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쪽-1권-해심밀경-1번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해심밀경 제1권
대당(大唐) 현장(玄奘) 한역
김달진 번역
1. 서품(序品)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박가범(薄伽梵)께서 가장 찬란하게 빛나는 칠보장엄에 머물며 큰 광명을 놓아 일체 끝없는 세계의 한량없는 방소(方所)를 널리 비추니, 묘한 장엄이 사이사이에 펼쳐지고 보편하고 원만함이 끝이 없었다. 그 한량은 헤아리기 어려워 삼계(三界)를 뛰어넘었으며, 행하는 곳마다 세간을 수승하게 벗어났으니, 선근(善根)에서 일어난 것으로서 최고로 자재(自在)하였다. 맑은 식(識)으로 모습을 삼은 여래의 도읍이었으며, 모든 보살이 구름같이 모이는 곳이고, 한량없는 천(天) · 용(龍) · 약차(藥叉:야차) · 건달바(健達婆) · 아소락(阿素洛:아수라) · 게로다(揭路茶:가루라) · 긴나락(緊那洛:긴나라) · 모호락가(牟呼洛伽:마후라가) · 사람인 듯 사람 아닌 듯한 이[人非人] 무리가 항상 따르고 모시는 곳이었다.
광대한 법미(法味)의 기쁨과 즐거움을 가지고 있어 모든 중생에게 일체 의리(義利)가 되고 모든 번뇌 · 재앙 · 횡액 · 얽매임 · 때[垢]를 없앴으며, 뭇 마군을 멀리 벗어나고 모든 장엄을 뛰어넘는 여래의 장엄이 의지하는 곳이었다. 큰 생각[念]과 지혜[慧]와 수행[行]으로 노니는 길을 삼았으며, 큰 지(止)와 묘한 관(觀)으로 수레[乘]를 삼았으며, 큰 공(空) · 무상(無相) · 무원(無願)의 해탈로 들어가는 문을 삼았으며, 온갖 무량 공덕으로 장엄하고 온갖 크고 보배로운 꽃으로 세워진 큰 궁전에 머무셨으니, 이는 박가범의 가
[2 / 86] 쪽
장 청정한 깨달음이었다.
둘 없음이 현행(現行)하여 무상법(無相法)에 나아갔으며, 불주(佛住)에 머물러 일체 부처님의 평등한 성품을 얻고 장애가 없는 곳에 이르렀다. 누구도 굴릴 수 없는 법은 가는 곳마다 장애가 없고, 그것이 세워 놓은 것은 불가사의했으며, 3세(世)의 평등한 법성에 노닐었다. 그 몸은 일체 세계에 널리 퍼졌으며, 일체 법에 대해 그 지혜는 막힘이 없었다. 일체 행에 대해 대각(大覺)을 성취하고, 모든 법지(法智)에 대해 의혹이 없으며, 나타난 그 몸은 분별할 수가 없었다. 일체 보살이 구하는 바로 그 지혜로 부처님의 둘 없음[無二]을 얻어 훌륭한 ‘저 언덕’에 머물며 서로 섞이지 않았으며, 여래의 해탈과 묘한 지혜를 끝까지 하여 중간도 가도 없는 불지(佛地)의 평등함을 증득하였으며, 법계를 다하였고 허공의 성품을 다하고 미래의 세상을 다하였다.
