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선(坐禪,참선)

수증불이(修證不二)

근와(槿瓦) 2017. 3. 7. 01:09

수증불이(修證不二)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修即證 · 證即修를 뜻하는 말로 修行이 둘이 아니라는 뜻으로 修證一等이라 한다. 禪宗에서 坐禪의 깊은 뜻은 本來成佛取道力量에 있고 깨달음을 얻기 위한 방편이라고만 하는데 있지 않음을 뜻한다.

 

참고

수행(修行) : 敎法을 몸에 지녀 갈고 닦아 실천하는 일. 불교에서는 깨달음을 찾는 마음을 발하여(發心), 願望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하고, 그 결과로서 깨달음을 펼친다고 한다. 수행이란 특히 頭陀苦行 또는 廻國巡禮란 뜻으로 쓰고 이를 행하는 사람을 修行者, 또는 行者라 부르기도 한다. 성문 · 연각 · 보살이 각각 究極의 경지에 이르기까지의 세월에 대하여 성문은 三生六十劫, 연각은 四生百劫, 보살은 三祇百劫을 요한다고 한다. (1) 三生六十劫이란, 성문이 아라한과에 이르기까지 가장 빠른 것은 세번 태어나는 기간을 지내고, 가장 늦는 것은 60(刀兵등의 1小劫)을 지낸다고 한다. 一生 또는 처음 20에는 順解脫分을 일으키고, 二生 또는 다음의 二十劫에는 未至定에 의하여 順決擇分를 일으키고, 三生 또는 마지막 20에는 根本定에 의하여 다시  順決擇分 를 일으켜 見道에 들고 마침내는 無學果를 증명한다고 한다. 그러나 제三生에서 처음으로  順決擇分 를 일으킨다고 하는 도 있다. 또한 빠른 것은 利根, 늦은 것을 鈍根이라 하나, 거꾸로 늦은 것은 오랜 鍛鍊을 참아낼 수 있는 練根으로서의 利根이라고 할 수도 있다.

 

() : 正法에 따라서 修習하므로 如實하게 진리를 體得하여 깨달음에 드는 것. 그 깨달음은 智慧에 의해서 證悟되는 결과이므로 證果라고 한다. 또 차례차례로 修行의 단계를 밟아서 깨달음을 얻는 것을 分證이라 한다.

 

불이(不二) : 一實의 이치가 평등하여 피차의 분별이 없는 것. 보살은 一實平等의 이치에 깨달아 들어갔으므로 入不二法門이라 함. 維摩經33인이 不二法을 얻었다고 한다(維摩經 入不二法門品). 大乘義章一不二無異를 말한다고 하였다.

 

선종(禪宗) : 佛心宗이라고도 함. 달마대사가 인도로부터 와서 전한 것. 敎外別傳綱格으로 하고, 坐禪으로써 內觀外省하여 自性徹見하고, 自證三昧妙境을 요달함을 宗要로 하는 宗派. 또한 禪宗이란 부처님의 敎說所依로 삼는 宗派敎宗이라 함에 대하여 坐禪을 닦는 종지라는 뜻이다. 禪宗은 석존에게 正法을 유촉받은 迦葉尊者로부터 28祖 菩提達磨가 있고, 28菩提達磨가 중국에 건너와서 慧可(487~593)에게 을 전함으로부터 東土의 제5弘忍(602~675)에 이르러 그 門下에서 慧能(638~713)을 제6로 하는 南宗, 神秀(?~706)를 제6로 하는 北宗으로 나누어졌다. 그러나 神秀北宗은 오래지 않아 이 끊어지고 慧能南宗만이 57으로 번성하였다.

 

좌선(坐禪) : 正坐한 자세로 일체의 생각을 쉬는 것. 곧 앉아서 참선한다는 말. 禪那(범어 dhyana)音略으로 靜慮라 번역한다. 結跏趺坐하고 思慮分別을 쉬는 수련으로 마음을 하나의 對象專注하는 것을 坐禪이라고 한다. 좌선은 인도에서 석존이전부터 사용됐던 수행법으로 석존이 불교적 實踐修行法으로 발전시킨 것이니 大槃涅槃經卷中에는 出家坐禪을 제 1로 한다고 했다. 중국에서는 · 三昧를 포함해서 광의의 禪法으로 일컫는 경향이 있다. 僧叡 · 慧遠 · 智顗 등은 다 坐禪注力했으며, 후세에 특히 禪宗이 일어나면서는 더욱 성행했다. 禪宗諸淸規 등에는 坐禪의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규정하고 있다.

 

본래성불(本來成佛) : 衆生이 다 근원적으로는 眞如本來佛의 성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生死 번뇌도 알고 보면 이 眞如를 아주 여의고서 있는 것이 아니며 중생의 분별심 그 자체도 本來佛 자리를 떠나서는 존립할 수도 없다. 깨닫고 보면 번뇌가 곧 보리고 중생이 곧 부처이며 중생의 心性이 그대로 부처라는 뜻.

 

() : 범어 marga의 번역으로 末伽라고 음역하며 목적지에 이르게 하는 通路. 밟아 행해야 할 길(軌路)을 뜻하는 말이다. 俱舍論卷二十五에는, 라 함은 涅槃(깨달음)으로 가는 길이고 열반의 를 얻기 위해 마땅히 의지할 바라고 했다. 이와 같이 는 주로 불교의 궁극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행의 법칙을 의미한다. 또 널리 에 이르게 하는 通路의 뜻도 있다. 예컨대 智度論卷八十四에는, 人天 · 聲聞 · 연각 · 보살의 4종의 가 있다. 사람이나 하늘은 十善이나 布施로 하여 세간적인 福樂을 구하고, 二乘三十七道品로 하여 열반을 구하고, 보살은 삼십칠도품이나 六波羅蜜로 하여 佛果를 구한다고 했다. 이상과 같은 의미의 와는 달리 · · 三道라고도 하는데 이때의 , , 을 가져오는 通路로서,  三者는 서로 바퀴와 같이 돌아가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三惡道 · 五道 · 六道라고 할 때의 善惡에 의해 지옥 등의 로 들어가는 통로가 되는 , 그것은 應報을 따라 각각 다르고 순환하는 인 것이다. 菩提(깨달음의 지혜)로 번역하는 수가 있기 때문에, 구별하여 菩提果道라 하며 그 이전의 因道라 부르기도 한다.

 

방편(方便) : 접근하다. 도달하다의 뜻. 즉 좋은 방법을 써서 중생을 인도하는 것. 훌륭한 敎化방법이라고도 쓴다. 차별의 事象을 알아서 중생을 제도하는 지혜. 진실한 가르침으로 인도하기 위해 잠정적으로 마련한 法門을 가리킴. 다른 이로 하여금 깨닫게 하기 위한 수단. (참고) 이 말은법화경에서는 특히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開權顯實을 내용으로 한 방편품에서는,三乘一乘을 위한 방편法身常住의 사상을 나타내는 壽量品에서는,방편품에 설해진 始成正覺(비로서 깨달음을 열었다)如來의 출세가 방편이라고 밝히고 있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