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대강좌(67)-육체를 여읜 마음이 부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이와 같은 미련 잠재의식이 업보(業報)라는 것입니다. 이 업만 없어지면 부처님하고 똑같습니다. 지금도 다 그렇게 되어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육체가 나라는 착각을 가지고 이놈이 하루 밥 세 그릇 필요하니까 이것이 사건이 되어 가지고 마음이 복잡해져서 三五억 다 잡아 먹고 살아야겠다는 것입니다. 부모형제를 다 잡아먹어도 내가 살아야 하니 이것이 독사가 아니고 무엇입니까. 우리가 배타고 있다가 물에 빠져 보면 압니다. 다 집어 넣고 나 하나만 살려고 하는 지독한 독사가 한 마리씩 들어 있습니다. 그것이 소위 무명(無明)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밝지 못하다 모른다 소리입니다. 마음이 나지 육체가 내가 아닌걸 모른다, 내 꿈인 줄 모르고 산다는 뜻입니다.
근본적으로 육체를 나라고 하는 것이 근본무명(根本無明)입니다. 그 생각만 놓아 버리면 우리는 四차원 이상의 세계에 들어갑니다. 얕은 四차원 세계에 들어가서 자꾸자꾸 깊이 들어가면 부처님같이 대열반(大涅槃)ㆍ대보리(大菩提)의 여래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오고 가는데 구애(拘碍)가 없어서 와도 오는게 아니고 가도 가는게 아니며 하루 종일 말해도 한 마디도 하는 게 아닙니다. 마음은 그냥 가만히 있습니다. 말하자는 상대가 있으니 말해 주는 것뿐이지 나를 위해 하는 것은 하나도 없습니다. 나한테 아무 필요도 없는 거니까 해보아도 손해도 이익도 없고 아무 생각이 없는 이것이 불성자리고 마음자리입니다. 이것이 성불(成佛)입니다.
그러니 이 세상을 탁 내 버리고 살아라. 전 세계 재산 전부 내것 만들어 놓아도 내것 아닙니다. 돈 백만원 모아 놓으면 돈 한 장 한 장에 내가 구속되는 것입니다. 지위가 높으면 높을수록 생명이 구속되는 것이고 좋은 마누라 얻어 놓으면 그 마누라가 완전히 나를 구속하는 겁니다. 현실이란 아무 것도 아니어서 현실이라고 말할 수 있는 사건은 하나도 없는데, 그것을 현실이라고 거기에 의지했다가는 눈에 핏물이 날 일이 생깁니다. 금방 없어질테니까 거기 속지 말고 영원히 자기 생명을 찾자는 겁니다. 그것은 먼 데 있는 것도 아니고 말하는 이놈이고 말하는 이 마음을 곤두세워서 듣고 앉아 있는 생각의 주체 그것이 나라는 것입니다. 이 일부터 해놓고 남 도우려고 해야지, 뭐니뭐니 해보아도 소용 없습니다. 무슨 박사가 되어 보아도 박사 되어서 밥 수월하게 벌어 먹자는 밥벌이 수단 밖에 안됩니다. 그러나 밥먹어 보아야 아무 것도 남는 것 없습니다. 아무 것도 되는 것도 없는 그걸 현실이라고 하니 그것에 속았다는 사실을 확실히 알아야 합니다. 사실대로 살아야 될 걸 알았으니 그래야 분명하고 똑똑한 사람입니다.
「허망한 것은 간직할 것 없다, 간직해 보아야 없어지니까, 허망하지 않은 걸 찾자, 그것은 내 마음 밖에 없다, 다른건 다 허망하다. 우리가 이름지을 수 있는 것은 모두 다 허망이고 부처도 허망이고 진리도 허망이며 허망한 것은 전부 허물어지는 범소유상 개시허망(凡所有相 皆是虛妄)이다. 모든 허망에서 탈피하여서 허망을 내 마음에서 버릴 때 나는 곧 내 본래 부처를 만날 수 있다. 딴 데 간 것도 아니고 다만 육체를 나라는 착각 때문에, 딴 착각을 해서 그것이 바빠진 것뿐이다.」이렇게 확실히 알아야 합니다. 얼마나 바빴는가, 내가 이 소리를 하고 또 하는 것은 들을 때마다 그만큼 긍정하면 그만큼 가까워지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금생에 못하면 내생에라도 해야 합니다.
남이 다 성불하고 맨 나중에 성불해야 합니다. 성불해야 안심이지 성불하기 전에는 어디로 가나 고통입니다. 천당을 가나 극락을 가나 높은 것 낮은 것 다 있습니다. 이 마음을 깨쳐 놓고 나면 나보다 높은 것도 낮은 것도 없습니다. 잘난 사람도 없고 못난 사람도 없고 머리가 좋은 사람도 나쁜 사람도 없고 그러니 평등의 세계입니다. 거기는 시기 질투도 없고 사람 만나면 서로 부처니까 사로 반갑고 치하를 하고 지냅니다. 그래서「모든 현상은 실다운 상이 아닌 것으로 보면 곧 객관을 다 떨어 버리면 그러면 여래를 본다.(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고 한 것입니다.
출전 : 금강경대강좌(청담큰스님)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대강좌(69)-正信希有分 第六 (0) | 2016.03.03 |
---|---|
금강경대강좌(68)-마음에서 여래를 찾아야 (0) | 2016.03.02 |
금강경대강좌(66)-생각 여읜 마음자리 (0) | 2016.02.29 |
금강경대강좌(65)-천만 次元의 마음 세계 (0) | 2016.02.28 |
금강경대강좌(64)-마음의 힘은 불가사의 (0) | 2016.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