한량없는 큰 성문과 함께 하시니, 모든 것을 조복 받고 수순한 그들은 모두 불자(佛子)였다. 그들은 마음이 잘 해탈하였으며, 지혜가 잘 해탈하였으며, 계행이 매우 청정하였으며, 법의 즐거움을 나아가 구하였으며, 많이 듣고 들은 것을 기억해 그 들은 것이 쌓이고 모였으며, 생각해야 할 것을 잘 생각하고 말해야 할 것을 잘 말하고 지어야 할 것을 잘 짓는 자들이었다. 민첩한 지혜[捷慧]ㆍ재빠른 지혜[速慧]ㆍ날카로운 지혜[利慧]ㆍ벗어나는 지혜[出慧]ㆍ수승하게 결택하는 지혜[勝決擇慧]ㆍ큰 지혜[大慧]ㆍ넓은 지혜[廣慧]ㆍ같은 것 없는 지혜[無等慧] 등 지혜의 보배를 성취하였으며, 3명(明)을 구족하였으며, 제일의 현법락주(現法樂住)를 얻었으며, 크고 청정한 복밭[福田]이었다. 위의(威儀)와 고요함이 모두 원만하였으며, 큰 인욕과 부드러운 화목을 성취하여 손상함이 없었으며, 이미 여래의 성스러운 가르침을 잘 받들어 행하는 자들이었다.
또 한량없는 보살마하살이 갖가지 불국토에서 찾아와 모였다. 그들은 모두 대승에 머물러 대승법에 노닐고 모든 중생에게 그 마음이 평등하였으며, 모든 분별과 분별 않음과 갖가지 분별을 여의었으며, 일체 마군과 원수를 무찌르고 항복 받았으며, 일체 성문과 독각(獨覺)이 가진 작의(作意)를 멀리 벗어난 자들이었다. 광대한 법의 맛인 기쁨과 즐거움을 지니고 다섯 가지 두
[3 / 86] 쪽
려움을 초월해 물러나지 않는 지위로 한결같이 들어갔으며, 일체 중생을 괴롭히는 일체 괴로움을 쉰 자들이었다.
그들이 나타나 앞에 있었으니, 그 이름은 해심심의밀의(解甚深義密意)보살마하살ㆍ여리청문(如理請問)보살마하살ㆍ법용(法涌)보살마하살ㆍ선청정혜(善淸淨慧)보살마하살ㆍ광혜(廣慧)보살마하살ㆍ덕본(德本)보살마하살ㆍ승의생(勝義生)보살마하살ㆍ관자재(觀自在)보살마하살ㆍ자씨(慈氏)보살마하살ㆍ만수실리(曼殊室利)보살마하살 등이 상수가 되었다.
2. 승의제상품(勝義諦相品)
그때 여리청문(如理請問)보살마하살이 부처님 앞에서 해심심의밀의(解甚深義密意)보살에게 물었다.
“최승자(最勝子)여, 일체 법은 둘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일체 법이 둘이 아니라 할 때, 어떤 것이 일체 법이며, 왜 둘이 없다고 합니까?”
해심심의밀의보살이 여리청문보살에게 대답하였다.
“선남자여, 일체 법에 대략 두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함이 있는 유위(有爲)요, 둘째는 함이 없는 무위(無爲)입니다. 이 가운데 유위는 유위가 아니고 무위도 아니며, 무위 역시 무위가 아니며 유위도 아닙니다.”
여리청문보살이 다시 해심심의밀의보살에게 물었다.
“최승자여, 왜 유위는 유위가 아니고 무위도 아니며, 무위 또한 무위가 아니고 유위도 아닙니까?”
“선남자여, 유위란 곧 본사(本師)께서 거짓으로 시설(施設)하신 구절입니다. 만일 본사께서 거짓으로 시설하신 구절이라면 이는 변계소집(遍計所執)인 말로 말씀하신 것입니다. 만일 변계소집인 말로 하신 말씀이라면 이는 끝내 갖가지 변계인 말로 말씀하신 것이어서 실다움을 이루지 못하는 까닭에 유위가 아닙니다.
