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공하는 법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나는 요즈음 학생들에게 불공(佛供)하라고 자주 이야기하며 권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혹 이렇게 말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우리도 용돈을 타쓰고 있는데 어떻게 불공할 수 있는가」하고.
그것도 당연히 할 수 있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불공이란 꼭 돈으로만 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몸으로, 정신적으로, 물질적으로 남을 도와주는 것은 모두 불공입니다. 예를 들어 버스 속에서 노인이나 어린이에게 혹은 병든 사람에게 자리를 양보해 주는 것, 그것도 불공입니다.
또 정신적으로 고민을 하고 있는 사람이나 혹은 어떤 사람을 좋은 길로 인도해 주는 것, 그것도 불공입니다. 길거리에 앉아서 적선을 비는 눈 먼 사람에게 10원짜리 한 닢 주는 것, 그것도 불공입니다.
이렇게 우리가 몸 · 마음 · 물질 이 세 가지로 불공을 하려고 하면 불공할 것이 꽉 찼습니다.
이 세상 모두가 불공거리, 불공 대상입니다.
단지 우리가 게을러서 게으른 병때문에 못할 뿐입니다. 이렇게 불공하여서야 결국에는 성불(成佛)하게 되는 것입니다.
학생들이 수련회 때 불전삼천배(拜)를 한 뒤 백련암으로 나를 찾아와 화두(話頭) 배워 달라고 하면 나는 이렇게 말합니다.
「자, 화두 배우기 전에 불공하는 방법을 배워 불공부터 시작한 후 화두를 배우자.」
그리하면 학생들은 처음에는 역시 모두 눈이 둥그렇게 됩니다. 우리는 돈도 없는데 부처님 앞에 돈 놓고 절하라는 이야기인가 하고. 그런데 나중에 알맹이를 듣고 보면 그것이 아니고 남 도와주는 것이 참 불공이라고 하지 않겠습니까. 그래서 끝에 가서「모두 불공 합시다.」하면「예」하고 대답하는데 진정으로 그러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한 가지 특별한 주의를 시킵니다. 그것은 자랑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남을 도와주는 것은 착한 일이지만 자랑하는 것은, 진정한 불공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몸으로써, 마음으로써, 물질로써 좋은 불공을 해놓고 입으로 자랑하면 모든 공덕을 부수어 버리는 것입니다.
불공을 자랑하기 위해, 자기 선전하기 위해 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돈푼이나 기부해주고 신문에 크게 선전해 달라고 하며 또, 그 재미로 돈 쓰는 사람도 많은가 봅니다. 그러나 그것이 불공이 아닙니다. 자기 자랑할 재료 장만하는 것입니다.
아까운 돈으로 남 도와주고, 몸으로 남 도와주고, 마음으로 남 도와주고서 왜 입으로 모두 부수어 버리는 것입니까?
참으로 불공이란 남을 아무리 도와주었다고 해도 절대 자랑해서는 안 됩니다. 말을 안 해야 됩니다. 그러므로 근본 생각이 어디 있느냐 하면「남 모르게 남 도와주라」이것입니다.「남 모르게 남을 도울 것!」
기독교의 예수도 이런 말을 했습니다.
「왼손이 하는 일을 바른손이 모르게 하라.」
기막힌 소리 아닙니까! 자기 왼손으로 남을 도우면서 자기 오른손도 모르게 하라 했는데, 하물며 다른 사람이 알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요즘 학생들에게 이 말이 좋게 들리는가 봅니다. 편지가 자주 옵니다.「스님 말씀하신 남 모르게 남 돕자는 그 말씀을 평생 지키고 노력하겠습니다.」하고.
이제 예(例) 하나를 들어 보겠습니다. 미국의 보이스라는 사람이 영국 런던에 가서 어느 집을 찾는데 안개가 꽉 끼어 도저히 찾을 수 없어서 이곳저곳을 방황하고 있었습니다. 이때 열 두어살 되는 소년이 나타나서 물었습니다.
「선생님 누굴 찾으십니까?」
「어느 집을 찾는데 못 찾았어.」
「저는 이 동네에 사는데 혹시 제가 아는지 주소를 보여 주시겠어요?」
보이스가 주소를 보여주었더니「이 집은 마침 제가 알고 있습니다. 이리로 오세요.」하고 소년이 인도하여 안내해준 집에 도착하니 찾아 헤매던 바로 그 집이었습니다. 하도 고마워서 돈을 주었더니 그 소년은 사양하고 결코 받지 않았습니다. 이름도 가르쳐 주지 않았습니다.
