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有)

이상-기후→이상(異常,1881)-국어사전

근와(槿瓦) 2025. 5. 4. 11:49

이상-기후이상(異常,188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이상(異常,1881)-국어사전 : 정상이 아닌 상태나 현상. ) 이상한 행동. 보통과는 다름. 이제까지와 달리 별남. ) 기분이 이상하다. 의심스러움. ) 행동이 이상하여 주의 깊게 살피다. ) 이상(異狀). ...기후(氣候,375)-국어사전 : 어느 지역의 평균적인 기상 상태. ) 기후가 좋은 지방. 일 년의 24기와 72후를 통틀어 이르는 말. 기절(氣節).

 

참고

정상이 아닌 상태나 현상00정상이정상(正常,2076)-국어사전 : 바른 상태. 이상한 데가 없는 보통의 상태. ) 정상 활동.비정상. ...비정상(非正常,1126)-국어사전 : 정상이 아닌 것. ) 지능의 발달이 비정상이다.정상. ...지능(知能,2190)-국어사전 : 머리의 기능. 지식을 쌓거나 사물을 바르게 판단하거나 하는 지적인 능력. ) 지능이 높다. / 지능이 발달하다. ...발달(發達,931)-국어사전 : (생체 따위가) 자라서 차차 완전한 모양과 기능을 갖추어 감. ) 심신의 발달. 어떤 것의 구실·규모 등이 차차 커져 감. 진보 발전함. ) 도로의 발달이 교통의 발달을 촉진한다. / 저기압이 발달하다. 훌륭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상태로 됨. ) 청각이 발달하다. ...진보(進步,2216)-국어사전 : 사물의 내용이나 정도가 차츰차츰 나아지거나 나아가는 일. ) 향상(向上).퇴보. ...차츰차츰(2253)-국어사전 : 급작스럽지 않게 점점 더 나아가는 모양. ) 몸이 차츰차츰 나아가다. ) 차즘차즘. ...급작스럽다(351)-국어사전 : 생각할 겨를도 없이 매우 급하다. ) 급작스러운 용무. ) 갑작스럽다. ...급하다(-,352)-국어사전 : 일을 서두르거나 다그치는 경향이 있다. ) 너무 급하게 굴다. 사정이 지체할 겨를이 없다. ) 급한 용건이 생기다. / 돈이 급하다. 사정이 몹시 딱하거나 군색하다. ) 입에 풀칠하기도 급하다. 참거나 기다리기가 답답하고 안타깝다. ) 마음이 급하다. 성미가 참을성이 없다. 조급하다. ) 성미가 급하다. 병세가 위태롭다. ) 급한 병. 경사가 가파르다. ) 급한 비탈길을 오르다.느리다. ...느리다(506)-국어사전 : 움직임이나 일을 해내는 속도가 더디다. ) 걸음이 느리다. / 일손이 느리다. 짜임새가 느슨하거나 성글다. ) 멜빵이 좀 느리다.되다⁴③ 성미가 야무지지 못하고 누긋하다. ) 느린 성미.급하다. ...성글다(1319)-국어사전 : 성기다. ...성기다(1319)-국어사전 : 공간적으로 사이가 뜨다. ) 성긴 머리카락을 빗어 넘기다. 관계가 긴밀하지 못하고 버성기다. 성글다. ) 상기다. ...빗다(1134)-국어사전 : 머리털을 빗으로 가지런히 고르다. ...¹(1134)-국어사전 : 머리털을 빗는 데 쓰는 기구. ...가지런하다(31)-국어사전 : (들쭉날쭉하지 않고) 끝이 고르다. ) 하얀 이가 가지런하다. ...고르다²(188)-국어사전 : 울퉁불퉁한 것을 평평하게 하다. ) 길바닥을 고르다. ...울퉁불퉁(1782)-국어사전 : (물체의 거죽이나 바닥이) 고르지 않게 울퉁불퉁한 모양. ) 올통볼통. ...겨를(138)-국어사전 : (어미‘-뒤에 쓰이어) 바쁜 가운데서 달리 활용할 수 있는 시간이나 동안. 가극. . . 여가(餘暇). ) 눈코 뜰 겨를도 없다. ) ...¹(2238)-국어사전 : (두 물체가) 서로 맞붙은 틈. ) 책상 서랍의 짬. (어떤 일의) 겨를. ) 짬을 내다. / 짬이 나다. / 너무 바빠서 잠시의 짬도 없다. (종이 따위를 도련칠 때) 칼이나 붓 끝으로 찍은 작은 표적. ...도련(刀鍊,614)-국어사전 : 종이의 가장자리를 가지런히 베어 내는 일. ) 도련을 치다. ...촉진(促進,2322)-국어사전 : 재촉하여 빨리 진행하도록 함. ) 증산 촉진 대회. / 수출 촉진 정책. ...재촉(2010)-국어사전 : (어떤 일을) 빨리 하라고 좨침. ) 성화같이 재촉하다. (빚돈 따위를) 어서 갚으라고 몰아침. ) 빚돈 재촉에 시달리다. (빨리 이르려고) 바쁘게 움직임. ) 걸음을 재촉하다. 최촉(催促). ...증산(增産,2183)-국어사전 : (계획이나 기준보다) 생산량이 늚, 또는 늘림. ) 퇴비 증산.감산. ...퇴비(堆肥,2441)-국어사전 : ·풀 따위를 썩혀서 만든 거름. 두엄. ) 밭에 퇴비를 주다. ) 금비(金肥). ...감산(減産,61)-국어사전 : 생산량이 줆, 또는 생상량을 줄임.증산(增産). ...썩히다(1498)-국어사전 : [‘썩다1’의 사동] 썩게 하다. ) 아까운 감자를 모두 썩히다. ...썩다(1498)-국어사전 : () 물질이 부패균의 작용으로 본래의 질보다 나쁘게 변하다. ) 생선이 썩다. 활용되어야 할 자재나 물건 따위가 활용되지 않고 아깝게 묵혀 있다. ) 썩고 있는 자재를 이용하다. 좋은 재주나 능력 따위가 제대로 쓰이지 못하고 묵혀 있다. 정신이나 사상·생활·제도 따위가 막되게 변하다. ) 썩은 정신. ()() 걱정이나 근심 따위로 마음이 몹시 상하다. ) 속이 썩다. ...묵히다(859)-국어사전 : [‘묵다의 사동] 제자리에 그냥 묵게 하다. ) 학비 때문에 한 해 묵히고 입학시키다. 쓰지 않고 그냥 묵게 하다. ) 일손이 없어 밭을 여러 해 묵히고 말았다. ...묵다(858)-국어사전 : (일정한 곳에서) 나그네로 날짜를 보내다. ()하다. ) 여관에서 며칠 묵다. (일정한 기간이 지나) 오래되다. ) 1년을 묵다. / 묵은쌀. (논밭 따위가) 쓰이지 못하고 그냥 버려지다. ) 여러 해 묵은 비탈밭. ...여관(旅館,1631)-국어사전 : 나그네를 묵게 하는 일을 업으로 하는 집. 여사(旅舍). 역려(逆旅). ...버려지다버리다¹(980)-국어사전 : 쓰지 못할 것을 없애거나 처치하다. ) 못 쓰게 된 종이를 버리다. 어떤 성격이나 버릇 따위를 떼어 없애다. ) 나쁜 버릇은 버려라. 어떤 생각이나 소망 따위를 떨쳐 없애다. ) 허튼 생각을 버리다. / 가당찮은 소원은 버려라. 직업이나 직장 따위를 그만 두고 손을 떼다. ) 가업(家業)을 버리지 않고 이어 오다. 가정이나 고향 등을 돌보지 않고 떠나거나 관계를 끊다. ) 처자를 버리다. / 고향을 버리고 떠나다. 주의하거나 돌보지 않고 망치거나 망치게 하다. ) 과로로 몸을 버리다. / 아이를 그대로 두면 버리게 된다. 물건 따위를 쓰거나 잘 간수하지 않고 그냥 놓아두다. ) 버려 두었던 책을 다시 정리하다. (‘목숨’‘생명따위 낱말과 함께 쓰이어) 살아 있기를 단념하다. ) 목숨을 버릴지언정 이름을 더럽힐 수는 없다.

...00아닌아니다(1508)-국어사전 : (사실을 부정(否定)하여)‘그렇지 않다는 뜻으로 쓰는 말. ) 인간은 신이 아니다. / 그가 한 말은 사실이 아니다. ) 이다.

...00상태나상태(狀態,1252)-국어사전 : 사물이나 현상이 처해 있는 현재의 모양 또는 형편. ) 평온한 상태.

...00현상현상(現象,2609)-국어사전 : 지각(知覺)할 수 있는 사물의 모양이나 상태. (본질과의 상관 개념으로서) 시간과 공간 속에 나타나는 대상.

 

이상한 행동00이상한이상(異常,1881)-국어사전 : 정상이 아닌 상태나 현상. ) 이상한 행동. 보통과는 다름. 이제까지와 달리 별남. ) 기분이 이상하다. 의심스러움. ) 행동이 이상하여 주의 깊게 살피다. ) 이상(異狀).

...00행동행동(行動,2587)-국어사전 : 몸을 움직임, 또는 그 동작. 행작(行作). ) 행동이 민첩하다. 행위(行爲). ...민첩하다(敏捷-,892)-국어사전 : 재빠르고 날래다. ...재빠르다(2005)-국어사전 : 재치가 있고 날렵하다. ) 재바르다.굼뜨다. ...날렵하다(435)-국어사전 : 재빠르고 날래다. ) 제비처럼 날렵하다. 매끈하게 맵시가 있다. ) 저고리는 섶귀가 날렵하고 예뻐야 한다. ...날래다(435)-국어사전 : (움직임이나 행동이) 나는 듯이 빠르다. ) 몸이 날래어 잡히지 않는다. ...굼뜨다(305)-국어사전 : 동작이 답답할 만큼 느리다. 우통하다.재빠르다.

 

보통과는 다름00보통과는보통(普通,1032)-국어사전 : () 특별하거나 드물거나 하지 않고 예사로움. ) 보통 성적. / 보통 수준의 작품.특별. () 대체로. 대개. 흔히. ) 보통 일곱 시에는 일어난다. ...특별(特別,2451)-국어사전 : (주로 명사 앞에 쓰이어) 보통과 아주 다름. 특수(特殊). ) 특별 대우.보통·일반(一般). ...보통(普通,1032)-국어사전 : () 특별하거나 드물거나 하지 않고 예사로움.특별. () 대체로. 대개. 흔히.

...00다름다르다(521)-국어사전 : 같지 않다. ) 의견이 서로 다르다. / 모양은 달라도 값은 같다.같다. (생각이나 언행 따위가) 예사롭지 않은 점이 있다. ) 역시 전문가라 보는 눈이 다르다. / 이 회사에서 펴낸 책은 뭐가 달라도 다르다. ...같다(81)-국어사전 : 다르지 아니하다. ) 형과 아우의 얼굴이 같다. / 그와 나는 고향이 같다.다르다. (변동이나 변화가 없이) 한결같다. ) 그가 어머니 섬기는 정성은 10년이 하루 같다네. (조사가 붙지 않은 체언에 바로 이어지거나,‘-(·)’, 또는‘-(·)에 이어져) 추측이나 불확실한 단정을 나타냄. ) 저기 가는 저분이 김 선생 같습니다. / 내일이면 다 마칠 것 같다. / 지금 비가 내리고 있는 것 같다. / 이제 다 올라온 것 같다. (서술성이 없는 관형사형같은의 꼴로 쓰이어) 관형사의 뜻을 나타냄. ) 같은 배를 타고 가는 나그네들. / 같은 김씨네끼리의 모임. / 같은 또래의 소년들. (‘같은의 꼴로 쓰이어) 비교·비유의 뜻을 나타냄. ) 꾀꼬리 같은 목소리. / 성인 같은 인품. (‘같은의 꼴로, 같은 명사 사이에 끼이어) 어떤 기준을 나타냄. ) 어디, 사람 같은 사람이라야 상대를 하지. / 물건 같은 물건이 있어야 값이라도 물어 보지. (‘같으면’·‘같다면의 꼴로 쓰이어) 조건이나 가정을 나타냄. ) 그런 상황에서 너 같으면 어떻게 하겠느냐? / 외국 같다면 그런 인사법이 통할지 모르지만. (‘같으니(라고)’의 꼴로 쓰이어) 감탄의 뜻이 담긴 종결 보조사의 하나. 혼잣말투로 남을 욕하거나, 손아랫사람을 꾸짖는 뜻으로 명사에 붙여 쓰는 말. ) 나쁜 놈 같으니. / 후레아들 같으니라고. (친한 사이에서) 가볍게 핀잔을 주거나, 농하여 놀리는 뜻으로 명사에 붙여 쓰는 말. ) 지키지 못할 약속을 하긴 왜 했는가! 실없는 사람 같으니라고.

 

이제까지와 달리 별남00이제까지와이제(1889)-국어사전 : (1) (말하고 있는) 바로 이때. 지금. 현재. ) 예나 이제나 변함이 없다. (2) 바로 이때에. 지금 곧. 지금에 이르러. ) 이제 날이 새려나 보다. ...까지(385)-국어사전 : (체언이나 부사어에 붙어) 어떤 움직이는 상태나 동작이 끝나는 한계를 뜻함. ) 죽음까지 각오한 일대 결단. / 뜻한 바를 이룰 때까지 노력하겠다. 시간이나 공간의 미치는 한도를 뜻함. ) 8시부터 10시까지. / 서울에서 부산까지. (현재의 상태나 정도 위에) 다시 더함을 뜻함. ) 둘이 먹어도 모자라는데 나까지 끼어서야. ...5(1729)-국어사전 : (모음으로 끝난 체언에 붙어) 둘 이상의 사물을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는 뜻을 나타내는 접속 조사. ) 고양이와 개. 비교되는 대상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 ) 언니와 닮은 동생. 함께함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 ) 어머니와 같이 가다. ) . ...(235)-국어사전 : (자음으로 끝난 체언에 붙어) 비교되는 대상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 ) 다음과 같다. 상대가 되는 대상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 ) 고난과 싸워 이기다. 함께함의 뜻을 나타내는 보사격 조사. ) 형과 같이 놀다. 둘 이상의 사물을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는 접속 조사. ) 하늘과 땅. ) .

...00달리달리(549)-국어사전 : 다르게. ) 달리 방법이 없다. / 지난번과 달리 말하다. ...다르게다르다(521)-국어사전 : 같지 않다. ) 의견이 서로 다르다. / 모양은 달라도 값은 같다.같다. (생각이나 언행 따위가) 예사롭지 않은 점이 있다. ) 역시 전문가라 보는 눈이 다르다. / 이 회사에서 펴낸 책은 뭐가 달라도 다르다. ...예사롭다(例事-,1691)-국어사전 : 보통 있는 일이다. 별다를 것이 없다. ...같다(81)-국어사전 : 다르지 아니하다. (변동이나 변화가 없이) 한결같다. (조사가 붙지 않은 체언에 바로 이어지거나,‘-(·)’, 또는‘-(·)에 이어져) 추측이나 불확실한 단정을 나타냄. (서술성이 없는 관형사형같은의 꼴로 쓰이어) 관형사의 뜻을 나타냄. (‘같은의 꼴로 쓰이어) 비교·비유의 뜻을 나타냄. (‘같은의 꼴로, 같은 명사 사이에 끼이어) 어떤 기준을 나타냄. (‘같으면’·‘같다면의 꼴로 쓰이어) 조건이나 가정을 나타냄. (‘같으니(라고)’의 꼴로 쓰이어) 감탄의 뜻이 담긴 종결 보조사의 하나. 혼잣말투로 남을 욕하거나, 손아랫사람을 꾸짖는 뜻으로 명사에 붙여 쓰는 말. (친한 사이에서) 가볍게 핀잔을 주거나, 농하여 놀리는 뜻으로 명사에 붙여 쓰는 말.