선남자여, 무위란 것 또한 ‘말’에 떨어집니다. 설사 유위와 무위를 벗어났다 해도 조금이라도 말이 있으면 그 모습 또한 그러합니다. 그렇다고 일 없
[4 / 86] 쪽
이 하신 말씀은 아닙니다. 일이란 무엇인가? 이른바 모든 성자는 성스러운 지혜와 성스러운 소견으로써 이름과 말을 떠난 까닭에 현전에 등정각(等正覺)을 이루고, 곧 이러한 말을 떠난 법성(法性)에서 남들도 현전에 정각을 이루게 하려고 거짓으로 이름과 생각을 세우고는 유위라 한 것입니다.
선남자여, 무위란 것 역시 본사께서 거짓으로 시설하신 구절입니다. 만일 본사께서 거짓으로 시설하신 구절이라면 이는 변계소집인 말로써 말씀하신 것입니다. 만일 변계소집인 말로써 말씀하신 것이라면 이는 끝내 갖가지 변계의 말로 말한 것이어서 진실을 이루지 못하는 까닭에 무위가 아닙니다. 선남자여, 유위란 것 또한 말에 떨어집니다. 설사 무위와 유위를 떠났다 해도 조금이라도 말한 것이 있으면 그 모습 또한 그러합니다. 그렇다고 일없이 말씀하신 것은 아닙니다. 무엇이 일인가? 이른바 모든 성자는 성스러운 지혜와 성스러운 소견으로써 이름과 말을 떠난 까닭에 현전에 등정각을 이루고, 곧 이러한 말을 떠난 법성에서 남들도 현전에 등정각을 이루게 하려고 거짓으로 이름과 생각을 세우고는 이를 무위라 한 것입니다.”
그때 여리청문보살마하살이 다시 해심심의밀의보살마하살에게 물었다.
“최승자여, 저 모든 성자가 성스러운 지혜와 성스러운 소견으로써 이름과 말을 떠난 까닭에 현전에 등정각을 이루고, 곧 이러한 말을 떠난 법성에서 남들도 현전에 등정각을 이루게 하려고 거짓으로 이름과 생각을 세우고는 이를 유위라 하고 무위라 한다는 이 일은 무엇과 같습니까?”
해심심의밀의보살이 대답하였다.
“선남자여, 비유컨대 솜씨 좋은 요술쟁이[幻師]나 혹은 그의 제자가 네거리에서 기왓장이나 풀잎이나 나무 등을 쌓아 놓고 요술로 갖가지 사업(事業)을 나타내는 것과 같으니, 이른바 코끼리의 몸과 말의 몸과 수레와 걷는 몸과 마니(摩尼)ㆍ진주(眞珠)ㆍ유리(琉璃)ㆍ나패(螺貝) · 벽옥(碧玉) · 산호(珊瑚)와 갖가지 재물과 곡식의 창고라는 몸입니다.
만일 우치(愚痴)하고 완둔(頑鈍)하고 악한 지혜를 가진 부류라서 깨우쳐 아는 바가 없는 중생이라면, 그들은 모두 기왓장 · 풀잎 · 나무 등에서 요술로 변화한 모든 일들을 보고 듣고 나서 이렇게 생각할 것입니다.
‘지금 보이는 대로 진짜 코끼리 몸이 있는 것이고, 진짜 말의 몸과 수레와
[5 / 86] 쪽
걷는 몸과 마니 · 진주 · 유리 · 나패 · 백옥 · 산호 그리고 갖가지 재물과 곡식의 창고 등의 몸이 있는 것이다.’
그렇게 본 대로 들은 대로 굳게 집착하고는 이어서 ‘오직 이것만이 진실이고 다른 것은 모두 어리석고 허망하다’고 말합니다. 그들은 뒤에 다시 관찰해야만 합니다.
만일 어떤 중생이 우치하지 않고 둔하지 않고 지혜로운 부류라서 깨우쳐 아는 바가 있다면, 그는 기왓장 · 풀잎 · 나무 등에서 요술로 변화한 모든 일들을 보고 듣고 나서 이렇게 생각할 것입니다.
