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사외도(六師外道)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고대 인도 불타시대의 여러 가지 철학·종교 사상들을 원시불교 경전에서는 62종의 견해로서 분류하였는데, 그 중에서 가장 유력하였던 사상가는 육사외도와 불교사상이다. 육사외도는 모두 베다의 권위를 부인하고 바라문교에 반항하였다. 그들은 신흥 도시의 왕후·귀족·부호들의 정치적, 경제적 원조 밑에서 활약하였다.
(1) 아지타 케사캄발리. 아지타는 斷滅論的인 유물론자였다. 혹은 順世派·사탕발림파라고도 한다. 사람의 일생은 지·수·화·풍 四大의 집합과 흩어짐에 불과하며, 죽어서 화장하면 사대는 모두 본래대로 돌아가고 영적인 것은 아무것도 남는 것이 없기 때문에 죽기 전에 잘 먹고 잘 노는 현실적 쾌락 밖에는 인생의 목적은 없다고 한다. 제사·기도·교육·종교·도덕 등 일체의 윤리적 엄숙주의를 반대한다.
(2) 파쿠다 카쨔야나. 파쿠다는 일종의 常住論者다. 그의 사상은 기계적 불멸론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절대부동 불변하는 7요소 즉 지·수·화·풍·苦·樂·생명의 집합과 흩어짐이요, 죽은 뒤에는 7요소 자체는 불변불멸이기 때문에 인생의 결정적 단멸은 없다고 한다. 칼로 목을 잘라도 결국 칼날은 요소들 사이의 공간을 지나갔을 뿐 생명이 없어지지는 않았다고도 한다.
(3) 푸라나카 싸파. 푸라나의 설은 도덕부정론이다. 그는 독단적인 윤리적 회의론자이며, 선악은 사회적 관습에 의한 임시적인 것이며 사람이 선행을 하든 악행을 하든 거기에 필연적인 인과응보는 있을 수 없다고 한다.
(4) 마칼리 고살라. 그는 극단적인 운명론자였다. 邪命外道라고도 한다. 모든 생물은 지·수·화·풍· 虛空·得·失·苦·樂·生·死·영혼의 12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리들의 행동이나 운명은 모두 자연적 법칙에 의하여 이미 숙명적으로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들의 몸이나 마음의 힘으로는 바꿀 수 없고 이미 결정된 윤회전생을 무수히 반복하다가 보면 마침내는 해탈하는 날이 온다고 한다.
(5) 산쟈야 벨라티풋타. 산쟈야는 일종의 회의론자이다. 그를 不可知論 혹은 氣分派라고도 할 수 있으며 특히 형이상학적 문제들에 대하여서는 일체의 판단을 중지하던가 혹은 그때 그때의 경우에 따라 제각기 제대로의 소신대로 말하면 그것이 곧 진리라고 한다.
(6) 니간타 나타풋타. 니간타는 본명이 바르다마나였으나 깨달은 후에 마하비라라고 불려진 자이나교의 교조이다. 그는 극단적 고행과 불살생을 주장하는 윤리적 엄숙주의이며 불교와 인연이 깊은 사상가이다. 마하비라는 부처님 보다 먼저 태어났으며, 존재론적으로는 크게 命과 非命의 二元論이며 인식론적으로는 不定主義·相對主義이다.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외도(外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집(四執) (0) | 2015.12.25 |
---|---|
삼십종외도(三十種外道) (0) | 2015.12.06 |
십삼외도(十三外道) (0) | 2015.11.05 |
외도사집(外道四執) (0) | 2015.11.04 |
외도(外道) (0) | 2015.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