...00별남별나다(-,1010)-국어사전 : 보통 것과 매우 다르다. 별하다. ) 성질이 별나다. / 별난 짓만 골라 하네. ...별하다(-,1014)-국어사전 : 보통과 다르다. 별나다. ) 음식 맛이 좀 별하다.

 

기분이 이상하다00기분이기분(氣分,364)-국어사전 : 마음에 생기는 유쾌·불쾌·우울 따위의 주관적이고 단순한 감정 상태. ) 날아갈 듯한 기분. / 기분이 좋다. 분위기. ) 명절 기분이 난다. 한방에서, 혈기(血氣)에 대하여원기(元氣)’를 이르는 말. ...명절¹(名節,807)-국어사전 : ① →명일(名日). 전통적으로 해마다 일정하게 지키어 즐기는 날. [·단오·추석 따위.] ) 추석 명절. / 명절을 쇠다. ...(1310)-국어사전 : 새해의 첫날, 또는 그날을 명절로 이르는 말. 원단(元旦). ) 설을 쇠다. 새해의 첫머리. 연수(年首). 연시(年始). ...단오(端午,541)-국어사전 : 민속에서,‘음력 오월 초닷샛날을 명절로 이르는 말. 단양. 단옷날. 천중절. ...추석(秋夕,2333)-국어사전 : 한가위. ...한가위(2551)-국어사전 : 음력 팔월 보름날. [‘가위를 큰 명절로 이르는 말임.] 가배절. 가위³. 중추(仲秋)¹. 중추절. 추석. 한가윗날. ...가위³(26)-국어사전 : 음력 팔월 보름의 명절. 한가위. 추석. 가배절. ) 가배(嘉俳).

...00이상하다이상(異常,1881)-국어사전 : 정상이 아닌 상태나 현상. ) 이상한 행동. 보통과는 다름. 이제까지와 달리 별남. ) 기분이 이상하다. 의심스러움. ) 행동이 이상하여 주의 깊게 살피다. ) 이상(異狀).

 

의심스러움의심스럽다(1859)-국어사전 : 보기에 의심되는 데가 있다. 의심쩍다. ) 의심스러운 눈빛으로 바라보다. ...의심스레의심스레 살피다. ...의심쩍다(1859)-국어사전 : 의심스러운 데가 있다. 의심스럽다. ) 하는 수작이 영 의심쩍다. ...수작(酬酌,1403)-국어사전 : [술잔을 서로 주고받는다는 뜻에서] 말을 서로 주고받음, 또는 주고받는 그 말. ) 수작을 걸다. 엉큼한 속셈이나 속보이는 짓을 얕잡아 이르는 말. ) 허튼 수작 부리지 마. / 그 따위 수작에 넘어갈 줄 아니? ...엉큼한엉큼하다(1623)-국어사전 : 엉뚱한 욕심을 품고 분수 밖의 짓을 하려는 경향이 있다. ) 앙큼하다. ...분수²(分數,1084)-국어사전 : 자기의 처지에 마땅한 한도. 분한(分限). ) 분수에 맞는 생활. ) (). 사물을 분별하는 슬기. ) 분수가 없는 사람. ...분한(分限,1088)-국어사전 : 신분의 정도. [높음과 낮음, 또는 위아래 따위.] 분수²(分數). 분제(分際). 사물의 정도나 분량. ) 분한이 없다. 분도(分度).

 

행동이 이상하여 주의 깊게 살피다00행동이행동(行動,2587)-국어사전 : 몸을 움직임, 또는 그 동작. 행작(行作). ) 행동이 민첩하다. 행위(行爲).

...00이상하여위와 같습니다.

...00주의주의(注意,2152)-국어사전 : 마음에 새겨 조심함. ) 강의를 주의하여 듣다. 경고나 충고의 뜻으로 일깨워 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짓. ) 따끔하게 주의를 주다. 심리학에서, 외부 환경이나 개체 내부의 여러 자극 가운데서 특정한 것을 분명하게 인정하거나, 그것에만 반응하는 마음의 선택적이고 집중적인 작용이나 상태. ..조심(操心,2112)-국어사전 ; (잘못이나 실수 따위가 없도록) 마음을 씀. ) 몸가짐을 조심하다.

...00깊게깊다(381)-국어사전 : 겉에서 안까지, 또는 위에서 밑까지의 사이가 멀다. ) 깊은 바다. / 강이 깊다. 마음이 침착하고 듬쑥하다. ) 나이는 어리지만 생각은 아주 깊다. 정이나 사귐이 가깝고 두텁다. ) 깊은 사이. 어떤 상태가 오래되어 정도가 더하다. ) 깊은 밤. / 이제 가을도 깊었네. 어떤 수준이나 정도가 높다. ) 문학에 대한 조예가 깊다. 얕다. ...얕다(1591)-국어사전 : 겉에서 안까지, 또는 아래에서 위까지의 길이가 짧다. ) 얕은 개울. / 건물의 지붕이 얕다. 생각이 깊지 못하다. ) 얕은 생각. 정의(情誼) 따위가 두텁지 못하다. ) 정분이 얕다. 학문이나 지식이 적다. ) 얕은 재주. 잠이 깨기 쉬운 상태에 있다. ) 얕은 잠.깊다.

...00살피다살피다¹(1216)-국어사전 : 조심하여 자세히 보다. ) 눈치를 살피다. / 집 안의 동정을 살피다. 어떤 현상을 관찰하거나 미루어 헤아리다. ) 정세를 살피다. ...눈치(503)-국어사전 : 남의 마음이나 일의 낌새를 알아챌 수 있는 힘. ) 눈치가 빠르다. / 눈치가 있다. 겉으로 드러나는 어떤 태도. ) 좀 이상한 눈치였다. 속으로 싫어하는 태도. ) 눈치가 보이다. ...정세(情勢,2077)-국어사전 : 일이 되어 가는 사정과 형세. ) 복잡 미묘한 국제 정세. ...동정(動靜,648)-국어사전 : (어떤 행동이나 상황 등이) 전개되거나 변화되어 가는 낌새나 상태. ) 정국의 동정. / 적의 동정을 살피다. ) 동태·동향.

 

이상(異狀)이상(異狀,1881)-국어사전 : 평소와는 다른 상태. ) 갑작스레 몸에 이상이 생기다. 보통과는 다른 상태나 모양. ) 농약이 묻은 잎에만 이상이 나타난다. ) 이상(異常). ...갑작스레갑작스럽다(69)-국어사전 : 매우 급하게 일어났거나 이루어진 느낌이다. ) 갑작스러운 죽음. / 그가 갑작스럽게 휴학한 이유를 모르겠다. ) 급작스럽다.

 

기후(氣候)위와 같습니다.

 

어느 지역의 평균적인 기상 상태00어느어느(1594)-국어사전 : 분명하지 않은 사물이나 사람··곳 따위를 막연히 가리키는 말.

...00지역의지역(地域,2199)-국어사전 : 일정한 땅의 구역이나 땅의 경계, 또는 그 안의 땅. ...¹(696)-국어사전 : 바다를 제외한 지구의 겉면. . 육지. ② →영토(領土). 영지(領地). ) 만주는 본디 우리 땅이다. 논밭을 두루 이르는 말. ) 땅을 팔아 학비를 대다. . 지방. ) 강원도 땅에는 감자가 많이 난다. 토양. ) 땅이 기름지다.

...00평균적인평균(平均,2488)-국어사전 : (수나 양의) 크고 작음이나 많고 적음의 차이가 나지 않게 한 것, 또는 그러한 차이가 없이 고르게 한 것. 연등(連等). ) 평균 성적. / 평균을 내다. (크고 작은 차이가 난 몇 개의 수의) 중간의 값. 평균치. ...-(,2020)-국어사전 : 일부 한자어 명사 뒤에 붙어,‘그 명사의 상태로 된’‘그런 성질을 띤등의 뜻을 나타냄. ) 예술적. / 인간적. / 과학적.

...00기상기상(氣象,364)-국어사전 : ··바람·구름·기온·기압 등 대기(大氣) 속에서 일어나는 현상.

...00상태상태(狀態,1252)-국어사전 : 사물이나 현상이 처해 있는 현재의 모양 또는 형편. ) 평온한 상태.

 

기후가 좋은 지방00기후가위와 같습니다.

...00좋은좋다¹(2135)-국어사전 : (마음에) 흐믓하여 즐겁다. ) 기분이 좋다. (보기에) 아름답다. ) 경치가 좋다. 훌륭하다. ) 가문이 좋다. 바르고 착하다. ) 좋은 친구. 슬기롭고 뛰어나다. ) 좋다. (잘 사귀어) 정답다. 친하다. ) 금실이 좋다. / 좋은 사이. 효험이 있다. ) 이 약은 감기에 좋다. 알맞다. 적당하다. ) 기회가 좋다. / 좋은 맞수. (다른 것보다) 낫다. ) 이 책이 더 좋다. 이롭다. ) 되도록 이면 빨리 시작하는 것이 좋다. 상관없다. 괜찮다. ) 아무래도 좋다. 마음에 들다. 마땅하다. ) 본인이 좋다는 데야 하는 수 없지. 경사스럽다. 기쁘다. ) 이와 같이 좋은 날 아니 놀고 어쩌리오. (말씨나 태도 따위가) 순하고 부드럽다. ) 좋은 말로 타이르다. 넉넉하고 푸지다. ) 값을 좋게 쳐주다. 상서롭다. 길하다. ) 좋은 날을 받다. 밝고 환하다. ) 분위기가 참 좋다. / 얼굴이 좋아 보인다. (날씨 따위가) 맑다. ) 날씨가 썩 좋다. 보기에 나쁘거나 싫은 것을 두고 빈정거릴 때 하는 말. ) 꼴 좋다. (명사형 어미‘--’뒤에 쓰이어) 쉽다. 어렵지 않다. ) 활자가 굵어서 보기 좋다.

...00지방지방(地方,2195)-국어사전 : 어느 한 방면의 땅. ) 온대 지방. / 중부 지방. 한 나라의 수도(首都)나 대도시 이외의 고장. ) 지방에 있는 학교.중앙. ...온대(溫帶,1719)-국어사전 : 위도상 남북 회귀선과 극권 사이의 지대, 또는 연평균 기온이 섭씨 10~20도 사이인 지대. ) 냉대·열대·한대. ...회귀선(回歸線,2664)-국어사전 : 적도의 남북 위도 23°27을 지나는 위선. ) 남회귀선. / 북회귀선. ...온대기후(溫帶氣候,1719)-국어사전 : 온대의 일반적인 기후. ·여름·가을·겨울의 사철의 구별이 뚜렷하고, 여름은 열대냉대 기후와 비슷하며 겨울은 냉대 기후와 비슷함. ...중부(中部,2170)-국어사전 : 어떤 지역의 가운데 부분. ) 중부 지방. 조선 시대에, 서울 안을 다섯으로 나눈 구역의 하나, 또는 그를 맡아 다스리던 관아. ...관아(官衙,247)-국어사전 : 지난날, 관원이 모여서 공무를 보던 곳. 관사(官司). 마을. 공아(公衙). ...위도(緯度,1801)-국어사전 : 지구 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의 한 가지. 적도에서 남북으로 잰 각거리. 적도를 로 하여 남북 각 90°에 이르며, 북으로 잰 것이 북위, 남으로 잰 것이 남위임. 씨도. ) ().경도(經度)¹...경도¹(經度,156)-국어사전 : 지구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의 한 가지. 그리니치 자오선의 자오면과 다른 자오선의 자오면이 이루는 각도를 나타냄. [지구의 표면을 동서로 각각 180°로 나누고, 동경 몇 도, 서경 몇 도 따위로 부름.] 날도. ) ()².위도(緯度). ...그리니치-(Greenwich,327)-국어사전 : 그리닟 천문대를 지나는 본초 자오선을 기준한 세계 표준시. 평균 태양이 이 자오선을 지나는 시간을 정오로 하여 전 세계의 지방시·표준시를 정함. ...냉대(冷帶,462)-국어사전 : 온대와 한대의 사이에 있으며, 대체로 북위 40~67°의 지역. 아한대. ) 온대·한대. ...아한대(亞寒帶,1527)-국어사전 : 온대와 한대의 중간에 있는 지역. 대체로 남·북위 40°~ 67°의 지역. 냉대(冷帶). 냉온대. ...열대(熱帶,1665)-국어사전 : 위도 상 적도를 중심으로 남북 회귀선 사이의 지대. 또는, 연평균 기온이 섭씨 20도 이상인 지대. ) 냉대·온대·한대. ...한대(寒帶,2553)-국어사전 : 위도상 남북으로 각각 66.33°에서 양 극점까지의 지대. 기온이 가장 높은 달의 평균 기온이 10이하임. ) 열대·온대·냉대. ...수도(首都,1388)-국어사전 : 한 나라의 중앙 정부가 있는 도시. 서울. 수부(首府).

일 년의 24기와 72후를 통틀어 이르는 말00(·,1909)-국어사전 : (1) 하나. 1. (2) (일부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앞에 쓰이어) 그 수량이 하나임을 나타내는 말. ) 일 그램. 그 순서가 첫 번째임을 나타내는 말. ) 삼국지 일 권.

...00년의(,1647)-국어사전 : 한 해. ²) 12%의 이자. / 4회 발간하다. / 연에 1할씩의 선이자를 떼다.

...0024기와이십사기(二十四氣,1883)-국어사전 : 이십사절기.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1884)-국어사전 : 태양의 황도(黃道) 상의 위치에 따라 일 년을 스물넷으로 나눈 계절의 구분. 이십사기. 이십사절후. ) 이십사절. ...황도(黃道,2569)-국어사전 : 지구에서 보아, 태양이 지구를 중심으로 운행하는 것처럼 보이는 천구(天球) 상의 대원(大圓) 궤도. 적도에 대하여 2327분 쯤 기울어져 있으며, 태양이 남에서 북으로 적도를 가로지르는 점이 춘분점임.

...가을(27)-국어사전 : 한 해의 네 철 가운데 셋째 철. 여름과 겨울 사이의 계절로 입추에서 입동 전까지를 이름. ) ²

...입추(立秋,1933)-국어사전 : 이십사절기의 하나. 대서(大暑)와 처서(處暑) 사이로, 88일경. 이 무렵에 가을이 시작된다고 함.

...대서(大暑,579)-국어사전 : 이십사절기의 하나. 소서(小暑)와 입추(立秋) 사이로, 양력 724일경. 이 무렵이 가장 덥다고 함.

...소서(小暑,1353)-국어사전 : 이십사절기의 하나. 하지(夏至)와 대서(大暑) 사이로, 양력 77일경. 이 무렵에 여름 더위가 시작된다고 함.

...처서(處暑,2276)-국어사전 : 이십사절기의 하나. 입추(立秋)와 백로(白露) 사이로, 823일경. 이 무렵부터 여름 더위가 가시기 시작한다고 함. ...백로(白露,967)-국어사전 : 이십사절기의 하나. 열다섯째. 처서와 추분 사이로, 98일경. 이 무렵에 이슬이 내리며 가을 기운이 스며들기 시작한다고 함.

...추분(秋分,2333)-국어사전 : 이십사절기의 하나. 백로(白露)와 한로(寒露) 사이로, 923일경. 일년 중 낮과 밤의 길이가 꼭 같음.