‘지금 보이지만 실제 코끼리 몸은 없는 것이고, 실제 말 몸과 수레 몸과 걷는 몸과 마니 · 진주 · 유리 · 나패 · 벽옥 · 산호 그리고 갖가지 재물과 곡식의 창고 등의 몸은 없는 것이다. 요술로 나타낸 형상이 눈을 속여 그 가운데서 큰 코끼리의 몸이라는 생각을 일으키거나 혹은 큰 코끼리 몸이 차별된다는 생각을 일으킨 것이며, 나아가 갖가지 재물과 곡식의 창고 따위의 몸이라는 생각을 일으키거나 혹은 그것들이 갖가지로 차별된다는 생각을 일으킨 것이다.’
그는 본 대로 들은 대로 굳게 집착하고는 이어서 ‘오직 이것만이 진실이고 다른 것은 모두 어리석고 허망하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뜻을 표현하여 알리려는 까닭에 그들 역시 이 가운데서 말을 일으키기는 합니다. 그들은 뒤에 다시 관찰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와 같이 만일 어떤 중생이 어리석은 무리 즉 이생(異生)의 무리로서 아직 모든 성인의 세간을 벗어나는 지혜를 얻지 못하고 일체 법의 말을 떠난 법성을 밝게 알지 못한다면, 그는 일체 유위와 무위를 보고 듣고 나서 이렇게 생각할 것입니다.
‘지금 얻은 대로 실제 유위와 무위가 있는 것이 분명하다.’
그는 본 대로 들은 대로 굳게 집착하고는 이어서 ‘오직 이것만이 진실이고 다른 것은 모두 어리석고 허망하다’고 말합니다. 그들은 뒤에 다시 관찰해야만 합니다.
만일 어떤 중생이 어리석은 무리가 아니어서 이미 성제(聖諦)를 보았고, 이미 모든 성인의 세간을 벗어난 지혜를 얻어 일체 법의 말을 떠난 법성을
[6 / 86] 쪽
여실히 안다면, 그는 일체 유위와 무위를 보고 듣고 나서 이렇게 생각할 것입니다.
‘지금 얻었지만 실제 유위와 무위는 없는 게 분명하다. 분별에서 일어난 행상(行相)이 있어서 마치 요술이 깨닫는 지혜를 속이는 것처럼 그 가운데서 유위와 무위라는 생각을 일으킨 것이며, 혹은 유위와 무위가 차별된다는 생각을 일으킨 것이다.’
그는 본 대로 들은 대로 굳게 집착하고는 이어서 ‘오직 이것만이 진실이고 다른 것은 모두 어리석고 허망하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뜻을 표현해 알리려는 까닭에 그들 역시 이 가운데서 말을 일으키기는 합니다. 그들은 뒤에 다시 관찰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와 같이 선남자여, 저 모든 성자는 이 일 가운데서 성스러운 지혜와 성스러운 소견으로써 이름과 말을 여의는 까닭에 현전에 등정각을 이루고, 곧 이러한 말을 떠난 법성에서 남들도 현전에 등정각을 이루게 하려는 까닭에 거짓으로 이름과 생각을 세우고는 이를 유위라 하고 무위라 한 것입니다.”
그때 해심심의밀의보살이 이 뜻을 거듭 펴려고 게송으로 말하였다.
말을 벗어나 둘이 없다고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뜻
깊고 또 깊어 어리석은 자 행할 것 아니건만
어리석은 범부들 어리석음에 속아
둘에 집착하기 좋아하고 말에 의지해 희론한다.
그들은 부정취(不定趣) 아니면 사정(邪定)이니
긴긴 세월 유전하며 생사의 고통 받았네.
이제 다시 이러한 바른 말씀 어기면
오는 세상에는 소나 염소 무리로 태어나리라.