그러면서 소년은 이렇게 말해옵니다.
「제게는 선생님이 참으로 고맙습니다. 저는 소년단 회원인데 우리 회원은 하루에 한 가지씩 남을 도와주게 되어 있습니다. 저는 오늘 선생님을 도와드릴 수 있었으니 오히려 제가 감사드려야 됩니다. 참 고맙습니다.」
그리고 나서 소년은 달아나 버렸습니다. 신사는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영국에 와보니 어린이도 남을 돕는 정신이 가득하여 돈도 받지 않고 남을 도우면서 오히려 일과를 할 수 있게 해주어서 고맙다고 하니 이런 정신을 배워야겠다.)
그래서 미국으로 돌아와서 드디어 미국에서도 소년단을 시작했는데 온 미국인은 물론 세계적으로 보급되어서 지금은 우리나라도 소년단(보이 스카웃)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그 뒤에 이 소년을 찾으려고 아무리 애써도 결국 찾지 못했습니다. 소년이 나타나질 않았습니다. 그리하여 이 이름 모르는 소년을 기념하기 위해 영국의 그 마을에 큰 들소 동상을 세워 주고 그 기념비에는 이렇게 새겼습니다.
「날마다 꼭 착한 일을 함으로써 소년단이라는 것을 미국에 알려준 이름 모르는 소년에게 이 동상을 바치노라.」
진리적으로 볼 때 남의 종교를 비판할 것은 아니지만, 불교와 예수교는 상대가 안 됩니다. 그것은 양심 있는 학자는 모두 다 말하는 것입니다.
또 개인적으로 볼 때 예수교에서 보면 불교가 아무 것도 아니고, 불교에서 볼 때 예수교가 별것 아닐 것입니다. 그러나 제 삼자가 참으로 양심적인 면에서 말할 때는 예수교와 불교가 상대가 안 됩니다. 서양의 유명한 쇼펜하우어 같은 사람은 어떻게 평했느냐 하면,「예수교가 불교를 공격하는 것은 계란으로 바위를 두드리는 것과 마찬가지다」또는 「절벽을 향해 총알을 발사하는 것」과 같다고 극단적으로 말했습니다.
아니, 극단이 아니고 사실입니다. 진리로 보면 그러한데 실천면에서 보면 거꾸로 된 것도 있습니다. 예수교 사람 중에는 종교인다운 활동을 하는 이도 있고, 불교인 중에는 예수교 사람 못따라 가는 이도 있습니다.
불교의 자비란 자기를 위한 것이 아니고 남에게 베푸는 것입니다. 자기 욕심을 차리는 것이 무슨 자비가 되는가? 참으로 자비심을 가지고 중노릇하는 사람이 얼마나 되느냐 하는 것이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자비란 요즘 말로 표현하자면 사회적으로 봉사하는 것입니다. 아마 승려가 봉사정신이 가장 약할 것입니다. 사회에 봉사하는 정신이 승려에겐 없다고 본단 말입니다. 예수교 사람들 보면 봉사활동을 많이 합니다.
한 가지 예를 들겠습니다. 「깔멜」수도원에 관한 기사를 보았습니다. 정월 초하룻날 모여서 무슨 제비를 뽑는다고 합니다. 무슨 제비인지 아십니까?
그 속에는 양로원 · 고아원 · 교도소 등 어려움을 겪는 각계각층이 들어 있습니다. 어느 한 사람이 양로원 제비를 뽑으면, 1년 365일 자나깨나 양로원 사람을 위해 기도한다고 합니다. 그러니 기도 대상 분담 제비인 것입니다. 고아원에 해당하면 내내 고아원, 교도소에 해당하면 내내 교도소 사람을 위해 기도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모든 생활을 기도로써만 하는데 자기를 위해서는 기도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것이 참으로 남을 위한 기도의 근본정신입니다. 이것이 종교인입니다. 아무리 남의 종교이지만 잘하는 것은 본받아야 합니다.
그러면 먹고 사는것은? 양계와 과자를 만들어 내팔아서 먹고 산다고 합니다. 먹고 사는 것은 자기들이 노력해서 먹고, 기도는 남을 위해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불교에서는? 불교에서도 소승이니 대승이니 하는데 소승은 자기만을 생각하는 것입니다. 남이야 죽든 말든, 그러나 대승은 자기가 죽든 말든, 남을 위해 사는 것입니다.