...한로(寒露,2555)-국어사전 : 이십사절기의 하나. 추분(秋分)과 상강(霜降) 사이로, 109일경. 이 무렵부터 찬 이슬이 내리기 시작한다고 함. ...상강(霜降,1234)-국어사전 : 이십사절기의 하나. 한로(寒露)와 입동(立冬) 사이로, 1023일경임. 이 무렵에 서리가 내리기 시작한다고 함.

...입동(立冬,1930)-국어사전 : 이십사절기의 하나. 상강(霜降)과 소설(小雪) 사이로, 118, 9일경. 이 무렵에 겨울이 시작된다고 함.

...¹(2291)-국어사전 : (자연 현상에 따라) 한 해를 네 시기로 나눈 중의 한 시기. 계절. 시절. 한 해 가운데서 무엇을 하기에 알맞거나, 많이 하는 때(시기). <제철>의 준말.

...여름(1634)-국어사전 : 한 해의 네 철 가운데의 둘째 철. 봄과 가을 사이의 계절로, 입하부터 입추 전까지를 이름.

...입하(立夏,1933)-국어사전 : 이십사절기의 하나. 곡우(穀雨)와 소만(小滿) 사이로, 56일경. 이 무렵에 여름이 시작된다고 함.

...곡우(穀雨,207)-국어사전 : 이십사절기의 하나. 청명(淸明)과 입하(立夏) 사이로, 420일께. 이 무렵에 곡식이 자라는 데 이로운 비가 내리기 시작한다고 함.

...청명(淸明,2302)-국어사전 : 이십사절기의 하나. 춘분(春分)과 곡우(穀雨) 사이로 양력 45, 6일경. 이 무렵에 맑고 밝은 봄날씨가 시작된다고 함.

...춘분(春分,2340)-국어사전 : 이십사절기의 하나. 경칩(驚蟄)과 청명(淸明) 사이로, 321일경. 일 년 중 낮과 밤의 길이가 꼭같다고 함.

...경칩(驚蟄,166)-국어사전 :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의 하나. 우수(雨水)와 춘분(春分) 사이로, 35일경. 이 무렵에 땅속의 벌레들이, 얼음이 풀리고 우레가 울며 비가 오는 데 놀라 겨울잠에서 깨어나 꿈틀거린다고 함. ...우수(雨水,1771)-국어사전 : 이십사절기의 하나. 입춘(立春)과 경칩(驚蟄) 사이로, 219일께. 이 무렵에 생물을 소생시키는 봄비가 내리기 시작한다고 함.

...입춘(立春,1933)-국어사전 : 이십사절기의 하나.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로, 24일경. 이 무렵에 봄이 시작된다고 함.

...대한(大寒,592)-국어사전 : 이십사절기의 하나. 소한(小寒)과 입춘(立春) 사이로, 양력 121일경. 이 무렵이 일년 중 가장 춥다고 함.

...소한(小寒,1362)-국어사전 : 이십사절기의 하나. 동지(冬至)와 대한(大寒) 사이로, 양력 16일경. 이 무렵부터 겨울 추위가 시작된다고 함.

...소만(小滿,1349)-국어사전 : 이십사절기의 하나. 입하(立夏)와 망종(芒種)의 사이로, 521일경. 이 무렵에 밀보리가 여물기 시작한다고 함.

...망종(芒種,770)-국어사전 : 이십사절기의 하나. 소만(小滿)과 하지(夏至) 사이로, 66일경. 이 무렵에 보리는 익어 먹게 되고 모를 심게 된다고 함.

...하지(夏至,2545)-국어사전 : 이십사절기의 하나. 망종(芒種)과 소서(小暑) 사이로, 621일경. 북반구에서는 낮이 가장 긴 날.동지(冬至).

...동지(冬至,649)-국어사전 : 이십사절기의 하나.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로, 1222일경임. 북반구에서는 연중 밤이 가장 긴 날. 이 무렵이 한 해 중에서 밤이 가장 길다고 함. 남지(南至).하지(夏至). ) 아세(亞歲). <동짓달>의 준말.

...대설(大雪,579)-국어사전 : 이십사절기의 하나. 소설과 동지 사이로, 128일경. 이 무렵에 눈이 가장 많이 내린다고 함.

...소설(小雪,1353)-국어사전 : 이십사절기의 하나. 입동(立冬)과 대설(大雪) 사이로, 양력 1122일경. 이 무렵부터 눈이 내리기 시작한다고 함.

...겨울(138)-국어사전 : 한 해의 네 철 가운데 넷째 철. 가을과 봄 사이의 계절로 입동과 입춘 전까지를 이름. ) ³

...(1051)-국어사전 : 한 해의 네 철 가운데의 첫째 철. 겨울과 여름 사이의 계절로 입춘에서 입하 전까지를 이름. 한창 때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희망찬 앞날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0072후를칠십이후(七十二候,2363)-국어사전 : 음력에서, 1년을 72기후로 나눈 것. [닷새가 1후임.]

...00통틀어통틀다(2439)-국어사전 : 있는 대로 모두 한 데 묶다.

...00이르는이르다²(1876)-국어사전 : (무엇이라고) 말하다. ) 공자가 이르기를… ② 일정한 시간에 미치다. ) 새벽녘에 이르러 비로소 열이 내리기 시작하였다. 어느 정도나 범위에 미치다. ) 어린이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다 모였다. ...말하다(765)-국어사전 : 생각이나 느낌을 말로써 남에게 이르다. ) 소감(所感)을 말하다. 어떠한 사실을 남에게 알리다. ) 그에게 계획이 바뀐 사실을 말하다. 어떤 일을 부탁하다. ) 그곳 사정을 알려 달라고 말하다. (사물의 선악이나 값어치 등을) 평하여 이르다. ) 그의 사람 됨을 누구나 좋게 말하다. 어떤 사실을 드러내거나 뜻하다. ) 옛 영화(영화)를 말해 주는 찬란한 유물들.

...00(759)-국어사전 : 사람이 생각이나 감정을 나타내는 데 쓰는 음성, 또는 그것을 문자로 나타낸 것. 언어. ) 상냥한 말. / 우리 겨레 고유의 말. / 다른 말로 표현하다. / 말로는 못할 일이 없다. 무엇에 관련된 이야기. ) 그는 낚시 말만 나오면 신이 난다. ) 말씀. ...음성(音聲,1849)-국어사전 : 사람의 발음 기관에서 나오는 소리. 말소리. 목소리. ...음성(音聲,2009)-뉴사전 : . 소음. , sadda <那先經 AB 32696, 712> 소리. , ghosa , svara <灌頂經 1221533> <要集 437>解諸音聲呪, miga-cakka (짐승의 음성을 해석하는 것.) <四分律 5322960: DN. , p.9> ...언어(言語,1611)-국어사전 : 생각이나 느낌을 음성으로 전달하는 수단과 체계. [문자의 사용도 포함하여 말하기도 함.] . ...언어(言語,1701)-뉴사전 : . , vac 담화하는 것. <灌頂經 1221635> <徒然草 108> 말하여 나타나는 것. , abhidhana <中論 18·7> 주장의 말. , vacana <廻諍論 3215: ad Vigr. Vy. 1>

 