그때 법용(法涌)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여기서 동쪽으로 72항하사 세계를 지나면 구대명칭(具大名稱)이란 세계가 있고, 그 세계의 여래는 광대명칭(廣大名稱)이십니다. 저는
[7 / 86] 쪽
며칠 전 그 불토(佛土)에서 떠나 여기로 왔습니다. 저는 그 불토에서 언젠가 7만 7천의 외도와 그의 스승이 한자리에 모여 앉아 모든 법의 승의제(勝義諦)의 모습을 생각하는 걸 본 적이 있습니다. 그들은 함께 의논하고 헤아리고 관찰하고 두루 추구했지만 일체 법의 승의제의 모습은 끝내 얻지 못했습니다. 갖가지 의견과 해석, 별다른 의견과 해석, 변하여 달라진 의견과 해석을 없애기만 하면 되는데, 그들은 서로를 등지고 함께 어울려 쟁론하며 입에서 창을 꺼내 서로를 때리고 찌르고 괴롭히고 파괴하고는 제각기 흩어졌습니다.
세존이시여, 저는 그때 속으로 ‘여래께서 세상에 출현하시는 것은 매우 희유(希有)한 일이다. 세상에 출현하셨으니, 심사(尋思)의 행을 뛰어넘은 이런 승의제의 모습 역시 통달하고 증득하고 얻으셨을 것이다’라고 생각했습니다.”
이렇게 말씀드리고 나자, 그때 세존께서 법용보살에게 말씀하셨다.
“선남자여, 그렇다, 그렇다. 그대의 말과 같다. 나는 일체의 심사를 뛰어넘는 승의제의 모습에서 현전에 등정각(等正覺)을 이루었고, 현전에 등정각을 이루고는 남들에게 널리 말하고 밝게 나타내고 풀어 이해시키고 시설하고 비춘다. 왜냐하면 내가 말한 승의(勝義)는 모든 성자 스스로가 안으로 깨친 것이고, 심사(尋思)의 행은 이생(異生)이 이리저리 구르며 증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법용이여, 이 도리에 의하여 마땅히 알라. 승의는 일체 심사의 경계를 뛰어넘는다.
또 법용이여, 내가 말하는 승의는 무상(無相)으로 행하는 것인데 심사는 유상(有相)의 경계만 행한다. 그러므로 법용이여, 이 도리에 의하여 마땅히 알라. 승의는 일체 심사의 경계의 모습을 뛰어넘는다.
또 법용이여, 내가 말하는 승의는 말로 할 수 없는 것인데 심사는 말의 경계만 행한다. 그러므로 법용이여, 이 도리에 의하여 마땅히 알라. 승의는 일체 심사의 경계를 뛰어넘는다.
또 법용이여, 내가 말하는 승의는 모든 표시(表示)를 끊은 것인데 심사는 표시의 경계만 행한다. 그러므로 법용이여, 이 도리에 의하여 마땅히 알라. 승의는 일체 심사의 경계의 모습을 뛰어넘는다.
[8 / 86] 쪽
또 법용이여, 내가 말하는 승의는 모든 논쟁이 끊어진 것인데 심사는 시비의 경계만 행한다. 그러므로 법용이여, 이 도리에 의하여 마땅히 알라. 승의는 일체 심사의 경계를 뛰어넘는다.
법용이여, 마땅히 알라. 비유컨대 어떤 사람이 평생토록 맵고 쓴맛만 보았다면, 그는 꿀이나 엿의 가장 묘하고 가장 훌륭한 맛을 생각할 수 없고 비교할 수 없고 믿고 이해할 수도 없을 것이다. 이처럼 혹 어떤 이는 긴 세월 탐욕(貪慾)의 승해로 말미암아 모든 욕심의 치성한 불길에 태워진 까닭에, 안으로 일체 빛깔[色] · 소리[聲] · 냄새[香] · 맛[味] · 감촉[觸]의 모습을 제거한 묘원리(妙遠離)의 즐거움을 생각할 수 없고 비교할 수 없고 믿고 이해할 수도 없다. 혹 어떤 이는 긴 세월 말의 승해로 말미암아 세간의 비단 같은 말들을 즐기고 집착한 까닭에, 안의 고요하고 잠잠한 즐거움을 생각할 수 없고 비교할 수 없고 믿고 이해할 수도 없다. 혹은 긴 세월 보고 듣고 깨닫고 아는 표시의 승해로 말미암아 세간의 모든 표시를 즐기고 집착한 까닭에, 영원히 일체 표시를 끊어 없애고 살가야(薩迦耶)가 없어진 열반을 생각할 수 없고 비교할 수 없고 믿고 이해할 수도 없다.