우리 불교의 근본은 대승이지 소승이 아닙니다. 원리는 이러한데 실천은 그렇지 않습니다.
저쪽 사람들은 내밥 먹고 남만 위하는데 우리 불교에서는 이것이 조금 부족한 느낌입니다.
불교는 자비가 근본이므로 남을 돕는 것이 근본입니다.
부처님 말씀처럼 불공이란 남을 돕는 것입니다. 그래서 모든 생활이 남을 돕는 데에 기준을 두어야 합니다.
우리 대중도 다 알겠지만 승려란 부처님 법을 배워 불공을 가르쳐 주는 사람이고 절에서는 불공을 가르쳐 주는 곳입니다. 불공 대상은 절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불공 대상은 부처님만이 아닙니다. 일체 중생이 불공 대상인 것입니다.
이것이 참된 불공 방향이란 말입니다. 지금 우리 불교가 구태를 벗어 버리고 참다운 중흥의 길, 사는 길을 찾아야 할 것 아닙니까. 내가 생각할 때에는 절에 사는 우리 승려들이 목탁치고 부처님 앞에서 신도들 복(福)만 빌어주는 이것이 불공이 아니고, 남을 도와주는 이것이 참 불공이라는 것을 깊이 이해하고 이것을 참으로 실천하게 될 때, 그때 비로소 우리 불교의 새싹이 트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내가 전부터 자주 불공이야기를 해오지만 우리 불자는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불공을 해야 할 것입니다.
부처님께서는 오직 중생을 도와주는 이것이 참으로 불공이요, 이것을 행해야만 참으로 내 제자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간디」자서전에 이런 내용을 본 적이 있습니다. 영국에 유학가서 예수교를 배웠는데 예수교에서는 사람 사랑하는 것을 배웠고, 그 후 불교에서는 진리에 눈뜨게 되어 일체생명을 사랑하는 것을 배웠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 사람 말이,「남의 종교를 말해서는 안 되겠지만 비유하자면 예수교는 접시물이라면 불교는 바다와 같다」는 것입니다.
우리 불교에서는 사람만이 상대가 아닙니다. 일체중생이 상대입니다. 사람에 한정한다면 너무 범위가 좁지 않습니까?
그래서 사람을 돕는 것만이 불공은 아닙니다. 일체중생을 이롭게 하는 것이 불공입니다. 우리는 이것을 실천하고 궁행해야 되겠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있습니다.「스님도 답답하시네. 내가 고파 죽겠는데 자꾸 남의 입에만 밥을 떠넣으라 하니 나는 굶어 죽고요?」하고 말할 사람이 있을 것입니다.
인과법칙(因果法則)이란 불교뿐 아니고 우주의 근본원리입니다.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나듯이 선인선과(善因善果) · 악인악과(惡因惡果)인 것입니다.
선한 일을 하면 좋은 결과가 오고 악한 일을 하면 나쁜 과보가 오는 것입니다.
병이 든다든가, 생활이 가난하여 어렵다든지 하는 것은 악한 과보입니다. 악의 원인이 있는 것입니다. 물론 지금 그것이 기억 안 날 것입니다. 세세생생을 내려오며 지은 온갖 악한 일들이 다 기억나겠습니까? 기억 안 난다고 해도 그 과보의 원인이 있는 것을 어떻게 합니까?
선인선과라, 세상에 살면서 착한 일을 자꾸 행하십시요. 좋은 결과가 반드시 옵니다. 어떤 것이 진정한 선이냐? 남을 돕는 것입니다. 남을 위해 자꾸 돕고 기도하면 결국에 그 원인이 어디로 가겠습니까? 모두 자기 자신에게 돌아옵니다.
그러므로 남을 위해 기도하는 것이 결국 나를 위한 것이 되고, 남을 해치면 결국에는 나를 해치게 되는 것입니다. 생물 · 생태학에서도 그렇다고 합니다. 조금이라도 남을 해치면 자기가 결국 손해를 봅니다. 농사를 지어도 그렇습니다. 곡식이 밉다고 곡식을 해쳐 보십시요. 누가 배고프겠습니까?
그러므로 내가 배고파 굶어 죽을까 걱정하지 말고 부처님 말씀같이 불공을 잘하도록 애써야 할 것입니다.