기절(氣節,371)-국어사전 : 기개와 절조. ② →기후¹(氣候) ...기개(氣槪,354)-국어사전 : 어떤 어려움에도 굽히지 않는 강한 의지, 또는 그러한 기상. 의기(意氣). ) 대한 남아의 기개. ...절조(節操,2058)-국어사전 : 절개와 지조. (). ...절개(節介,2054)-국어사전 : 옳은 일을 지키어 뜻을 굽히지 않는 굳건한 마음이나 태도. ...굳건하다(302)-국어사전 : 굳세고 건실하다. ...지조(志操,2202)-국어사전 : 곧은 뜻과 절조(節操). ) 지조를 지키다. / 지조 높은 선비. ...기상(氣像,364)-국어사전 : 사람이 타고난, 꿋꿋한 바탕이나 올곧은 마음씨, 또는 그것이 겉으로 드러난 모습. ) 진취적인 기상. / 대장부의 씩씩한 기상. ...진취(進取,2221)-국어사전 : (관습에 사로잡힘이 없이) 스스로 나아가서 새로운 일을 함. 적극적으로 나서서 일을 이룸. ) 진취의 기상이 믿음직스럽다.퇴영(退嬰). ...진취(進取,2221)-국어사전 : (관습에 사로잡힘이 없이) 스스로 나아가서 새로운 일을 함. 적극적으로 나서서 일을 이룸. ) 진취의 기상이 믿음직스럽다.퇴영(退嬰). ...퇴영(退嬰,2441)-국어사전 : 뒤로 물러가 틀어박힘. 기상이 퇴보적임.진취. ...틀어박히다(2455)-국어사전 : [‘틀어박다의 피동] 틀어박음을 당하다. ) 잔뜩 틀어박힌 대못을 가까스로 빼다. / 다락에 틀어박혀 있던 선풍기를 꺼내어 깨끗이 닦았다. 밖으로 나가지 않고 한곳에만 있다. 죽치고 있다. ) 밤낮 집에만 틀어박혀 있다. ...틀어박다(2455)-국어사전 : 좁은 곳에 억지로 돌리면서 들어가게 하다. 무엇을 어떤 곳에 함부로 넣어 두다. ...죽치다(2161)-국어사전 : 활동하지 않고 한곳에 오랫동안 붙박히다. (주로,‘죽치고의 꼴로 쓰임.) ) 하는 일 없이 매일 집에서만 죽치고 있다. ...붙박이다(1107)-국어사전 : [‘붙박다의 피동] 한곳에만 박혀 있어 움직이지 아니하다. ...붙박다(1107)-국어사전 : 한곳에 꽉 박이어 움직이지 않게 하다. (주로,‘붙박아의 꼴로 쓰임.) ) 천장에 전등을 붙박아 놓았다. ...박이다¹(912)-국어사전 : 한곳에 붙어 있거나 끼어 있다. ) 볼에 점이 박이다. (오랜 버릇 따위가) 몸에 배다. ) 커피에 인이 박이다. (어떤 생각 따위가) 깊이 배다. ) 낡은 사상이 머릿속에 박여 있다. 손바닥이나 발바닥 같은 데 못이 생기다. ) 손바닥에 못이 박이다. ...전등(電燈,2035)-국어사전 : <전기등>의 준말. ) 전등을 켜다(끄다). ...전기등(電氣燈,2032)-국어사전 : 전력을 광원(光源)으로 한 등. ) 전등. ...0전력(電力,2036)-국어사전 : 전류가 단위 시간에 하는 일, 또는 단위 시간에 사용되는 전기 에너지의 양. ...전류(電流,2036)-국어사전 : 전하(電荷)가 이동하는 현상. 도체 내의 전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며, 양전기가 흐르는 방향을 그 방향으로 함. ...전하(電荷,2052)-국어사전 : 물체가 띠고 있는 전기, 또는 그 전기의 양(). ...전위(電位,2044)-국어사전 : 어느 한 점에서 전기적(電氣的) 작용을 미칠 수 있는 에너지의 양. ) 전압. ...전압(電壓,2043)-국어사전 : 전장(電場)이나 도체 내에 있는 두 점 사이의 전위(電位)의 차. 단위는 볼트(volt). [약호는 V] 전위차(電位差). ) 전위. ...수력(水力,1389)-국어사전 : 물의 힘. 물이 가지고 있는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를 변환시킨 동력. ...운동에너지(運動energy,1777)-국어사전 : 물리에서, 운동하고 있는 물체가 갖는 에너지. [물체의 질량을 m, 속도를 v라 할 때 물체의 운동 에너지는 1/2mv²으로 나타냄.] ...0광원(光源,254)-국어사전 : 태양·전구·촛불 등, 빛을 내는 근원. 발광체. ) 전등을 광원으로 한 환등기. ...태양(太陽,2413)-국어사전 : 태양계의 중심을 이루는 항성. 거대한 고온의 가스 덩어리임. . 길이 자랑스럽고 희망을 주는 존재를 상징하여 이르는 말. ) 민족의 태양. 사상(四象)의 하나. 양기만 있고 음기는 조금도 없는 상태.태음. ...양기(陽氣,1580)-국어사전 : 만물이 생성하고 움직이려고 하는 기운. 양의 기운. 한방에서, 몸 안의 양의 기운을 이름. 남자의 성적 정력.음기. ...음기(陰氣,1848)-국어사전 : 만물이 생성하는 근본이 되는 정기(精氣)의 한 가지. 음의 기운. 음산하고 찬 기운. 음침한 기운. ) 음기가 돌다. 한방에서, 몸 안의 음과 관련된 기운을 이르는 말. ) 음기를 돕는 약.양기. ...음산하다(陰散-,1849)-국어사전 : 날씨가 흐리고 으스스하다. ) 음산한 날씨. 을씨년스럽고 썰렁하다. ) 음산한 사무실 분위기. ...을씨년스럽다(1847)-국어사전 : 보기에 쓸쓸하다. ) 을씨년스러운 겨울 바다. / 날씨가 을씨년스럽다. 보기에 군색한 듯하다. ) 을씨년스러운 살림살이. ...쓸쓸하다(1502)-국어사전 : (날씨가) 으스스하고 썰렁하다. 외롭고 적적하다. 소연(蕭然)하다. ) 객지 생활이 쓸쓸하다. ...소연하다(蕭然-,1356)-국어사전 : 쓸쓸하다. ) 소연한 초겨울의 들판. ...썰렁하다(1498)-국어사전 : <설렁하다>의 센말. ) 집 안이 썰렁하다. / 썰렁한 바닷바람. ) 쌀랑하다. ...설렁하다(1312)-국어사전 : (서늘한 기운이 있어) 좀 추운 듯하다. 갑자기 놀라 가슴속에 찬 바람이 도는 것 같다. 텅 빈 듯이 휑뎅그렁하다. ) 사무실이 설렁하다. ) 살랑하다. ) 썰렁하다. ...휑뎅그렁하다(2682)-국어사전 : 속이 비고 넓기만 하여 매우 허전하다. ) 휑하다. 넓은 곳에 물건이 얼마 없어 거의 빈 것 같다. ) 휑댕그렁하다. ...휑하다(2682)-국어사전 : (사물의 이치나 학문 따위에) 막힘이 없이 두루 통하여 알고 있다. ) 한국 문학에 휑하다. 속이 넓고 텅 비어 있다. ) 동굴 속이 휑하고 어둑하다. 구멍 따위가 시원스럽게 뚫려 있다. <휑뎅그렁하다>의 준말. ) 횅하다. ...어둑하다(1594)-국어사전 : 조금 어둡다. ) 날이 흐려서 낮인데도 어둑하다. 되바라지지 않고 어수룩한 데가 있다. ) 세상 물정에 어둑하다. ...태음(太陰,2414)-국어사전 : (태양에 대하여)‘을 이르는 말. 사상(四象)의 하나. 음기(陰氣)만 있고 양기(陽氣)가 조금도 없는 상태.태양. ...사상(四象,1172)-국어사전 : 천체에서, (((()을 이르는 말. ()에서, 소양(少陽태양(太陽소음(少陰태음(太陰)을 이르는 말. 땅속의 물···돌을 이르는 말. ...전구(電球,2030)-국어사전 : 공 모양의 둥근 전등. 전등알. ) 백열전구. ...(216)-국어사전 : 고무나 가죽 따위로 둥글게 만들어 속에 공기 또는 다른 물건을 넣은 운동 기구. ) 구르는 공. / 공을 던지다. ② →(). 당구를 칠 때 사용하는, 상아로 만든 알. ...구르다¹(273)-국어사전 : 데굴데굴 돌면서 옮겨 가다. ) 언덕에서 굴러 떨어지다. 총포를 쏠 때, 반동으로 그 총포가 뒤로 되튀다. ) 굴다¹...당구(撞球,558)-국어사전 : 일정한 대 위에 상아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붉은 공과 흰 공을 놓고, 큐로 쳐서 맞히어 그 득점으로 승부를 겨루는 실내 오락. ...상아(象牙,1246)-국어사전 : 코끼리의 위턱에 기렉 뻗은 두 개의 어금니. 옅은 황백색이며 결이 치밀하고 아름다워 여러 가지 세공품에 쓰임. ...코끼리(2378)-국어사전 : 코끼릿과의 포유동물. 육지에 사는 동물 가운데서 가장 큰 동물로서 어깨 높이 3.5m가량이고 몸무게는 5~7t에 이름. 피부는 회흑색으로 매우 두꺼우며 원통형의 코가 갈게 늘어져 있음. 상아(象牙)는 윗잇몸에서 돋아난 앞니인데 일생 동안 자람. 초식 동물로 삼림이나 초원에서 무리를 지어 살아감. ...전등(電燈,2035)-국어사전 : <전기등>의 준말. ) 전등을 켜다(끄다). ...전기등(電氣燈,2032)-국어사전 : 전력을 광원(光源)으로 한 등. ) 전등. ...0전력(電力,2036)-국어사전 : 전류가 단위 시간에 하는 일, 또는 단위 시간에 사용되는 전기 에너지의 양. ...전류(電流,2036)-국어사전 : 전하(電荷)가 이동하는 현상. 도체 내의 전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며, 양전기가 흐르는 방향을 그 방향으로 함. ...전하(電荷,2052)-국어사전 : 물체가 띠고 있는 전기, 또는 그 전기의 양(). ...전위(電位,2044)-국어사전 : 어느 한 점에서 전기적(電氣的) 작용을 미칠 수 있는 에너지의 양. ) 전압. ...전압(電壓,2043)-국어사전 : 전장(電場)이나 도체 내에 있는 두 점 사이의 전위(電位)의 차. 단위는 볼트(volt). [약호는 V] 전위차(電位差). ) 전위. ...수력(水力,1389)-국어사전 : 물의 힘. 물이 가지고 있는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를 변환시킨 동력. ...운동에너지(運動energy,1777)-국어사전 : 물리에서, 운동하고 있는 물체가 갖는 에너지. [물체의 질량을 m, 속도를 v라 할 때 물체의 운동 에너지는 1/2mv²으로 나타냄.] ...0광원(光源,254)-국어사전 : 태양·전구·촛불 등, 빛을 내는 근원. 발광체. ) 전등을 광원으로 한 환등기. ...태양(太陽,2413)-국어사전 : 태양계의 중심을 이루는 항성. 거대한 고온의 가스 덩어리임. . 길이 자랑스럽고 희망을 주는 존재를 상징하여 이르는 말. ) 민족의 태양. 사상(四象)의 하나. 양기만 있고 음기는 조금도 없는 상태.태음. ...양기(陽氣,1580)-국어사전 : 만물이 생성하고 움직이려고 하는 기운. 양의 기운. 한방에서, 몸 안의 양의 기운을 이름. 남자의 성적 정력.음기. ...음기(陰氣,1848)-국어사전 : 만물이 생성하는 근본이 되는 정기(精氣)의 한 가지. 음의 기운. 음산하고 찬 기운. 음침한 기운. ) 음기가 돌다. 한방에서, 몸 안의 음과 관련된 기운을 이르는 말. ) 음기를 돕는 약.양기. ...음산하다(陰散-,1849)-국어사전 : 날씨가 흐리고 으스스하다. ) 음산한 날씨. 을씨년스럽고 썰렁하다. ) 음산한 사무실 분위기. ...을씨년스럽다(1847)-국어사전 : 보기에 쓸쓸하다. ) 을씨년스러운 겨울 바다. / 날씨가 을씨년스럽다. 보기에 군색한 듯하다. ) 을씨년스러운 살림살이. ...쓸쓸하다(1502)-국어사전 : (날씨가) 으스스하고 썰렁하다. 외롭고 적적하다. 소연(蕭然)하다. ) 객지 생활이 쓸쓸하다. ...소연하다(蕭然-,1356)-국어사전 : 쓸쓸하다. ) 소연한 초겨울의 들판. ...썰렁하다(1498)-국어사전 : <설렁하다>의 센말. ) 집 안이 썰렁하다. / 썰렁한 바닷바람. ) 쌀랑하다. ...설렁하다(1312)-국어사전 : (서늘한 기운이 있어) 좀 추운 듯하다. 갑자기 놀라 가슴속에 찬 바람이 도는 것 같다. 텅 빈 듯이 휑뎅그렁하다. ) 사무실이 설렁하다. ) 살랑하다. ) 썰렁하다. ...휑뎅그렁하다(2682)-국어사전 : 속이 비고 넓기만 하여 매우 허전하다. ) 휑하다. 넓은 곳에 물건이 얼마 없어 거의 빈 것 같다. ) 휑댕그렁하다. ...휑하다(2682)-국어사전 : (사물의 이치나 학문 따위에) 막힘이 없이 두루 통하여 알고 있다. ) 한국 문학에 휑하다. 속이 넓고 텅 비어 있다. ) 동굴 속이 휑하고 어둑하다. 구멍 따위가 시원스럽게 뚫려 있다. <휑뎅그렁하다>의 준말. ) 횅하다. ...어둑하다(1594)-국어사전 : 조금 어둡다. ) 날이 흐려서 낮인데도 어둑하다. 되바라지지 않고 어수룩한 데가 있다. ) 세상 물정에 어둑하다. ...태음(太陰,2414)-국어사전 : (태양에 대하여)‘을 이르는 말. 사상(四象)의 하나. 음기(陰氣)만 있고 양기(陽氣)가 조금도 없는 상태.태양. ...사상(四象,1172)-국어사전 : 천체에서, (((()을 이르는 말. ()에서, 소양(少陽태양(太陽소음(少陰태음(太陰)을 이르는 말. 땅속의 물···돌을 이르는 말. ...전구(電球,2030)-국어사전 : 공 모양의 둥근 전등. 전등알. ) 백열전구. ...(216)-국어사전 : 고무나 가죽 따위로 둥글게 만들어 속에 공기 또는 다른 물건을 넣은 운동 기구. ) 구르는 공. / 공을 던지다. ② →(). 당구를 칠 때 사용하는, 상아로 만든 알. ...구르다¹(273)-국어사전 : 데굴데굴 돌면서 옮겨 가다. ) 언덕에서 굴러 떨어지다. 총포를 쏠 때, 반동으로 그 총포가 뒤로 되튀다. ) 굴다¹...당구(撞球,558)-국어사전 : 일정한 대 위에 상아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붉은 공과 흰 공을 놓고, 큐로 쳐서 맞히어 그 득점으로 승부를 겨루는 실내 오락. ...상아(象牙,1246)-국어사전 : 코끼리의 위턱에 기렉 뻗은 두 개의 어금니. 옅은 황백색이며 결이 치밀하고 아름다워 여러 가지 세공품에 쓰임. ...코끼리(2378)-국어사전 : 코끼릿과의 포유동물. 육지에 사는 동물 가운데서 가장 큰 동물로서 어깨 높이 3.5m가량이고 몸무게는 5~7t에 이름. 피부는 회흑색으로 매우 두꺼우며 원통형의 코가 갈게 늘어져 있음. 상아(象牙)는 윗잇몸에서 돋아난 앞니인데 일생 동안 자람. 초식 동물로 삼림이나 초원에서 무리를 지어 살아감. ...촛불(2324)-국어사전 : 초에 켠 불. ...(2312)-국어사전 : 불을 밝히는 데 쓰는 물건. [·백랍·쇠기름 따위를 끓여서 둥근 막대기 모양으로 굳혀 만드는데, 가운데에 실 따위로 심지를 박음.] ...²(893)-국어사전 : 꿀 찌끼를 끓여 만든 물질. 꿀벌이 집을 짓는 데 밑자리로 삼는 벌개로 씀. . 밀랍. 황랍. ...(404)-국어사전 : 꿀벌이 꽃에서 따다가 먹이로 저장해 두는 달콤한 액체. 봉밀(蜂蜜). 청밀(淸蜜). ...꿀벌(404)-국어사전 : 꿀벌과의 곤충. 몸길이 1~1.5m. 몸빛은 흑색인데, 배 쪽은 황갈색의 가로띠 또는 황백색의 잔털로 덮여 있고, 날개는 투명한 회색임. 한 마리의 여왕벌을 중심으로 수백 마리의 수벌과 5,6만 마리의 일벌이 한 집단을 이룸. 몸에 독침이 있고 벌집에 꿀을 모아 먹이로 함. 예부터 꿀을 얻기 위하여 기름. 밀봉(蜜蜂). 참벌. ...백랍(白蠟,967)-국어사전 : 백랍벌레의 집, 또는 백랍벌레의 수컷의 유충이 분비한 물질을 가열·용해하여 찬물로 식혀서 만든 물건. [고약·초 따위의 원료로 쓰임.] (). 수랍(水蠟). ...쇠기름(1381)-국어사전 : 소기름. 소의 기름. 우지(牛脂). ...고약(膏藥,196)-국어사전 : 헌데나 곪은 데에 붙이는 끈끈한 약. [약제를 유지에 개어 만듦.] 검은약. ...곪다(213)-국어사전 : 상처나 염증에 고름이 생기다. ) 이가 아프더니 잇몸까지 곪았다. ...타고나다(2393)-국어사전 : (복이나 재주·마음 따위를) 본디부터 지니고 태어나다. ) 먹을 복을 타고나다. ...꿋꿋하다(405)-국어사전 : 마음이나 뜻이 곧고 굳세다. ) 꼿꼿하다. ) 꿋꿋하게 고난을 견뎌 나가다. ) 꼿꼿하다. ...굳세다(302)-국어사전 : 뜻한 바를 굽히지 않고 밀고 나아가는 힘이 있다. ) 굳센 의지. 힘차고 튼튼하다. ) 힘이 절로 솟는 굳센 팔과 다리. ...올곧다(1722)-국어사전 : (마음씨가) 곧고 바르다. ...고난(苦難,183)-국어사전 : 괴로움과 어려움. 고초(苦楚). ...고초(苦楚,203)-국어사전 : 고난(苦難). ) 고초를 겪다. ...기상(氣象,364)-국어사전 : ··바람·구름·기온·기압 등 대기(大氣) 속에서 일어나는 현상. ...00²(1110)-국어사전 : 대기 중의 수증기가 식어서 물방울이 되어 땅 위로 떨어지는 것. 화투짝의 한 가지. ()를 그린, 12월을 상징하는 딱지. ...005(501)-국어사전 : 기온이 0이하일 때 대기의 상층에서 수증기가 응결하여 땅에 내리는 흰 결정체. ...수증기(水烝氣,1406)-국어사전 : 물이 증발하여 생긴 기체, 또는 기체 상태로 되어 있는 물. ) 증기. ...증발하여증발(蒸發,2183)-국어사전 : 액체가 그 표면에서 기체로 변하는 일. ) 승화. 사람이나 물건이 갑자기 사라져 행방불명이 됨을 속되게 이르는 말. ...승화(昇華,1437)-국어사전 : 고체가 액체 상태를 거치지 않고 기체로 변하는 일. 장뇌(樟腦드라이아이스 및 0이하의 얼음 따위에서 볼 수 있음. 정신 분석학에서, 저속한 성욕적 에너지가 고상한 문화·예술적 에너지로 전환함을 이르는 말. 사물이 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발전하는 일. ) 세속적 고뇌가 고귀한 신앙으로 승화되었다. ...장뇌(樟腦,1988)-국어사전 : 휘발성과 방향(芳香)이 있는 무색 반투명의 결정체. 녹나무의 잎·줄기·뿌리 따위를 증류·냉각시켜 얻음. 방충·방취제나 필름 제조 등에 쓰임. ...휘발성(揮發性,2683)-국어사전 : 보통 온도에서 액체가 기체로 변하여 날아 흩어지는 성질. ) 휘발성 물질. ...방향(芳香,952)-국어사전 : 좋은 향기. 가방(佳芳). ...향기(香氣,2591)-국어사전 : (꽃이나 향 따위에서 나는) 기분 좋은 냄새. 향냄새. ) 은은한 커피 향기. ...은은하다(隱隱-,1843)-국어사전 : (먼 데서 울리어 들려오는 소리가) 들릴락 말락 하게 아득하다. ...은은히은은히 들려오는 종소리. ...울리어울리다²(1781)-국어사전 : (‘울다의 사동) 울게 하다. ) 잘 노는 아이를 공연히 울리다. 마음에 감동을 일으키다. ) 마음(가슴)을 울리는 슬픈 사연. 악기나 종 따위를 뚱기거나 두드려 소리 나게 하다. ) 북을 울리다. (명성이나 평판 따위가) 널리 알려지거나 퍼지다. ...울리다²(1781)-국어사전 : (‘울다의 사동) 울게 하다. ) 잘 노는 아이를 공연히 울리다. 마음에 감동을 일으키다. ) 마음(가슴)을 울리는 슬픈 사연. 악기나 종 따위를 뚱기거나 두드려 소리 나게 하다. ) 북을 울리다. (명성이나 평판 따위가) 널리 알려지거나 퍼지다. ...울리다¹(1781)-국어사전 : 종 따위의 소리가 나거나 퍼지다. 소리가 반사되어 퍼지다, 또는 그 소리가 들리다. ...울다(1780)-국어사전 : (기쁘거나 슬프거나 아파서) 눈물을 흘리면서 소리를 내다. ) 어머니를 생각하며 울다. 새나 짐승·벌레 따위가 소리를 내거나 부르짖다. ) 귀뜨라미가 울다. 물체가 움직여 소리를 내다. ) 문풍지가 울다. ()이나 천둥 등이 소리를 내다. ) 종이 울면 즉시 모여라. 귀에서 저절로 소리가 나다. ) 귀가 울다. (도배나 장판의 바른 면이나 바느질 자리 따위가) 반듯하지 못하고 우글쭈글하다. ) 장판이 울다. 짐짓 어려운 체하다. ) 네가 운다고 누가 도와줄 줄 아니? ...부르짖다(1062)-국어사전 : 큰 소리로 외치거나 말하다. 어떤 의견이나 주장을 열렬히 말하다. ) 여권 신장을 부르짖다. 원통한 사정을 큰 소리로 말하다. ) 울며 부르짖다. ...외치다(1749)-국어사전 : () 큰 소리를 질러서 알리다. ) 큰 소리로도둑이야!’하고 외치다. () 사회나 상대자에게, 의견이나 요구 등을 강력히 주장하다. ) 자연보호의 절실함을 외치다. ...자연보호(自然保護,1953)-국어사전 : 인류의 생활 환경인 자연을 훼손하지 않고 좋은 상태로 가꾸고 보살펴 본래의 모습으로 보존하려 하는 일. ...보존(保存,1031)-국어사전 : 잘 지니어 상하거나 없어지거나 하지 않도록 함. ) 유물(遺物)을 보존하다. / 환경을 보존하다. ...훼손(毁損,2682)-국어사전 : 체면이나 명예를 손상함. ) 명예를 훼손하다. 헐거나 깨뜨려 못쓰게 함. ) 문화재를 훼손하다. 괴손(壞損). ...문화재(文化財,867)-국어사전 : 문화의 소산(所産), 곧 학문이나 예술. 문화재 보호의 대상이 되는 유형 문화재와 무형 문화재 및 기념물·민속 자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유형문화재(有形文化財,1825)-국어사전 : 건축물·회화·조각·공예품·고문서 따위 유형의 고고학적 가치가 높은 것. 국보·보물 따위 국가 지정 문화재와 지방 문화재가 있음.무형문화재. ...무형문화재(無形文化財,857)-국어사전 : (연극이나 음악, 공예 기술 따위) 무형의 문화적 소산으로 역사적으로나 예술적으로 가치가 큰 것.유형문화재. ...소산(所産,1352)-국어사전 : 생산된 바. 이루어진 바. ) 근대 과학 기술의 소산. <소산물>의 준말. ...상하다(-,1254)-국어사전 : (1) ()() (몸의 어느 부위가) 다치거나 헐거나 하다. ) 한눈팔다가 넘어져서 무릎이 상했다. (옷 따위 물건이) 헤어지거나 헐거나 하다. ) 땅바닥에 끌리는지 바짓부리가 상했다. (음식, 또는 음식의 재료가) 맛이 가거나 썩거나 하다. ) 상한 생선. / 우유가 상했다. 여위다. ) 입시 공부하느라고 얼굴이 많이 상했구나. (2) 근심이나 슬픔 등으로) 마음이 언짢게 되다. ) 혹시 제 말씀에 기분이 상하신 것은 아니신지요? / 친구의 지나친 농담에 마음을 상하다. ...한눈팔다(2553)-국어사전 : 보아야 할 데는 보지 않고 엉뚱한 데를 보다. 먼눈팔다. ) 운전할 때 한눈팔다가 큰 사고가 날지도 모른다. ...한눈³(2553)-국어사전 : 정작 보아야 할 데는 보지 않고 엉뚱한 데를 보는 눈. ...한눈¹(2553)-국어사전 : (주로,‘한눈에의 꼴로 쓰임.) 한 번 봄. 잠깐 봄. )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낯익은 모습. 한 번에 바라보이는 범위. 시계(視界). ) 정상에 올라서자마자 한눈에 가득히 바다가 펼쳐졌다. ...올라서다(1722)-국어사전 : 높은 데로 옮아가 서다. ) 지붕 위에 올라서다. 지위가 높아지다. 무엇을 디디고 그 위에 서다. ) 의자에 올라서다.내려서다. ...내려서다(451)-국어사전 : 높은 데서 낮은 데로 내려서 서다. ) 뜰에 내려서는데 손님이 왔다. ...(709)-국어사전 : 집 안에 있는 평평한 땅. ...평평한평평하다(平平-,2492)-국어사전 : 높낮이가 없이 널찍하고 판판하다. 특별한 것이 없이 예사롭고 평범하다. ...판판하다(2470)-국어사전 : 물건의 겉면이 높낮이가 없이 고르고 넓다. ) 바닥이 판판한 곳을 골라 자리를 깔다. ) 펀펀하다. ...깔다(388)-국어사전 : (앉거나 누우려고) 넓은 천이나 자리 따위를 바닥에 펴 놓다. ) 마당에 멍석을 깔다. / 방바닥에 요를 깔다. 그 위를 지나면서 누르다. ) 차가 볏짚을 깔고 지나가다. ·재물 따위를 여기저기 빌려 주다. ) 외상을 깔다. 시선(視線)을 아래로 하다. ) 소녀는 눈을 다소곳이 깔고 아무 말이 없었다. (물건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다. ) 낙엽이 깔린 오솔길. / 온 방에 종이 쪽지를 깔아 놓은 개구쟁이. 남을 억눌러 꼼짝 못하게 하다. (주로,‘깔고 앉다의 꼴로 쓰임.) ) 동네 사람을 깔고 앉아 하인 다루듯이 한다. ...고르다³(188)-국어사전 : 높고 낮거나 많고 적음이 한결같다. ) 생활 정도가 고르다. 정상적이고 순조롭다. ) 엔진 소리가 고르다. / 고르지 못한 날씨에 몸조심하여라. ...한결같다(2552)-국어사전 : 처음부터 끝까지 똑같다. ) 그의 나라 사랑하는 마음은 한결같다. ...지르다²(2193)-국어사전 : 목청을 높이어 소리를 크게 내다. ...응결하여응결(凝結,1854)-국어사전 : 엉기어 맺힘. 응고(凝固). 응집(凝集).융해(融解). 액체나 기체에 흩어져 있던 미립자가 모여 큰 입자를 이루어 가라앉는 현상. ) 수증기의 응결로 물이 만들어졌다. 시멘트 등에 물이 섞였을 때 차차 엉기는 현상. ...엉기다²(1622)-국어사전 : 액체 모양이던 것이 굳어지다. 가는 물건이 한데 뒤얽히다. 감정이나 기운 따위가 한데 뒤섞여 응어리가 생기다. ...굳어지다(302)-국어사전 : 굳게 되다. ...굳다(302)-국어사전 : () 오그라들어 빳빳하여지다. ) 팔다리가 굳다. 버릇이 되다. ) 말버릇이 굳어 버리다. (무른 것이) 단단해지다. ) 굳기름이 녹았다가 다시 굳다. 돈 따위가 헤프게 없어지지 아니하고 계속 남다. () (무르지 않고) 단단하다. ) 굳은 석회질 껍데기. 뜻이 흔들리거나 바뀌지 않다. ) 의지가 굳다. 튼튼하고 단단하다. ) 방문을 굳게 잠그다. 표정이 딱딱하다. ) 잔뜩 긴장한 굳은 얼굴. ...00바람¹(904)-국어사전 : 기압의 변화로 일어나는 대기의 흐름. ) 바람이 일다. / 바람이 불다. 어떤 기구를 써서 일으키는 공기의 흐름. ) 선풍기 바람이 너무 세다. (공이나 타이어 따위에 들어 있는) 공기. ) 바람이 세다. / 바람이 빠진 축구공. (어떤 대상이나 이성에) 마음이 끌리어 들뜬 상태. ) 바람이 나다. / 바람이 들다. / 바람을 피우다. 풍병(風病)’을 속되게 이르는 말. ) 바람을 다스리다. / 바람이 도지다. 지나치게 부풀려 하는 말이나 행동. ) 제발 바람 좀 작작 불어라. 사회적으로 널리 퍼지고 있는 일시적인 유행. ) 투기 바람이 불다. / 교육계에 새 바람이 불다. ...00구름(273)-국어사전 : 대기 중의 수분이 엉기어 미세한 물방울이나 빙정(氷晶)의 상태로 떠 있는 것. ...빙정(氷晶,1137)-국어사전 : 대기(大氣) 중의 수증기가 0이하로 냉각되었을 때 생기는 미소(微小)한 얼음의 결정. [상층운(上層雲)을 형성함.] ...00기온(氣溫,369)-국어사전 : 대기의 온도. [보통, 지면으로부터 1.5m 높이에 있는 공기의 온도를 이름.] ...온도(溫度,1720)-국어사전 : 덥고 찬 정도, 또는 그 도수. ...00기압(氣壓,367)-국어사전 : 대기의 압력. 단위는헥토파스칼로 나타냄. [1기압은 1013.25헥토파스칼.] ...헥토파스칼(hectopascal,2605)-국어사전 : 기압을 나타내는 국제 단위. 세계 기상 기구(WMO)와 기상청에서밀리바를 고쳐 이르는 일컬음. [기호는 hPa] ...밀리바(millibar,894)-국어사전 : 기압을 나타내는 국제 단위. 1바의 1000분의 1. [기호는 mb 또는 mbar] ) 헥토파스칼. ...00대기(大氣,569)-국어사전 : 지구 중력에 의해 지구 둘레를 싸고 있는 기체. 공기. 천체의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기체. ...공기(空氣,219)-국어사전 : 지구 대기의 하층 부분을 이루고 있는 무색·투명한 기체. [산소와 질소를 주성분으로 하여 소량의 아르곤·헬륨 등 불활성-가스와 이산화탄소가 포함되어 있음.] 대기(大氣). 주위의 기분이나 상태. 분위기. ) 무거운 공기. / 공기가 심상치 않다. ...심상하다(尋常-,1483)-국어사전 : 대수롭지 않고 예사롭다. 범상(凡常)하다. ...심상히심상히 보아 넘기다. ...범상하다(凡常-,990)-국어사전 : 대수롭지 않고 예사롭다. 심상(尋常)하다. ...범상히이번 사태는 범상히 여길 일이 아니다. ...여기다(1632)-국어사전 : 마음속으로 그렇게 생각하다. ) 가엾게 여기다. ...토지(土地,2430)-국어사전 : . . (사람의 논밭이나 집터 따위로 이용할 수 있는) 지면(地面). 토양. 토질. 영토(領土).

