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

가사(袈裟)

근와(槿瓦) 2016. 8. 26. 02:08

가사(袈裟)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kasaya. 또는 袈裟野 · 迦邏沙臾라고도 쓰며, 離塵服 · 消瘦衣 · 間色衣 · 無垢衣 · 功德衣 · 忍鎧 · 蓮華服 · 福田衣 · 田文相이라고도 한다. 가사는 수행승이 입는 法衣의 하나로, 애초에는 사람이 내버린 옷 또는 죽은 사람의 옷을 百八念珠를 본떠서 百八張을 모아 불규칙하게 꿰맨 것이었다. · · · · 흑의 五正色 이외의 잡색으로만 물들여 쓰도록 규정하였기 때문에 이렇게 부른다. 그 재료를 衣體 또는 衣財라 한다. 여러 개의 천을 직사각형이 되게 붙여서 만든다. 네 귀에는 · · · 이라는 수를 놓고 양쪽에는 끈이 달려 있으며, 겹으로 하여 사방에 통로를 내었다. 이것을 通門이라고 한다. 콩알을 넣어 사방으로 굴려서 통해야 하며, 만일 막힌 곳이 있으면 다음 盲人報를 받는다고도 한다.


가사를 입을 때에는 장삼을 입은 다음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 밑으로 걸쳐 끈으로 매어 고정시킨다. 그 규격에는 五條(一長一短)로 만든 것을 安陀會, 七條(二長一短)로 만든 것을 鬱多羅僧, 九條 · 十一條 · 十三條(모두 二長一短) · 十五條 · 十七條 · 十九條(三長一短) · 二十一條 · 二十三條 · 二十五條(四長一短)僧伽梨라 한다. 三衣는 본래 부처님이 더운 지방에 사는 이를 위하여 만든 法衣로서, 이것만으로 몸을 가리기 때문에 라 하였으나, 우리나라 · 중국 · 일본 등지에서는 추운 날씨관계로 가사아래 장삼을 입어 가사와 구별하였다. 후세에 이르러서는 가사를 만드는 재료가 풍부하고 다양해짐으로써 다소 화려해지는 등 법규에 어긋난 점도 없지 않았다. 신라의 法興王이 입었다는 被方袍 역시 가사였는데, 중국 옷으로는 가장 먼저 건너온 옷이다.


그후 僧統의 확립과 법계제도의 정착으로 僧衣制度도 확립되었고 화려해졌다. 불교를 國敎로 했던 고려에서는 위로는 金襴袈裟에서부터 아래로는 居士白紵窄衣까지 다양하였다. 백저착의는 원효대사가 俗服을 입었던 일과, 車得公緦衣를 입었던 일과 같이 속복을 입은 居士들이 많았다. 고려시대의 僧衣 제도를 살펴보면, 國師律師長袖偏衫을 입고 가사를 걸치고 紫裳을 하였고, 大德短袖偏衫土黃色 挂衣를 입고 黃裳을 하였으며, 비구는 土黃色 布衣紫衣 또는 衲衣(누비옷)를 입었고, 在家信徒白紵窄衣에 검은 비단의 허리띠를 둘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와서도 僧衣制度는 별 차이가 없었는데, 다만 세종때 禁令으로 회색옷을 입지 못하게 하여 삼베의 빛깔인 緦色僧衣를 착용하도록 하였다. 이것은 회색이 玉色에 가깝고 고려시대의 鳩色과 같다는 이유에서였다. 오늘날 다른 고전의상들은 사라졌지만 승복만은 오랜 전통을 그대로 지니고 있다.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한국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민가(安民歌)  (0) 2017.01.04
고구려불교(高句麗佛敎)  (0) 2016.12.23
묘청(妙淸)   (0) 2016.08.21
세종(世宗)  (0) 2016.07.26
만석승놀이  (0) 2016.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