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반야경-240-48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236 / 2116] 쪽
말 것이며, 극희지를 생사에 속한다거나 열반에 속한다고 보지 말 것이요 이구지 내지 법운지를 생사에 속한다거나 열반에 속한다고 보지 말 것이며, 극희지를 안에 있다거나 밖에 있다거나 중간에 있다고 보지 말 것이요 이구지 내지 법운지를 안에 있다거나 밖에 있다거나 중간에 있다고 보지 말 것이며, 극희지를 얻을 수 있다거나 얻을 수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이구지 내지 법운지를 얻을 수 있다거나 얻을 수 없다고 보지 말 것이니라.
또 선현아,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5안(眼)을 항상하다거나 덧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6신통(神通)을 항상하다거나 덧없다고 보지 말 것이며, 5안을 즐겁다거나 괴롭다고 보지 말 것이요 6신통을 즐겁다거나 괴롭다고 보지 말 것이며, 5안을 나라거나 나가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6신통을 나라거나 나가 없다고 보지 말 것이며, 5안을 깨끗하다거나 깨끗하지 않다고 보지 말 것이요 6신통을 깨끗하다거나 깨끗하지 않다고 보지 말 것이며, 5안을 공하다거나 공하지 않다고 보지 말 것이요 6신통을 공하다거나 공하지 않다고 보지 말 것이며, 5안을 모양이 있다거나 모양이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6신통을 모양이 있다거나 모양이 없다고 보지 말 것이며, 5안을 원이 있다거나 원이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6신통을 원이 있다거나 원이 없다고 보지 말 것이며, 5안을 고요하다거나 고요하지 않다고 보지 말 것이요 6신통을 고요하다거나 고요하지 않다고 보지 말 것이며, 5안을 멀리 여읜다거나 멀리 여의지 않는다고 보지 말 것이요 6신통을 멀리 여읜다거나 멀리 여의지 않는다고 보지 말 것이며,
5안을 함이 있다거나 함이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6신통을 함이 있다거나 함이 없다고 보지 말 것이며, 5안을 샘이 있다거나 샘이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6신통을 샘이 있다거나 샘이 없다고 보지 말 것이며, 5안을 생긴다거나 소멸한다고 보지 말 것이요 6신통을 생긴다거나 소멸한다고 보지 말 것이며, 5안을 착하다거나 착하지 않다고 보지 말 것이요 6신통을 착하다거나 착하지 않다고 보지 말 것이며, 5안을 죄가 있다거나 죄가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6신통을 죄가 있다거나 죄가 없다고 보지 말 것이며, 5안을 번뇌가 있다거나 번뇌가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6신통을 번뇌가 있다거나 번뇌가 없다고 보지 말 것이며, 5안을 세간이라거나 출세간이라고 보지 말 것이요 6신통을 세간이라거나 출세간이라고 보지 말
[237 / 2116] 쪽
것이며, 5안을 잡다히 물든다거나 청정하다고 보지 말 것이요 6신통을 잡다히 물든다거나 청정하다고 보지 말 것이며, 5안을 생사에 속한다거나 열반에 속한다고 보지 말 것이요 6신통을 생사에 속한다거나 열반에 속한다고 보지 말 것이며, 5안을 안에 있다거나 밖에 있다거나 중간에 있다고 보지 말 것이요 6신통을 안에 있다거나 밖에 있다거나 중간에 있다고 보지 말 것이며, 5안을 얻을 수 있다거나 얻을 수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6신통을 얻을 수 있다거나 얻을 수 없다고 보지 말 것이니라."
[238 / 2116] 쪽
대반야바라밀다경 제 13 권
삼장법사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7. 교계교수품 ③
"또 선현아,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부처님의 10력(力)을 항상하다거나 덧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4무소외(無所畏)와 4무애해(無礙解)와 18불불공법(佛不共法)을 항상하다거나 덧없다고 보지 말 것이며, 부처님의 10력을 즐겁다거나 괴롭다고 보지 말 것이요 4무소외와 4무애해와 18불불공법을 즐겁다거나 괴롭다고 보지 말 것이며, 부처님의 10력을 나라거나 나가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4무소외와 4무애해와 18불불공법을 나라거나 나가 없다고 보지 말 것이며, 부처님의 10력을 깨끗하다거나 깨끗하지 않다고 보지 말 것이요 4무소외와 4무애해와 18불불공법을 깨끗하다거나 깨끗하지 않다고 보지 말 것이며, 부처님의 10력을 공하다거나 공하지 않다고 보지 말 것이요 4무소외와 4무해애와 18불불공법을 공하다거나 공하지 않다고 보지 말 것이며,
부처님의 10력을 모양이 있다거나 모양이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4무소외와 4무애해와 18불불공법을 모양이 있다거나 모양이 없다고 보지 말 것이며, 부처님의 10력을 원이 있다거나 원이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4무소외와 4무애해와 18불불공법을 원이 있다거나 원이 없다고 보지 말 것이며, 부처님의 10력을 고요하다거나 고요하지 않다고 보지 말 것이요 4무소외와 4무애해와 18불불공법을 고요하다거나 고요하지 않다고 보지 말 것이며, 부처님의 10력을 멀리 여읜다거나 멀리 여의지 않는다고 보지 말 것이요 4무소외와 4무애해와 18불불공법을 멀리 여읜다거나 멀리 여의지
[239 / 2116] 쪽