법용이여, 마땅히 알라. 비유컨대 어떤 사람이 긴 세월 갖가지 아소(我所)와 섭수(攝受)와 쟁론(諍論)의 승해가 있음으로 말미암아 세간의 모든 시비를 즐기고 집착한 까닭에, 아소가 없고 섭수가 없고 쟁론이 없는 북구로주(北拘盧洲)를 생각할 수 없고 비교할 수 없고 믿고 이해할 수도 없는 것과 같다. 이와 같아서 법용이여, 생각으로 찾는 자는 일체 심사의 행을 초월한 승의제의 모습을 생각할 수 없고 비교할 수 없고 믿고 이해할 수도 없다.”
그때 세존께서 거듭 이 뜻을 펴시고자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내증(內證)과 무상(無相)이 행하는 것
말할 수 없고 표시가 끊어졌네.
모든 논쟁을 그친 승의제
일체의 심사(尋思)를 뛰어넘는다.
그때 선청정혜(善淸淨慧)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9 / 86] 쪽
“세존이시여, 매우 기이합니다. 세존이시여, 잘 말씀하셨습니다. 세존께서 말씀하신 바와 같이 승의제의 모습은 미세하고 매우 깊어서 모든 법의 같고 다른 성품과 모습을 뛰어넘어 통달하기 어렵습니다.
세존이시여, 저는 이곳에서 승해행지(勝解行地)를 바르게 수행하는 여러 보살들이 한 곳에 모여 앉아 함께 승의제의 모습을 의논하고, 모든 행상(行相)의 같고 다른 성품과 모습에 대해 의논하는 것을 본 적이 있습니다. 이 모임 가운데 한 무리의 보살은 ‘승의제의 모습과 모든 행의 모습은 전혀 차이가 없다’고 말하고, 한 무리의 보살은 또 ‘승의제의 모습과 모든 행의 모습은 전혀 차이가 없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승의제의 모습과 모든 행의 모습은 다르다’고 말했습니다. 나머지 보살들은 의심하고 망설이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 모든 보살 가운데 누구의 말이 진실하며 누구의 말이 허망한가, 누가 이치대로 행하고 누가 이치대로 행하지 않은 것인가?’ 혹 어떤 이는 ‘승의제의 모습과 모든 행의 모습은 전혀 차이가 없다’고 소리 높여 말하고, 어떤 이는 ‘승의제의 모습과 모든 행의 모습은 다르다’고 소리 높여 말했습니다. 세존이시여, 저는 그들을 보고 속으로 ‘이 모든 선남자는 어리석고 완고하고 밝지 못하고 착하지 못하고 이치대로 행하지 못한다. 승의제는 미세하고 매우 깊어 모든 행의 같고 다른 성품과 모습을 뛰어넘는다는 것을 알지 못하는구나’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때 세존께서 선청정혜보살에게 말씀하셨다.
“선남자여, 그렇고 그렇다. 그대의 말과 같다. 그 모든 선남자는 어리석고 완고하고 밝지 못하고 착하지 못하고 이치대로 행하지 못한다. 승의제는 미세하고 매우 깊어 모든 행의 같고 다른 성품과 모습을 뛰어넘는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왜냐하면 선청정혜여, 모든 행에 대하여 이렇게 행하는 때를 두고 승의제의 모습을 통달하였다고 하거나 승의제에 대하여 깨달음을 얻었다고 하지 않기 때문이다. 무엇 때문인가?
