라고 이름하는 과일이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모든 착한 법 중에서는 방일하지 않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
이와 같이 모든 구비다라(俱毘陀羅) 나무 중에서는 살바야지라(薩婆耶旨羅) 구비다라 나무가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모든 착한 법 중에서는 방일하지 않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열반에 드느니라. 비유하면 모든 산 가운데에서는 수미산왕(須彌山王)이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모든 착한 법 중에서는 방일하지 않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 …열반에 드느니라. 비유하면 모든 금 가운데에서는 염부제금(閻浮提金)이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모든 착한 법 중에서는 방일하지 않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열반에 드느니라. 비유하면 모든 옷 중에서는 가시(伽尸)라고 하는 부드러운 털옷이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모든 착한 법 중에는 방일하지 않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열반에 드느니라.
[1239 / 2145] 쪽
비유하면 모든 빛깔 중에서는 흰 빛깔이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모든 착한 법 중에서는 방일하지 않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열반에 드느니라. 비유하면 온갖 새들 중에서는 금시조(金翅鳥)가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모든 착한 법 중에서는 방일하지 않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열반에 드느니라. 비유하면 모든 왕들 중에는 전륜성왕(轉輪聖王)이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모든 착한 법 중에서는 방일하지 않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열반에 드느니라. 비유하면 모든 천왕들 중에서는 사대천왕(四大天王)이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모든 착한 법 중에서는 방일하지 않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열반에 드느니라. 비유하면 모든 삼십삼천 중에서는 제석천(帝釋天)이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모든 착한 법 중에서는 방일하지 않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열반에 드느니라.
비유하면 염마천(焰摩天) 중에서는 숙염마천왕(宿閻魔天王)이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모든 착한 법 중에서는 방일하지 않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열반하느니라. 비유하면 도솔천(兜率天) 가운데에서는 도솔천왕(兜率天王)이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모든 착한 법 중에서는 방일하지 않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열반에 드느니라. 비유하면 화락천(化樂天)에서는 선화락천왕(善化樂天王)이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모든 착한 법 중에서는 방일하지 않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열반에 드느니라. 비유하면 타화자재천(他化 自在天)에서는 선타화자재천자(善他化自在天子)가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모든 착한 법 중에서는 방일하지 않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열반에 드느니라. 비유하면 범천(梵天)에서는 대범천왕(大梵天王)이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모든 착한 법 중에서는 방일하지 않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
[1240 / 2145] 쪽
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열반에 드느니라. 비유하면 염부제의 모든 물은 다 바다로 흘러 들어가면 그 바다가 다 받아들이기 때문에 그 넓은 바다가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모든 착한 법은 모두 방일하지 않음을 따른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열반에 드느니라. 비유하면 모든 빗방울은 다 큰 바다로 돌아가는 것처럼, 이와 같이 모든 착한 법도 다 방일하지 않는 바다로 따라 나아간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열반에 드느니라. 비유하면 모든 살라(薩羅) 중에서는 아뇩대살라(阿耨大薩羅)가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모든 착한 법 중에서는 방일하지 않는 것을 제일로 삼는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열반에 드느니라. 비유하면 염부제의 모든 강 중에서는 항하(恒河) · 신두(新頭) · 박차(搏叉) · 사타(司陀), 이 네 강이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모든 착한 법 중에서는 방일하지 않는 것을 제일로 삼는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 한 것과 같다.)……열반에 드느니라.
비유하면 많은 별들의 광명 중에서는 달이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모든 착한 법 중에서는 방일하지 않는 것을 제일로 삼는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열반에 드느니라. 비유하면 몸집이 큰 모든 중생 중에서는 라후(羅睺) 아수라왕[고려대장경 본문에는 '라후라아수라(羅睺羅阿修羅)'라고 되어 있으나, 팔리본에는 '라후 아수라(羅睺阿修羅)'라고 되어 있는데, 이 명칭이 팔리어 r hu-asurinda의 음사에 더 적합하므로 팔리본의 명칭을 따랐다.]이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모든 착한 법 중에서는 방일하지 않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열반에 드느니라. 비유하면 다섯 가지 즐거움을 누리는 사람들 중에서는 정생왕(頂生王)이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모든 착한 법 중에서는 방일하지 않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열반에 드느니라. 비유하면 욕계(欲界)의 모든 신력(神力) 중에서는 천마(天魔) 파순(波旬)이 제일인 것처럼, 이와 같이 모든 착한 법 중에서는 방일하지 않는 것을 그 근본으로 삼는다.……(이 사이의...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增一아함경, 雜아함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잡아함경-1250-250 (0) | 2017.03.14 |
---|---|
잡아함경-1245-249 (0) | 2017.03.12 |
잡아함경-1235-247 (0) | 2017.03.09 |
잡아함경-1230-246 (0) | 2017.03.08 |
잡아함경-1225-245 (0) | 2017.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