않는다고 보지 말 것이며, 부처님의 10력을 함이 있다거나 함이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4무소외와 4무애해와 18불불공법을 함이 있다거나 함이 없다고 보지 말 것이며, 부처님의 10력이 샘이 있다거나 샘이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4무소외와 4무애해와 18불불공법을 샘이 있다거나 샘이 없다고 보지 말 것이며, 부처님의 10력을 생긴다거나 소멸한다고 보지 말 것이요 4무소외와 4무애해와 18불불공법을 생긴다거나 소멸한다고 보지 말 것이며, 부처님의 10력을 착하다거나 착하지 않다고 보지 말 것이요 4무소외와 4무애해와 18불불공법을 착하다거나 착하지 않다고 보지 말 것이며, 부처님의 10력을 죄가 있다거나 죄가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4무소외와 4무애해와 18불불공법을 죄가 있다거나 죄가 없다고 보지 말 것이며, 부처님의 10력을 번뇌가 있다거나 번뇌가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4무소외와 4무애해와 18불불공법을 번뇌가 있다거나 번뇌가 없다고 보지 말 것이며, 부처님의 10력을 세간이라거나 출세간이라고 보지 말 것이요 4무소외와 4무애해와 18불불공법을 세간이라거나 출세간이라고 보지 말 것이며, 부처님의 10력을 잡다히 물든다거나 청정하다고 보지 말 것이요 4무소외와 4무애해와 18불불공법을 잡다히 물든다거나 청정하다고 보지 말 것이며, 부처님의 10력을 생사에 속한다거나 열반에 속한다고 보지 말 것이요 4무소외와 4무애해와 18불불공법을 생사에 속한다거나 열반에 속한다고 보지 말 것이며,
부처님의 10력을 안에 있다거나 밖에 있다거나 중간에 있다고 보지 말 것이요 4무소외와 4무애해와 18불불공법을 안에 있다거나 밖에 있다거나 중간에 있다고 보지 말 것이며, 부처님의 10력을 얻을 수 있다거나 얻을 수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4무소외와 4무애해와 18불불공법을 얻을 수 있다거나 얻을 수 없다고 보지 말 것이니라.
또 선현아,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대자(大慈)를 항상하다거나 덧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대비(大悲) 대희(大喜) 대사(大捨)를 항상하다거나 덧없다고 보지 말 것이며, 대자를 즐겁다거나 괴롭다고 보지 말 것이요 대비 대희 대사를 즐겁다거나 괴롭다고 보지 말 것이며, 대자를 나라거나 나가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대비 대희 대사를 나라거나 나가 없다고 보지 말 것이며, 대자를 깨끗하다거나 깨끗하지 않다고 보지 말
[240 / 2116] 쪽
것이요 대비 대희 대사를 깨끗하다거나 깨끗하지 않다고 보지 말 것이며,대자를 공하다거나 공하지 않다고 보지 말 것이요 대비 대희 대사를 공하다거나 공하지 않다고 보지 말 것이며, 대자를 모양이 있다거나 모양이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대비 대희 대사를 모양이 있다거나 모양이 없다고 보지 말 것이며, 대자를 원이 있다거나 원이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대비 대희 대사를 원이 있다거나 원이 없다고 보지 말 것이며, 대자를 고요하다거나 고요하지 않다고 보지 말 것이요 대비 대희 대사를 고요하다거나 고요하지 않다고 보지 말 것이며, 대자를 멀리 여읜다거나 멀리 여의지 않는다고 보지 말 것이요 대비 대희 대사를 멀리 여읜다거나 멀리 여의지 않는다고 보지 말 것이며, 대자를 함이 있다거나 함이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대비 대희 대사를 함이 있다거나 함이 없다고 보지 말 것이며, 대자를 샘이 있다거나 샘이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대비 대희 대사를 샘이 있다거나 샘이 없다고 보지 말 것이며, 대자를 생긴다거나 소멸한다고 보지 말 것이요 대비 대희 대사를 생긴다거나 소멸한다고 보지 말 것이며, 대자를 착하다거나 착하지 않다고 보지 말 것이요 대비 대희 대사를 착하다거나 착하지 않다고 보지 말 것이며, 대자를 죄가 있다거나 죄가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대비 대희 대사를 죄가 있다거나 죄가 없다고 보지 말 것이며, 대자를 번뇌가 있다거나 번뇌가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대비 대희 대사를 번뇌가 있다거나 번뇌가 없다고 보지 말 것이며, 대자를 세간이라거나 출세간이라고 보지 말 것이요 대비 대희 대사를 세간이라거나 출세간이라고 보지 말 것이며, 대자를 잡다히 물든다거나 청정하다고 보지 말 것이요 대비 대희 대사를 잡다히 물든다거나 청정하다고 보지 말 것이며, 대자를 생사에 속한다거나 열반에 속한다고 보지 말 것이요 대비 대희 대사를 생사에 속한다거나 열반에 속한다고 보지 말 것이며, 대자를 안에 있다거나 밖에 있다거나 중간에 있다고 보지 말 것이요 대비 대희 대사를 안에 있다거나 밖에 있다거나 중간에 있다고 보지 말 것이며, 대자를 얻을 수 있다거나 얻을 수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대비 대희 대사를 얻을 수 있다거나 얻을 수 없다고 보지 말 것이니라.
또 선현아,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32대사상(大...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대반야경(大般若波羅蜜多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반야경-250-50 (0) | 2016.06.27 |
---|---|
대반야경-245-49 (0) | 2016.06.26 |
대반야경-235-47 (0) | 2016.06.24 |
대반야경-230-46 (0) | 2016.06.23 |
대반야경-225-45 (0) | 2016.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