 

000 이자(1888)-국어사전 ; 자음으로 끝난 체언에 붙어, 두 가지 이상의 사실을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는 접속 조사. (모음 뒤에서는가 생략되기도 함.) ) 오늘이 청명이자 한식이다. / 교육은 국민의 권리이자 의무다. ) ³...오늘(1698)-국어사전 : (1) 지금 지내고 있는 이날. 금일(今日). 본일(本日). <오늘날>의 준말. (2) 지금 지내고 있는 이날에. ) 오늘 해야 할 일. ...오늘날(1698)-국어사전 : 지금 지내고 있는 이 시대. 현금(現今). ) 오늘날의 학교 교육. ) 오늘. ...본일(本日,1047)-국어사전 : 오늘. 금일(今日). 이날. ...청명¹(淸明,2302)-국어사전 : 이십사절기의 하나. 춘분(春分)과 곡우(穀雨) 사이로 양력 45, 6일경. 이 무렵에 맑고 밝은 봄날씨가 시작된다고 함. ...한식(寒食,2557)-국어사전 :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 이날 종묘(宗廟)와 능원(陵園)에는 제향을 올리고, 민간에서는 성묘를 함. ) 냉절(冷節). ...종묘(宗廟,2129)-국어사전 : 조선 시대에, 역대 임금과 왕비의 위패를 모시던 왕실의 사당. 대묘(大廟). 태묘(太廟). ) (). ...위패(位牌,1806)-국어사전 : [절이나 단((()에 모시는] 신주의 이름을 적은 나무패. 목주(木主). 위판(位版). ...신주(神主,1470)-국어사전 : 죽은 이의 위패(位牌). [대개 밤나무로 만듦.] 사판(祠板). ...사당(祠堂,1160)-국어사전 : 신주를 모신 집, 또는 신주를 모시기 위하여 집처럼 자그마하게 만든 것. 사당집. 사우(祠宇). ...자그마하다(1939)-국어사전 : 보기에 좀 작다. ) 키가 자그마하다. ) 자그맣다. ...교육(敎育,264)-국어사전 : 지식을 가르치고 품성과 체력을 기름. 성숙하지 못한 사람의 심신을 발육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기간 동안 계획적·조직적으로 행하는 교수적(敎授的) 행동. [가정 교육, 학교 교육, 사회 교육 등이 있음.] ...국민(國民,289)-국어사전 : 한 나라의 통치권 아래에 결합하여 국가를 구성하고 있는 사람. 그 나라의 국적을 가지고 있는 사람. 국인(國人). 인민. ...권리(權利,310)-국어사전 : 권세와 이익. 무슨 일을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자격. ) 그런 일을 할 권리가 없다. 어떤 이익을 자기를 위해 주장할 수 있는 법률상의 힘.의무(義務) ...의무(義務,1857)-국어사전 : 마땅히 해야 할 직분. ) 윤리적 의무. / 가장으로서의 의무. 법률로써 강제로 하게 하거나 못하게 하는 일. ) 납세의 의무. / 병역의 의무.권리. ...윤리적(倫理的,1832)-국어사전 : 윤리에 관한 (). 윤리에 근거한 (). ) 윤리적 규범. / 윤리적인 태도. ...윤리학(倫理學,1832)-국어사전 : 인간 행위의 선악을 정하는 표준을 연구하고 사람으로서 지켜야 할 의무와 도덕을 논하여, 도덕적 심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 도덕 철학. ) 윤리. ...심성(心性,1483)-국어사전 : <심성정(心性情)>의 준말. ) 심성이 곱다. 지능적 소질·습관·신념 따위의 정신적 특성. ) 심성 검사. 참된 본성(本性). 진심(眞心)’을 불가(佛家)에서 이르는 말. 마음성. . ...심성정(心性情,1483)-국어사전 : 본디부터 타고난 마음씨. ) 심성(心性). ...본성(本性,1047)-국어사전 : (사람의) 본디의 성질. 타고난 성질. 천성(天性). ...도덕(道德,612)-국어사전 : 인륜의 대도.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 및 그것을 자각하여 실천하는 행위의 총체. ) 도덕을 지키다. / 도덕에 어긋난 행동. ) 도의(道義). ...인륜(人倫,1900)-국어사전 :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道德). 이륜(彛倫). 사람과 사람과의 사이에 자연적으로 생겨난 질서. 오륜(五倫)의 도().

 

000 자연¹(自然,1952)-국어사전 : (1) 사람의 손에 의하지 않고서 존재하는 것이나 일어나는 현상. [··바다·동물·식물··바람·구름 따위.] ) 자연의 혜택을 누리다. / 자연의 섭리를 거역하다.인위(人爲). 사람이나 물질의 본디의 성질. 본성(本性). ) 잠을 안 자면 졸리는 것은 다 자연의 이치다. 철학에서, 인식의 대상이 되는 외계(外界)의 모든 현상을 이르는 말. (2) 사람의 의도적인 행위 없이 저절로. ) 물은 자연 아래로 흐르기 마련이다.

...00사람의사람(1162)-국어사전 : 가장 진보된 고등 동물. 지능이 높고 서서 걸으며, ·연모·불을 사용하면서 문화를 만들어 내고, 사유하는 능력을 지님. 인간. 인류. 법률상 권리와 의무의 주체인 자연인. 사회나 집단의 구성원. ) 저이는 이 회사 사람이다. 어느 고장의 출신자. 겨레붙이. ) 서울 사람. 어른. 성인. ) 사람 구실 할 나이가 되었다. 인격자. 도덕적 인간. ) 사람다운 사람. 사람됨. 인품. ) 사람이야 그만이지. 남과 대화할 때자기 아내를 겸손하게 이르는 말. ) 이 사람이 담근 술입니다. 쓸 만한 인물. 인재. ) 요즘은 사람 구하기가 너무 힘들다. 불특정의세상 사람’. )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소문. 내객. 손님. 참석자. ) 예식장을 꽉 메운 사람들. 상대편의 대상이 되어 있는자기또는’. ) 왜 사람을 못살게 구는 거야. ·따위 대명사에 이어 쓰이어,‘자기와 친근한 사람을 가리킴. ) , 이 사람아 그래 얼마 만인가. (의존 명사적 용법) 사람을 세는 단위. ) 한 사람. 여러 사람.

...00손에¹(1369)-국어사전 : 사람의 팔목 아래, 손바닥·손등·손가락으로 이루어진 부분. ) 물건을 손에 쥐다. 사람의 어깨 관절에서 손가락 끝까지의 부분. . ) 손을 번쩍 들고 만세를 부르다. 손바닥. ) 손에 땀을 쥐게 하다. 손가락. ) 손을 꼽아 기다리다. 도움이 될 힘이나 기술·수완. 죽고 사는 것이 의사의 손에 달렸다. ‘(무엇의) 손으로, (무엇의) 손에,의 꼴로 쓰이어·의도 등의 뜻을 나타냄. ) 우리의 손으로 해내고야 말겠다. 소유하는 사람을 나타냄. ) 골동품이 그의 손에 들어가다. / 부동산이 채권자의 손으로 넘어갔다. 일손. . 노동력. ) 많은 손이 필요한 토목 공사. / 손을 빌리다. 사귀는 관계. 교제. ) 그와는 이제 손을 끊겠다. 잔꾀. 나쁜 수완. ) 그의 손에 놀아나다. 손버릇. 재물을 다루는 규모. 씀씀이. ) 손이 크다. 알맞은 기회나 시기. ) 손을 놓치지 말고 재때에 팔아라. 거치는 경로(사람). ) 조기 한 마리도 여러 손을 거쳐 우리 밥상에 오른다. 필요한 조처. ) 손을 보다. / 손을 쓰다. 남의 지휘권 아래에 있는 사람. ) 두목의 손이 되어 움직이다. 맷돌·씨아 등의 손잡이. ) 멧돌의 손. 덩굴 식물의 덩굴이 의지하도록 대 주는 가지나 새끼 따위.