한가지 비유를 들어 말하겠습니다. 어떤 사람이 생전에 불공할 줄 모르고 죄를 많이 지어서 지옥에 떨어졌습니다. 지옥 문앞에 서서 보니 지옥 속에서 고통 받는 중생들 모습이 하도 고통스럽게 보여서 도저히 눈 뜨고 볼 수가 없었습니다. 보통 같으면「아이구 무서워라, 나도 저 속에 들어가면 저렇게 될텐데 어떻게 하면 벗어날까, 어떻게 하여 도망갈 것인가」하는 생각이 먼저 날텐데, 이 사람은 생각이 좀 달랐습니다.「저렇게 고생하는 많은 사람들의 고통을 잠깐 동안이라도 나혼자 대신 받고 저 사람들을 쉬게 해줄 수 없을까?」하는 착한 생각이 들었던 것입니다.
이 생각을 하고 보니 지옥이 없어져 버렸습니다. 그 순간에 그는 천상에 와 있었습니다. 중생을 대신해서 지옥고를 받으려고 하는 생각을 하니 지옥은 없어지고 자기부터 천당에 먼저 가버렸단 말입니다.
모든 것이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입니다. 착한 생각을 하면 자기부터 먼저 천상에 가버린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생각이 더 깊은 사람이면 남을 위해 조석(朝夕)으로 기도를 해야 합니다. 어느 정도 인격이 있는 사람이면 「내 복(福)만을 위해 내 배(腹)만을 위해서」기도하지는 못할 것입니다.
그러나 남을 위해서는 얼마든지 기도할 수 있는것 아닙니까?
나는 나를 찾아오는 사람에게는 반드시 부처님 전에 108배 절을 하라고 권합니다.
참으로 남을 도울 수 있는 사람이 되려면, 그런 생활을 하려면 날마다 아침에 20분 동안 108배 기도를 해야 합니다. 남을 위해 108배 기도하는 정성이 없으면 아무리 불공한다고 해도 매일 108배 하는 사람과는 많이 다릅니다. 나도 새벽에 꼭 108배를 합니다. 그 목적이 어디 있는가? 시작할 때의 조건이 나를 위해 절하지 않는 것입니다. 마음속으로 다음과 같은 발원을 하는 것입니다.
「내가 이제 발심하여 예배하옴은 제 스스로 복 얻거나 천상에 나길 구함이 아니요, 모든 중생이 함께 무상보리 얻어지이다.」
일체 중생이 모두 다 성불하게 해달라고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끝에 가서는「중생들과 보리도에 회향합니다」라고 합니다. 그러고도 부족하여「원하노니 수승하온 이 공덕으로 위 없는 진법계에 회향하오며」라고 끝을 맺습니다.
즉, 108배 예불참회한 모든 공덕이 하나라도 나한테 올까 저어하여 온 우주법계로 돌아가라는 것입니다.
이것이 참으로 불교 믿는 사람의 근본자세이고, 사명이며, 본분 아니겠습니까?
이것은 저 인도에서부터 시작해서 중국을 거쳐 신라 · 고려 오늘에 이르기까지 불가에 계계승승된 것입니다.
요즈음 사회에서도 봉사활동을 많이 하고 있는데 우리 불자들은 이런 활동에는 많이 뒤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오직 부탁하고 싶은 것은 부처님 말씀에 따르는 불공을 해보자 이것입니다. 그리고 조석으로 부처님께 예불하면서 하는 한 가지 축원이 있습니다. 소개합니다.
일체 중생이 다 행복하게 해 주십시요.
일체 중생이 다 행복하게 해 주십시요.
일체 중생이 다 행복하게 해 주십시요.
이렇게 세 번 하는 것입니다. 매일 해 보면 마음 속으로 형언할 수 없는 기쁨과 함께 현실적으로도 좋은 일이 생기게 됩니다.
끝으로 절을 한 번 하던, 두 번 하던, 우리 불자들은 일체 중생을 위해 절하고 기도하며 사는 사람이 되도록 노력합시다.
출전 : 큰빛 큰지혜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성철큰스님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가 대학을 세워라 (0) | 2014.08.06 |
---|---|
신은 마음이 만든 허깨비 (0) | 2014.08.02 |
유식사상(唯識思想) (0) | 2014.07.27 |
참회하는 노사(老師) (0) | 2014.07.25 |
평등한 성품을 깨달아라 (0) | 2014.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