선청정혜여, 만일 승의제의 모습과 모든 행의 모습이 전혀 다르지 않다면 지금 일체 이생(異生)이 모두 이미 진리를 보았어야 하며, 또 모든 이생이 모두 위없는 방편과 편안한 열반을 이미 얻었거나 혹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미 얻었어야 한다. 만일 승의제의 모습과 모든 행의 모습이 한결같이
[10 / 86] 쪽
다르기만 하다면 이미 진리를 본 자라 하더라도 모든 행의 모습은 제거하지 못해야 할 것이다. 만일 모든 행의 모습을 제거하지 못했다면 모습의 속박[相縛]에서 해탈을 얻지 못해야 할 것이며, 이 진리를 본 자는 모든 모습의 속박에서 해탈하지 못한 까닭에 거칠고 무거운 속박[麤重縛]에서도 해탈을 얻지 못해야 할 것이다. 두 가지 속박에서 해탈하지 못한 까닭에 이미 진리를 본 사람이라 해도 위없는 방편과 편안한 열반을 얻지 못해야 할 것이다.
선청정혜여, 지금 모든 이생(異生)은 다 이미 진리를 본 것이 아니며, 모든 이생은 이미 위없는 방편과 편안한 열반을 얻은 것이 아니며, 또한 이미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증득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승의제의 모습과 모든 행의 모습이 전혀 다르지 않다고 하는 것은 도리에 맞지 않다. 만일 이 가운데서 ‘승의제의 모습과 모든 행의 모습은 전혀 다르지 않다’고 이렇게 말한다면, 이러한 도리를 말미암아 마땅히 알라. 그런 것 일체는 이치대로 행하는 것이 아니며, 바른 이치와 같지 않다.
선청정혜여, 지금 진리를 본 자는 모든 행의 모습을 제거해 버릴 수 없는 것이 아니다. 제거해 버릴 수 있다. 진리를 본 자는 모습의 속박에서 해탈할 수 없는 것이 아니다. 해탈할 수 있다. 진리를 본 자는 거칠고 무거운 속박에서 벗어날 수 없는 것이 아니다. 해탈할 수 있다. 두 가지 장애에서 해탈할 수 있기 때문에 또한 위없는 방편과 편안한 열반을 얻을 수 있으며, 혹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증득하기도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승의제의 모습과 모든 행의 모습이 한결같이 다른 모습이라고 하는 것은 도리에 맞지 않다. 만일 이 가운데서 ‘승의제의 모습과 모든 행의 모습은 한결같이 다르다’고 이렇게 말한다면, 이러한 도리를 말미암아 마땅히 알라. 그런 것 일체는 이치대로 행하는 것이 아니며, 바른 이치와 같지 않다.
또 선청정혜여, 만일 승의제의 모습과 모든 행의 모습이 전혀 다르지 않다고 한다면, 모든 행의 모습이 잡염(雜染)의 모습에 떨어지는 것처럼 이 승의제의 모습 역시 잡염의 모습에 떨어져야 할 것이다. 선청정혜여, 만일 승의제의 모습과 모든 행의 모습이 한결같이 다르다고 한다면, 응당 일체 행상의 공상(共相)을 승의제의 모습이라 하지 못할 것이다.
선청정혜여, 지금 승의제의 모습은 잡염의 모습에 떨어지지 않으며, 모든.....
출전 : 불교학술원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해심밀경(解深密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45-3-해심밀경-5 (0) | 2015.11.08 |
---|---|
35-2-해심밀경-4 (0) | 2015.11.02 |
28-2-해심밀경-3 (0) | 2015.10.27 |
18-1-해심밀경-2 (0) | 2015.10.24 |
해심밀경(解心密經) (0) | 2015.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