...00의하지의하다(-,1862)-국어사전 : (주로의한’‘의하면’‘의하여의 꼴로 쓰이어) (무엇으로) 말미암다. ) 노동에 의한 소득을 올리다. / 부득이한 사정에 의하여 학교에 결석하다. 어떠한 사실에 근거하다. 의거하다. ) 법에 의하여 처벌되다. ...결석(缺席,147)-국어사전 : (출석해야 할 자리에) 출석하지 않음.출석(出席). ...부득이하다부득이(不得已,1060)-국어사전 : 하는 수 없이. 마지못하여. 불가부득. ) 부득이한 사정으로 부탁을 거절하다. ...처벌되다처벌(處罰,2276)-국어사전 : 책벌이나 형벌에 처함. 처형. ...책벌(責罰,2273)-국어사전 : 잘못을 나무라고 벌함. ...벌주다(-,988)-국어사전 : 벌을 당하게 하다. ) 죄지은 자를 벌주다. ...처형(處刑,2277)-국어사전 : 형벌에 부침(처함). 처벌(處罰). 극형(極刑)에 처함. ) 범법자를 처형하다. ...말미암다(762)-국어사전 : 원인이나 이유가 되다. 계기가 되다. 인연이 되다. ...계기(契機,170)-국어사전 : 어떤 일이 일어나거나 결정되는 근거나 기회. 동기. 철학에서, 사물의 운동·변화·발전의 과정을 결정하는 본질적인 사정을 이르는 말. ...동기(動機,639)-국어사전 : 사람으로 하여금 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내적인 요인. 계기. 음악에서, 악곡의 가장 작은 선율의 단위. 모티프. 모티브.

...00않고서않다(1542)-국어사전 : () 어떤 행동을 아니 하다. (조동) <아니하다>의 준말. (조형) <아니하다>의 준말. ...아니하다(1508)-국어사전 : (조동)() 연결 어미‘-뒤에 쓰이어, 부정의 뜻을 나타냄. ) 않다. ...부정(否定,1071)-국어사전 : 그렇지 않다고 함. 그렇다고 인정하지 아니함. ...안된다는안되다(1534)-국어사전 : 가엾거나 안타까워 마음이 언짢다. (, 특히 얼굴이) 여위거나 해쓱하다. 못되다. (일현상 따위가) 좋게 이루어지지 않다. (사람이) 훌륭하게 되지 못하다. 일정한 수준이나 정도에 이르지 못하다.

...00존재하는존재(存在,2122)-국어사전 : 실제로 있음, 또는 있는 그것. ) 지구 상에 존재하는 온갖 생물. 철학에서, 의식으로부터 독립하여 외계의 객관적으로 실재함, 또는 그 일. 어떤 작용을 갖는 능력을 지닌 인간. ) 위대한 존재. 일정한 범주 안에서 두드러지게 보이는 처지. ) 그는 회사에서 없어서는 안 될 존재다.

...00것이나(132)-국어사전 : 사물·현상·사상·존재 등의 이름 대신으로 쓰는 말. ) 먹을 것은 있다. / 모든 것은 하늘에 달렸다. / 낡은 것을 버려라. 사람을 얕잡아 일컫는 말. ) 젊은 것이 버릇이 없군. / 저 따위 것이 뭘 안다고. 소유물임을 뜻함. ) 자네 것은 어느 것인가? / 이 강토는 우리 모두의 것이다. 내용·정도·수준을 뜻함. ) 생각한다는 것이 고작 그 정도냐? 확신·결심·결정을 뜻함. ) 고향이란 참으로 좋은 것이다. / 기어이 해내고야 말 것이다. 전망·추측·예상을 뜻함. ) 이미 도착했을 것이다. / 내일은 비가 올 것이다. (끝맺는 말로 쓰이어) 명령이나 부탁을 뜻함. ) 공사 중이니 주의할 것. / 이곳에서 담배를 피우지 말 것. / 점심은 각자 준비할 것. ) .

...00일어나는일어나다(1919)-국어사전 : 누웠다가 앉거나, 앉았다가 서다. ) 얼마나 컸는지 어디 일어나 보아라. 잠에서 깨어 몸을 일으키다. ) 아침 일찍 일어나다. 몸과 마음을 모아 나서다. 분기(奮起)하다. ) 일어나라, 학도들이여! (없던 현상이) 생겨나다. 발생하다. ) 전쟁이 일어나다. (약하거나 희미하던 것이) 한창 성하게 되다. ) 가세(家勢)가 일어나다. (불이 붙기) 시작하다. ) 장작에 불이 일어나다. 완쾌하다. ) 오랜 투병 끝에 병석에서 일어나다. ...분기(奮起,1081)-국어사전 : 기운을 내어 힘차게 일어남. ) 오등(吾等)이 자()에 분기하도다.

...00현상현상(現象,2609)-국어사전 : 지각(知覺)할 수 있는 사물의 모양이나 상태. (본질과의 상관 개념으로서) 시간과 공간 속에 나타나는 대상.

...00(,1198)-국어사전 : 육지의 표면이 주위의 땅보다 훨씬 높이 솟은 부분. 산악(山岳). <산소>의 준말. ) 할아버지 산에 벌초하러 가다. ...산소(山所,1204)-국어사전 : 무덤을 높이어 이르는 말. ) 할아버지 산소. 무덤이 있는 곳. 영역(塋域). ) . ) 묘소. ) . ...무덤(843)-국어사전 : 시체나 유골을 묻은 곳. . . 분묘(墳墓). 총묘(塚墓). ) 산소(山所).

...00(,71)-국어사전 : 넓고 길게 흐르는 내. ...(448)-국어사전 : 시내보다는 크고, 강보다는 조금 작은 물줄기. 개천.

...00바다바다(901)-국어사전 : 지구 상에서, 육지 이외의 부분으로 소금물이 괴어 있는 곳. 지구 표면적의 약 4분의 3을 차지하며, 36천만km²에 이름. 해양. 액체의 많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눈물바다. 일대에 널리 펼쳐져 있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넓은 들판이 온통 유채의 바다다. 달의 표면의 어둡게 보이는 부분. ) 고요의 바다.

...00동물동물(動物,643)-국어사전 : 생물을 크게 둘로 분류한 것의 하나. 길짐승·날짐승·물고기·벌레·사람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식물. ...0길짐승(379)-국어사전 : 기어 다니는 짐승을 통틀어 이르는 말. 주수(走獸).날짐승. ...0날짐승(437)-국어사전 : 날아다니는 짐승, 곧 새 종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 비금(飛禽). 비조(飛鳥). 금조(禽鳥).길짐승. ...0물고기(868)-국어사전 : 물에 사는, 아가미와 지느러미가 있는 척추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아가미(1505)-국어사전 : 물에서 사는 동물의 호흡 기관. 보통 빗살 모양으로 갈라져 있으며, 이곳을 통해 물속의 산소를 받아들임. ...지느러미(2190)-국어사전 : 어류나 물에 사는 포유류의 운동 기관. ··가슴·꼬리 등에 있는 납작한 막() 모양의 기관으로, 이것을 놀려서 움직이거나 몸의 균형을 유지함. ...0벌레(987)-국어사전 : 사람·짐승··물고기·조개 따위를 제외한 작은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버러지. ) 곤충. 어떤 일에 열중하는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일 벌레.

...00식물식물(植物,1458)-국어사전 : 생물계를 둘로 분류한 것의 하나. 대부분 땅속에 몸의 일부를 붙박아서 이동하지 않으며, 뿌리·줄기·잎을 갖추어 수분을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면서 광합성(光合成) 등으로 영양을 섭취하는 생물체를 통틀어 이르는 말.동물. ...광합성(光合成,255)-국어사전 : 녹색 식물이 빛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수분으로 전분(澱粉() 등의 유기 화합물을 합성하는 일. [탄소 동화 작용의 한 형식.] ...탄소동화작용(炭素同化作用,2402)-국어사전 : 녹색 식물이나 어떤 세균류가 이산화탄소와 물로 탄수화물을 만드는 작용. 탄산 동화 작용. ) 동화작용. ...탄수화물(炭水化物,2402)-국어사전 : 탄소·수소·산소의 삼원소로 이루어진 화합물. 주로 식물체 안에서 만들어지며, 동물의 주요한 영양소의 하나임. 함수 탄소(含水炭素). ...(1211)-국어사전 : 동물체를 이루고 있는 조직의 한 가지. 피부 아래에 있어 근육과 더불어 뼈를 싸고 있는 연한 부분. 과실의 껍질과 씨 사이에 있는 연한 부분. 조개·게 따위의 껍데기 속에 차 있는 연한 부분. ...) 살이 살을 먹고 쇠가 쇠를 먹는다(속담)동포 형제끼리 서로 해침을 이르는 말.

...00²(1110)-국어사전 : 대기 중의 수증기가 식어서 물방울이 되어 땅 위로 떨어지는 것. 화투짝의 한 가지. ()를 그린, 12월을 상징하는 딱지.

...00바람바람¹(904)-국어사전 : 기압의 변화로 일어나는 대기의 흐름. ) 바람이 일다. / 바람이 불다. 어떤 기구를 써서 일으키는 공기의 흐름. ) 선풍기 바람이 너무 세다. (공이나 타이어 따위에 들어 있는) 공기. ) 바람이 세다. / 바람이 빠진 축구공. (어떤 대상이나 이성에) 마음이 끌리어 들뜬 상태. ) 바람이 나다. / 바람이 들다. / 바람을 피우다. 풍병(風病)’을 속되게 이르는 말. ) 바람을 다스리다. / 바람이 도지다. 지나치게 부풀려 하는 말이나 행동. ) 제발 바람 좀 작작 불어라. 사회적으로 널리 퍼지고 있는 일시적인 유행. ) 투기 바람이 불다. / 교육계에 새 바람이 불다.

...00구름구름(273)-국어사전 : 대기 중의 수분이 엉기어 미세한 물방울이나 빙정(氷晶)의 상태로 떠 있는 것. ...빙정(氷晶,1137)-국어사전 : 대기(大氣) 중의 수증기가 0이하로 냉각되었을 때 생기는 미소(微小)한 얼음의 결정. [상층운(上層雲)을 형성함.]

...00따위따위(693)-국어사전 : (명사 뒤에 쓰이어) 보기를 들어서, 그 보기가 대표하는 부류(종류)임을 나타내는 말. . . ) ·보리·밀 따위가 곡식이다. 사람·사물·정도 등을 비웃거나 얕잡아 이르는 말. 예 뭐 이 따위가 있어? / 그 따위 실력으론 어림없다. ...따위(661)-국어사전 : 사람이나 사물을 얕잡아 일컫는 말. 종류나 정도의 뜻을 나타내는 말. 그것과 같은 종류·부류임을 나타내는 말. ().

...00자연의위와 같습니다.

...00혜택을혜택(惠澤,2620)-국어사전 : 은혜와 덕택. ) 선생님의 크나큰 혜택을 입다.

...00누리다누리다¹(497)-국어사전 : (기쁨이나 즐거움 따위를) 마음껏 겪으면서 맛보다. ) 복을 누리다. / 자유를 누리다. ...맛보다(766)-국어사전 : 음식의 맛이 어떠한지 조금 먹어 보다. 몸소 겪어 느끼다. 경험하다.

...00자연의위와 같습니다.

...00섭리를섭리(攝理,1317)-국어사전 : ① ㉠ (병중에) 잘 조리함. 일을 대신하여 처리함. 기독교에서, 세상의 모든 것을 다스려 나가는 신의 의지 또는 은혜. 자연계를 지배하고 있는 이법(理法). ④ →승통(僧統). ) 천칙(天則).

...00거역하다거역(拒逆,110)-국어사전 : 윗사람의 뜻이나 명령을 어기어 거스름. ...어기다(1593)-국어사전 : (지켜야 할 것을) 지키지 아니하다. ) 규칙을 어기다. / 마감 날짜를 어기다. ...거스르다¹(109)-국어사전 : 자연스러운 형세나 흐름에 반대되는 방향을 취하다. ) 불어오는 바람을 거슬러 가다. / 그것은 민주주의의 흐름을 거스르는 행위다. 자연의 뜻이나 남의 뜻을 거역하다. ) 천리(天理)를 거스르다. / 할아버지의 비위를 거스르다.

...00인위(人爲)인위(人爲,1904)-국어사전 : 사람의 힘으로 이루어지는 일. 인공.자연·천연·천위(天爲).

...00사람이나위와 같습니다.

...00물질의물질(物質,875)-국어사전 : 물건의 본바탕. 물리학에서, 자연계의 요소의 하나로, 공간의 일부를 차지하고 질량을 갖춘 것. ) 물체. 철학에서, 정신에 대하여 인간의 의식 바깥에 존재하는 것.정신.

...00본디의본디(1045)-국어사전 : 어떤 사물의 처음. 본래. 본시(本是). 원래. ) 나도 본디는 매우 건장한 체격이었지.

...00성질성질(性質,1327)-국어사전 : 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기질. 성품. ) 타고난 성질. / 성질이 까다롭다. 사물이나 현상이 본디부터 가지고 있는, 다른 것과 구별되는 특징. ) 사건의 성질을 자세히 알아 보다. / 물에 잘 녹는 성질.

...00본성(本性)본성(本性,1047)-국어사전 : (사람의) 본디의 성질. 타고난 성질. 천성(天性). ) 본성이 어질다. ...어질다(1605)-국어사전 : 마음이 너그럽고 인정이 도탑다. ...도탑다(623)-국어사전 : (인정이나 사랑이) 깊고 많다. ) 형제가 우애가 도탑다. ) 두텁다. ...우애(友愛,1772)-국어사전 : 형제간이나 친구 사이의 도타운 정과 사랑. ) 우애가 두텁다.

...00잠을(1976)-국어사전 : (동물이) 심신의 활동을 쉬면서 무의식 상태로 되는 일. ) 잠이 들다. / 잠을 자다. / 잠을 설치다. / 잠이 깨다. (누에가 허물을 벗기 전) 뽕을 먹지 않고 쉬는 상태. ) 누에가 두 잠을 자다. (겹으로 쌓인 것이 부풀지 않고) 눌리어 착 가라앉은 상태. ) 솜이 잠을 자서 얄팍하다. (문화적으로) 각성하지 못한 상태. ) 겨레가 오랜 잠에서 깨어나다. (의존 명사적 용법) 누에가 허물을 벗기 전에 뽕잎을 먹지 않고 잠시 쉬는 횟수를 세는 단위. ...무의식(無意識,853)-국어사전 : 의식이 없음. 일상(日常)의 정신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마음의 심층(深層), 곧 꿈이나 최면 따위가 아니고는 의식되지 않는 상태. 잠재의식(潛在意識). ) 무의식의 세계. ...잠재의식(潛在意識,1979)-국어사전 : 자각(自覺)됨이 없이 활동하는 의식, 또는 자기의 의식 안에서 강한 금지(禁止)에 의하여 자각면(自覺面)에 나타날 수 없는 의식. 부의식(副意識).

...00²(1532)-국어사전 : <아니¹>의 준말. ) 안 먹고, 안 입고, 안 쓰고 모은 돈으로 장만한 집. ...아니¹(1508)-국어사전 : (용언 앞에 쓰이어)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말. ) 밥을 아니 먹다.

...00자면자다(1943)-국어사전 : (1) (자동사) 바람이나 파도 따위가 잠잠해지다. ) 물결이 자다. 기계가 멎다. ) 시계가 자다. 화투장 따위가 떼어 놓은 몫의 맨 밑에 깔리다. ) 흑싸리가 자고 있었구나. 남녀가 잠자리를 함께하다. (2) (타동사) 잠이 든 상태가 되다. ) 한잠 푹 자다. ) 주무시다.

...00졸리는졸리다²(2124)-국어사전 : 졸음이 오다. 자고 싶은 느낌이 들다. ...졸음(2124)-국어사전 : (자려고 하지 않는데) 잠이 오거나 자고 싶은 느낌.

...00것은위와 같습니다.

...00³(517)-국어사전 : 남김없이. 모조리. 몽땅. 전부. ) 다 읽다. / 다 먹어 치우다. / 숙제를 다 하다. 거의. 대부분. ) 다 죽은 사람. / 밥이 다 되다. 어떤 것이든지. ) 둘 다 마음에 든다. (달갑지 않거나 불쾌하거나 비웃거나 시시하다는 감정을 강조하여) 있는 대로 모두. 골고루. ) 갖은 방법을 다 쓰는군. / 별꼴 다 보겠네. [주로 글 첫머리에 쓰이어, 기대하거나 잘될 것으로 믿는 감정을 나타내어] 모두. 두루. ) 다 잘될 테니 걱정하지 마라. (과거형 서술어 앞에 쓰이어, 미래의 일을 부정하는 뜻으로) 아주. 전혀. ) 비 때문에 놀러 가긴 다 틀렸다.

...00자연의위와 같습니다.

...00이치다이치(理致,1891)-국어사전 : 사물의 정당한 조리. 도리에 맞는 근본 뜻. (). ) 이치에 어긋나는 말.

...00철학에서철학(哲學,2296)-국어사전 : 세계·인생·지식에 관한 근본 원리를 연구하는 학문. 세계관이나 인생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누구나 살아가는 철학이 있게 마련이다. / 상인의 철학은 많은 돈을 버는 것이다. ...벌다²(987)-국어사전 : 일을 하여 돈벌이하다. ) 노동으로 생활비를 벌다. 벌받거나 욕먹을 일을 스스로 하다. ) 욕을 먹다. / 매를 벌다. 득을 보다. ) 밥을 얻어먹어 밥값을 벌다. ...상인(商人,1248)-국어사전 : 장수. ...장수(1994)-국어사전 : 장사하는 사람. 상고(商賈). 상인(商人). ...장사(1993)-국어사전 : 물건을 사고파는 일.

...00인식의인식(認識,1903)-국어사전 : 사물을 깨달아 아는 일. ) 역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사물의 의의를 바르게 이해하고 판별하는 마음의 작용.

...00대상이대상(對象,578)-국어사전 : 행위의 목표가 되는 것. ) 30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는 신상품 개발. 정신 활동의 목표가 되는 것. ) 연구 대상.

...00되는되다¹(652)-국어사전 : 이루어지다. ) 일이 제대로 되다. / 다 된 밥. 좋은 덕이나 조건을 갖추다. ) 된 인물. / 우선 문장이 됐네. 가당하다. ) 될 말을 해야지. (조사()’‘(으로)’뒤에 쓰이어) 그것으로 변하거나 이루어지다. ) 뽕밭이 바다가 되다. / 무법천지가 되다. 어미‘-뒤에 쓰이어, 그 앞말이 나타내는 상태로 이루어지다. ) 착하게 되다. / 사랑하게 되다. 시간적으로나 양적으로 어떤 한계에 이르다. ) 장가들 나이가 되다. / 바야흐로 봄이 되다. / 합계가 백만 원이 되다. / 얼마 되지 않는 금액. 가축이나 작물이 잘 자라다. ) 배추가 잘 되다. / 닭이 잘 되다. 어떤 심적인 상태에 놓이다. ) 걱정이 되다. / 안심이 되지 않는다. 가능한 대로의 뜻을 나타냄. ) 되도록 빨리 돌아오너라. / 위험한 데는 될수록 피하여라. 사회적으로나 인간적으로 어떠한 관계에 있다. ) 그 아이 오빠 되는 사람입니다. 소용에 닿다. ) 약이 되다. / 교훈이 되다. 어떠한 결과를 가져오다. ) 헛수고가 되다. 거의 다 써 버리다. ) 돈도 떨어졌거니와 양식도 다 됐다. 동사나 형용사의‘-활용형 뒤에 쓰이어, 그 형상(형용)이나 행동대로 이루어짐을 나타냄. ) 예쁘게 되다. / 책을 잘 읽게 되다. / 잘 살게 되다. (동사의‘-(-아도/-어도)’활용형 뒤에 쓰이어)‘괜찮다’‘가능(가당)하다의 뜻을 나타냄. ) 이젠 나가 놀아도 됩니까? / 그만 가도 된다.

...00외계(外界)외계(外界,1741)-국어사전 : 사람이나 사물 등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것. 환경. ) 외계의 변화에 적응하다. 지구 밖의 세계. ) 외계에서 오는 빛. 철학에서,‘인간의 인식과는 관계없이 독립하여 존재하는 모든 것을 이르는 말.

...00모든모든(812)-국어사전 : 여러 가지의. 여러 종류의. 전부의. ) 모든 곤충. / 모든 사람. ...전부(全部,2039)-국어사전 : 모두 다. 모조리. 온통. ...모조리(819)-국어사전 :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처음부터 끝까지 죄다.

...00현상을위와 같습니다.

...00이르는이르다²(1876)-국어사전 : (무엇이라고) 말하다. ) 공자가 이르기를… ② 일정한 시간에 미치다. ) 새벽녘에 이르러 비로소 열이 내리기 시작하였다. 어느 정도나 범위에 미치다. ) 어린이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다 모였다. ...말하다(765)-국어사전 : 생각이나 느낌을 말로써 남에게 이르다. ) 소감(所感)을 말하다. 어떠한 사실을 남에게 알리다. ) 그에게 계획이 바뀐 사실을 말하다. 어떤 일을 부탁하다. ) 그곳 사정을 알려 달라고 말하다. (사물의 선악이나 값어치 등을) 평하여 이르다. ) 그의 사람 됨을 누구나 좋게 말하다. 어떤 사실을 드러내거나 뜻하다. ) 옛 영화(영화)를 말해 주는 찬란한 유물들.

...00(759)-국어사전 : 사람이 생각이나 감정을 나타내는 데 쓰는 음성, 또는 그것을 문자로 나타낸 것. 언어. ) 상냥한 말. / 우리 겨레 고유의 말. / 다른 말로 표현하다. / 말로는 못할 일이 없다. 무엇에 관련된 이야기. ) 그는 낚시 말만 나오면 신이 난다. ) 말씀. ...음성(音聲,1849)-국어사전 : 사람의 발음 기관에서 나오는 소리. 말소리. 목소리. ...음성(音聲,2009)-뉴사전 : . 소음. , sadda <那先經 AB 32696, 712> 소리. , ghosa , svara <灌頂經 1221533> <要集 437>解諸音聲呪, miga-cakka (짐승의 음성을 해석하는 것.) <四分律 5322960: DN. , p.9> ...언어(言語,1611)-국어사전 : 생각이나 느낌을 음성으로 전달하는 수단과 체계. [문자의 사용도 포함하여 말하기도 함.] . ...언어(言語,1701)-뉴사전 : . , vac 담화하는 것. <灌頂經 1221635> <徒然草 108> 말하여 나타나는 것. , abhidhana <中論 18·7> 주장의 말. , vacana <廻諍論 3215: ad Vigr. Vy. 1>

...00사람의위와 같습니다.

...00의도적인의도(意圖,1857)-국어사전 : (무엇을 이루려는) 생각. ) 일이 의도대로 잘되다. 무엇을 이루려고 속으로 꾀함, 또는 그 계획. ) 상대의 의도를 간파하다. ...간파(看破,50)-국어사전 : (상대편의 속내를) 꿰뚫어 보아 알아차림. ) 약점을 간파하다.

...00행위행위(行爲,2589)-국어사전 : (사람이) 행하는 짓. [특히, 자유 의사에 따라서 하는 행동.] 행동. ) 호객 행위. / 범죄 행위. / 그런 나쁜 행위는 처벌 대상이다. ...호객(呼客,2621)-국어사전 : (사창가나 음식점 따위에서) 말이나 짓 등으로 손님을 끎. ) 호객 행위. ...사창가(私娼街,1188)-국어사전 : 사창이 많이 모여 있는 곳. 매음굴. 사창굴. ...사창(私娼,1188)-국어사전 : 당국의 허가 없이 매음하는 여자.공창. ...공창(公娼,233)-국어사전 :‘관청의 허가를 얻어 매음 행위를 영업으로 하던 여자를 이르는 말.사창. ...매음(賣淫,777)-국어사전 : 여자가 돈을 받고 몸을 파는 일. 매색(賣色). 매소(賣笑). 매신(賣身). 매춘(賣春). ...행위(行爲,2768)-뉴사전 : 한역불전(漢譯佛典)속에는 행위라는 말은 나와 있지 않다. 그러나 그에 해당하는 말은 업(, karman , kamma). 행위로서의 카르마는 신··(··)3업이라 불리우고, (1) 신체로 하는 행위, (2) 입으로 말을 발하는 것. (3) 마음으로 생각하는 정신적 행위의 3(三者)를 행위라고 생각함. 입으로 내는 말도, 마음에 생각하는 심적 내용도, 그 하나하나가 원인이 되고, 조건이 되어 차차로 결과를 만들어내 가기 때문에, 행위라고 생각한 것임. 이 행위에 좋은 행위(선업)와 나쁜 행위(악업)을 세워, 각각 십종씩을 헤아려서 신삼(身三구사(口四의삼(意三)의 십선업·십악업 등이라고 함. ...신삼구사의삼(身三口四意三,1517)-뉴사전 : 3악업에 10종류가 있는 것을 신과 구와 의에 관하여 구별한 것. 10악중, 처음의 살··음의 3가지는 신업, 다음의 망어·기어·양설·악구의 4가지는 구업, 마지막 탐··사견의 3가지는 의업에 대한 악업임.십악업 ...십악업(十惡業,1582)-뉴사전 : 십선업(十善業)의 반대. 십악(十惡)과 같음.십악 ...십악(十惡,1582)-뉴사전 : 살생·투도(偸盜)·사음·망어·기어·악구·양설(兩舌)·탐욕·진에(瞋恚)·우치의 10가지의 악업을 말함. 이 중 처음 3가지는 몸의 악(), 중간의 4가지는 입의 악(), 마지막 3가지는 마음의 악(). 그래서 신삼구사의삼(身三口四議三)이라고 함. <六度集經 4317> <觀無量壽經 12346> <佛本行集經 13656> ()·()·()3가지로 이루는 10종류의 나쁜 행위. 살생·투도·사음·망어·기어·악구·양설·탐욕·진에·사견. <正法眼藏 禮拜得髓 8238> (해석예) 신삼구사의삼(身三口四意三)이 십악(十惡). <一遍上人語錄諺釋 17> 살생, 투도, 사음, 망어, 기어, 악구, 양설, 탐욕, 진에, 우치. <念佛名義集 360>

...00없이없다(1621)-국어사전 : 있지 아니하다. 존재하지 아니하다. ) 구름 한 점 없는 하늘. / 세상에 그런 분은 다시는 없을 것이오. 가지고 있지 않다. 갖추고 있지 않다. ) 나라 없는 백성. / 경험이 없다. / 재산도 명예도 없다. 생기지 아니하다. 일어나지 아니하다. ) 말썽 없는 집안. / 뭐 별일 없겠지. (속에) 들어 있지 아니하다. ) 악의(惡意)는 없는 말일세. 많지 아니하다. 부족하다. ) 찬 없는 밥. / 성의가 없다. / 그것은 내 전공 밖이라 아는 것이 별로 없다. 살아 있지 않다. ) 부모 없는 고아. 드물다. 귀하다. ) 요새 그런 골동품은 좀처럼 없습니다. 진행되지 아니하다. 벌어지지 아니하다. ) 오늘은 회의가 없습니다. 구차스럽다. 가난하다. ) 없는 살림을 잘 꾸려 나가다. 비다. 들어 있지 않다. ) 술이 없는 술병. / 쌀독에 쌀이 없다. 가능하지 아니하다. (주로,‘-() 수 없다의 꼴로 쓰임.) ) 바랄 수 없는 욕망. / 까닭을 알 수 없다.있다. ...있다(1934)-국어사전 : (자동사) 존재하다. ) 계시다. 사람이 어떤 직장에 계속 다니다. ) 다른 회사로 옮길 생각 말고 그 회사에 있어라. 어떤 상태를 유지하다. ) 가만히 있어라. / 손 들고 있어. 얼마의 시간이 경과하다. ) 사흘만 있으면 휴가다. (무슨 일이) 벌어지다. 진행되다. ) 하필이면 학예회가 있는 날 병이 나다니. / 12시에 회의가 있습니다. (형용사) 존재하거나 소유한 상태(상황)임을 나타냄. ) ()은 있다. / 우리에겐 희망이 있다. 재물이 넉넉하거나 많다. (주로,‘있는의 꼴로 쓰임) ) 그는 있는 집 자손이다. (‘수 있다의 꼴로 쓰이어) 가능하다는 뜻을 나타냄. ) 나도 해낼 수 있다. / 욀 수만 있다면 작히나 좋으랴. (구어체에서,‘있지’‘있잖아의 꼴로 쓰이어) 어떤 사실을 강조하는 뜻을 나타냄. ) 그 소문 있지 사실이래. 어떤 상태에 처하거나 놓이다. ) 난처한 상태에 있다. 일정 범위에 포함된 상태이다. ) 명단에 내 이름이 있다. 소유하거나 자격이나 능력을 가진 상태이다. ) 나에게 만 원이 있다. / 그는 고집이 있다. 일정한 관계를 가진 사람이 존재하는 상태이다. ) 나에게는 형제가 셋 있다. 무슨 일이 생긴 상태이다. ) 급한 일이 있으면 이리로 연락해라. (직장 따위에) 어떤 지위나 역할로 존재하는 상태이다. ) 서무과장으로 있다. (에게·) 있어서의 꼴로 쓰이어,‘(에게·)’를 강조하는 뜻을 지님. ) 그 감격은 나에게 있어서 평생 잊지 못할 감격이었소. 이유나 근거 따위가 성립된 상태이다. ) 그녀의 투정은 이유가 있다.없다.

...00저절로저절로(2018)-국어사전 : 인공을 가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다른 힘을 빌지 않고 제 스스로. ) 절로.

...00물은위와 같습니다.

...00자연위와 같습니다.

...00아래로아래(1511)-국어사전 : (자리가) 낮은 곳. 낮은 쪽. ) 산 아래로 내려가다. / 물은 아래로 흐르는 법이지. (무엇이 덮여 있는) 그 밑쪽. ) 지붕 아래의 다락방. / 겉치마 아래에 속치마를 받쳐 입다. (높고 긴 것의) 밑동. ) 나무 아래에서 쉬다. (정도·지위·신분·능력·품질 따위가) 낮거나 못한 쪽, 또는 그 사람이나 물건. ) 지위가 아래인 사람. / 수위가 아래로 처지다. (수가 어떤 것에 비하여) 적은 편. ) 나이가 두 살 아래인 사람. / 소수점 아래의 수. 다음또는다음에 적은 것등의 뜻. ) 아래의 사항을 준수할 것. 어떤 영향이나 지배를 받는 처지를 나타냄. (‘아래에의 꼴로 쓰임.) ) 자유와 평등과 박애의 기치 아래에 단결하다.. ...²(1800)-국어사전 : (자리가) 높은 곳. 높은 쪽. ) 벼랑 위에 서 있는 소나무. (물체의) 겉면. ) 책상 위에 놓인 책. (높고 긴 것의) 꼭대기나 그쪽에 가까운 곳. ) 전주 위의 까치 둥지. (지위나 정도능력·품질 따위가) 보다 높거나 나은 쪽, 또는 그 사람이나 물건. ) 상대편의 수법이 한 수 위였다. / 순위가 한 단계 위로 오르다. (수가 어떤 것에 비하여) 많은 편. ) 신랑의 나이가 두 살 위이다. 또는앞에 적은 것등의 뜻. ) 위의 내용은 사실 그대로임. 그것에 더하여의 뜻을 나타내는 말. (‘() 위에의 꼴로 쓰임.) ) 다수확 표창장을 받은 위에 영농 장려금까지 받게 되었다. ().아래.

...00흐르기흐르다(2688)-국어사전 : 물 따위가 낮은 곳으로 내려가다. ) 시냇물이 강으로 흐르다. 눈물이 눈에서 나오다. ) 눈물이 흐르다. (공중이나 물 위에) 떠서 미끄러지듯 움직여가다. ) 하늘에 흐르는 흰구름. / 여울 따라 흐르는 종이배. 시간이나 세월이 지나가다. ) 그와 헤어진 지 십 년이 흐르다. 어느 방향으로 쏠리다. ) 인정에만 흐르다. 새어서 빠지거나 떨어지다. ) 꽃병 아래로 물이 흐르다. 가득차서 넘쳐 쏟아지다. ) 욕탕에 물이 넘쳐서 흐르다. 미끄러져 처지다. 어떤 범위 안에 번져서 점점 퍼지다. ) 방 안 가득히 흐르는 노랫 소리. 어떤 상태나 현상·기운 따위가 겉으로 드러나다. ) 촌티가 흐르다. / 얼굴에 열정이 흐르다.

...00마련이다마련(738)-국어사전 : (명사) 준비. 대비. ) 장가를 가려면 미리 이것저것 마련해 두어야 한다. / 여비를 마련해야 여행을 떠나지. (‘-(은는),-(을를)’등에 이어 쓰이어) 속셈. 궁리. 계획. ) 제딴은 무슨 마련이 있겠지. / 금년 가을에 집을 세울 마련이다. (의존명사) (주로‘-/-에 이어 쓰이어) 그리됨. 그리되는 것이 당연함. ) 비밀이란 새어 나가게 마련인 것일세.

 

선법(善法,1318)-뉴사전 : 선한 일. 바른 일. 도리에 따르고 자타(自他)를 이익되게 하는 법(). 세상의 선법. 오계·십선을 말함. 혹은 출세간(出世間)의 선법. 삼학육도(三學六度)를 말함. <俱舍論 162, 1711 >因 善法 向上, dharmena gamanam urdhvam(미덕(美德)에 의해서 천상에 오른다.) <金七十論 44541255>

.....오계(五戒,1786)-뉴사전 : 5가지 계율. 재가(在家)의 불교신자가 지켜야 할 5가지 훈계. (1) 살생하지 말 것. (2) 도둑질하지 말 것. (3) 남녀 사이를 혼란시키지 말 것. 성에 관해서 문란하지 않는 것. 특히 부인외의 여자, 또는 남편외의 남자와 교제하지 말 것. (4) 거짓말하지 말 것. (5) 술을 마시지 말 것. 살생(殺生투도(偸盜사음(邪婬망어(妄語음주(飮酒)의 금제(禁制). 불살생계(不殺生戒불투도계(不偸盜戒불사음계(不邪婬戒불망어계(不妄語戒불음주계(不飮酒戒)의 총칭. 우바새계(優婆塞戒)라고도 함. <長阿含經 2114> , Panca-Sila <遊行經 1196> <九橫經 2883> [보통 원어는 산, panca-sila이다.] <四分律 22640> <俱舍論 1414-15, 그 위에 3 참조> <觀霧量壽經 2345> , panca siksapadani <藥師本願經 14407: Bhaisaj. p.19, c.8> <灌頂經 1221534, 535> <反故集> 오계(五戒)를 지키는 재가(在家)의 남자. 우바새(優婆塞). .....십선(十善,1577)-뉴사전 : 10가지의 선한 행위. 십악(十惡)의 반대. 십악(十惡)이란, 살생(殺生투도(偸盜사음(邪婬망어(妄語 : 거짓말을 하는 것양설(兩舌악구(惡口기어(綺語 : 정말로 재미있게 만드는 말탐욕(貪欲진에(瞋恚 : 화내고 미워하는 것사견(邪見 : 잘못된 견해)를 말함. 이상의 십악(十惡)을 행하지 않는 것. 불살생(不殺生)에서 불사견(不邪見)까지를 십선(十善)이라 함. 죽이지 않는다(, prana-atipatat prativiratah), 훔치지 않는다(, adatta-adanat p.), 사음하지 않는다(, kama-mi-thya-carat p.), 망어하지 않는다(, anrta-va-canat p.), 욕하지 않는다(, parusa-vacanat p.), 기어하지 않는다(, sambhinna-pralapat p.), 양설하지 않는다(, pisuna-vacanat p.), 탐욕하지 않는다(, abhidhyatah p.), 화내지 않는다(, vyapadat p.), 사견을 품지 않는다(, mithya-darsanat p.). <寂志果經 1272> <觀無量壽經 12341> <大智度論 4625395참조> 전생에 십선(十善)을 행한 공덕에 의해 금생에 왕위를 받기에 이르렀다는 의미로 천황의 위(: 지위)를 가리켜 말함. (해석예) 신삼구사의삼(身三口四意三). 성왕(聖王)의 천명을 받아 만민을 무육(撫育)하는 법. <十善戒相 131> 도에 따르는 것을 선이라 함. 차선십종(此善十種)이 있으면, 십선(十善)이라 함. <人登道隨 上 1352>

.....출세간(出世間,2573)-뉴사전 : 3계의 번뇌를 떠나 깨달음의 경지에 드는 것. 또는 그 경지. 세속·세간의 대어(對語). 초월성. 세속을 벗어난 깨끗한 세계. , lokuttara <雜阿含經 282203: MN. , p.72> 진실을 구하는 깨달음의 수행. 해탈을 위한 가르침. 사제(四諦)·6(六度) . <維摩經 14554> 불법(佛法)의 영역. <眞言內證> (해석예) 3계의 속박을 벗어나 무루성도(無漏聖道)에 들다. <人登道隨 上 3153>出世間慧, lokauttara prajna

.....사제(四諦,1118)-뉴사전 : , Catvari-aryasatyani , Cattari-ariyasaccani. 사성제(四聖諦)라고도 함. ()·()·()·(). 불교의 강격(綱格)을 나타낸 전형(典型)으로서 유력(有力)한 것. ()는 불변여실(不變如實)의 진상(眞相)이란 뜻. (1) 고제(苦諦). 현실의 상()을 나타낸 것이니, 현실의 인생은 고()라고 관하는 것. (2) 집제(集諦). ()의 이유 근거(理由根據) 혹은 원인(原因)이라고도 하니, 고의 원인은 번뇌인데, 특히 애욕과 업()을 말함. 위의 2제는 유전(流轉)하는 인과. (3) 멸제(滅諦). 깨달을 목표. 곧 이상(理想)의 열반. (4) 도제(道諦). 열반에 이르는 방법. 곧 실천하는 수단. 위의 2제는 오()의 인과. 이 사제설(四諦說) 자신에는 아무런 적극적인 내용이 들어 있지 않지만, 후대에 이르면서 매우 중요시하게된 데는 여러 가지 체계를 포괄(包括)하여 조직적으로 취급한 것이 있다. 고제는 무상(無常)·()·무아(無我)·5() (), 집제·멸제는 연기설(緣起說), 도제는 8성도(聖道) 설을 표하는 것. 그리고 고제·집제는 12인연의 순관(順觀), 멸제·도제는 역관(逆觀)에 각각 해당한다. 사제(四諦)는 사체로도 읽는다.사성제. ...사성제(四聖諦,1090)-뉴사전 : 사제(四諦)와 같음. 사제는 뛰어나고 신성한 것이므로, (; , arya , ariya)이라는 자를 붙임. (; , satya , sa-cca)란 진리·진실이라고 하는 것. 인생문제와 그 해결법에 대한 네가지의 진리라고 하는 뜻. , 고제(苦諦 ; , duhkha-satya)·집제(集諦 ; , samudaya-s ; 고집체), 멸제(滅諦 ; , niro-dha-s ; 苦滅諦·苦集滅諦)·도제(道諦 ; , marga-s ; 苦滅道諦·苦集滅道諦)를 말함. (1) 고제. 이 세상은 고통이라고 하는 진실. (2) 집제. 고통의 원인이 번뇌·망집이라고 하는 진실. (3) 멸제. 고통의 원인이 멸이라고 하는 진실. 즉 무상의 세상을 초월하여 집착을 끊는 것이 고통을 없앤 깨달음의 경지라고 하는 것. (4) 도제. 깨달음으로 이끄는 실천이라고 하는 진실. 즉 이상의 경지에 이르기 위해서는 팔정도의 올바른 수행방법에 의해야만 한다고 하는 것. (俱舍論 221-3> <中阿含經 71464: MN. , p.184>

.....십이인연(十二因緣,1589)-뉴사전 : 인간의 고통, 고민이 어떻게 해서 성립하는지를 고찰하고, 그 원인을 추구하여 12가지 항목의 계열을 세운 것. 존재의 기본적 구조의 12구분. 연기(緣起)의 이법(理法)12가지 항목으로 나눠서 설명한 것. 생존의 조건을 나타내는 12가지의 계열. 늦게 성립된 해석에 의하면, 중생이 과거의 업에 의해 현재의 과보를 받고, 또한 현세의 업에 의해 미래의 과보를 받는 인과의 관계를 12가지로 분류하여 설명한 것. (1) 무명(無明 : 무지), (2) (: 잠재적 형성력), (3) (: 식별작용), (4) 명색(名色 : 마음과 물질), (5) 육처(六處), (6) (: 감관과 대상과의 접촉), (7) (: 감수작용), (8) (: 맹목적 충동, 망집, 갈망에 비유되는 것), (9) (: 집착), (10) (: 생존), (11) (: 태어나는 것), (12) 노사(老死 : 무상한 모습)을 가리킨다. 차례로 앞의 것이 뒤의 것을 성립시키는 조건이 되어 있음. 따라서 차례로 앞의 것이 없어지면 뒤의 것도 없어진다.

.....삼학(三學,1242)-뉴사전 : 불도를 수행하는 자가 반드시 닦아야 하는 가장 기본적인 세가지 수행 부류를 말함. 계학(戒學)과 정학(定學)과 혜학(慧學)의 이 세가지를 가리킴. (1) (), ()을 멈추고 선()을 닦는 것. (2) (), 심신을 정결히 하여 정신을 통일하고, 잡념을 몰아내어 생각이 뒤엉키지 않게 하는 것. (3) (), 그 정결해진 마음으로 바르고 진실한 모습을 판별하는 것. 이 부즉불이(不即不離)한 삼학의 겸수(兼修)가 불도수행을 완성시킴. 규율이 있는 생활을 영위하고, 마음을 잘 가라앉혀서, 거기에서 바른 세계관을 갖게 되는 것. 3()(, trini siksani)이란, 증상계학(增上戒學 , adhisilam)·증상심학(增上心學 , adhicit-tam)·증상혜학(增上慧學 , adhiprajna)이라 함. 증상(增上 탁월)하게 하는 3종의 수행법이라는 뜻. <集異門論 526388> <俱舍論 249, 12 참조> (해석예) 계정혜(戒定慧). <聞解 138>

.....육도(六度,1971)-뉴사전 : 보시(布施)·지계(持戒)·인욕(忍辱)·정진(精進)·선정(禪定)·지혜(智慧)의 피안(彼岸)에 이르는 여섯가지 뛰어난 수행. 육바라밀(六波羅蜜)과 동일. (해석예) 보시 지계 인욕 정진(布施 持戒 忍辱 精進). 이 네가지를 복()이라고 하고, 선정 지혜(禪定 智慧) 이 두 가지를 지()라고 한다. ...육바라밀(六波羅蜜,1975)-뉴사전 : 대승불교(大乘佛敎)에 있어 보살이 열반에 이르기 위해 실천해야 할 여섯가지 덕목. 바라밀은 산, , paramita의 음역으로, 피안(彼岸)에 이르는 것으로 해석하고, ()라 한역함. 이상(理想)을 달성하는 것. 완성의 의미임. 육도(六度)라고도 함. 여섯가지 덕목의 완성. (1) 보시(布施 , dana). 주는 것. 그것에는 재시(財施 : 의복 등을 베푸는 것)와 법시(法施 : 진리를 가르치는 것)와 무외시(無畏施 : 공포를 없애고, 안심을 주는 것)3종이 있음. (2) 지계(持戒 , sila). 계율(戒律)을 지키는 것. (3) 인욕(忍辱 , ksanti). 고난을 참고 견디는 것. (4) 정진(精進 , virya). 진실의 도()를 느슨히 하지 않고 실천하는 것. (5) 선정(禪定 , dhyana). 정신을 통일하고 안정시키는 것. (6) 지혜(智慧 , prajna). 진실한 지혜를 얻는 것. <摩訶般若波羅蜜 68256>(해석예) 단계인진선혜(檀戒忍進禪慧). <金般講 57> 보시(布施), 지계(持戒), 인욕(忍辱), 정진(精進), 선정(禪定), 지혜(智慧). <念佛名義集 76> ...바라밀(波羅蜜,730)-뉴사전 : , , paramita의 음역. 예전에는()라 한역했다. 당대(唐代)에 있어서는 도피안(度彼岸)이라 한역. (), 건넜다,도피안이란 피안에 이르렀다의 뜻. 동시에 완료형임. 절대, 완전한의 뜻. 예를 들면 보시바라밀다(布施波羅蜜多), 절대완전의 보시(布施), 은혜를 베푸는 완성의 뜻. 피안에의 길. 완성. 수행의 완성. 깨달음의 수행. 깨달음의 길. 깨달음에 이르기 위한 보살의 수행. 바라밀(波羅蜜)로서는 시()·()·()·()·()·()의 육바라밀(六波羅蜜), 또는 이것에 방편(方便)·()·()·()를 더하여 십바라밀(十波羅蜜)을 세운다. 육바라밀(六波羅蜜)이란, (1) 보시(布施)(, dana). 사람에게 재물을 주고, 진리()을 가르치고, 안심(無畏)를 주는 것. (2) 지계(持戒) (, sirla). 계율을 지키는 것. (3) 인욕(忍辱)(, ksanti). 박해곤고(迫害困苦)를 참는 것. (4) 정진(精進)(, virya). 심신을 힘쓰며, 다른 오바라밀(五波羅蜜)을 수행하는 노력을 계속하는 것. (5) 선정(禪定)(, dhyana), 마음을 집중하고 안정시키는 것. (6) 지혜(智慧) : 般若 , prajna). 미혹을 여의고, 존재의 궁극에 있는 실상(實相)을 깨닫는 것을 말함. 6의 반야에 방편(方便)·()·()·()4가지를 더하여 십바라밀(十波羅蜜)이라하는 경우도 있다. 모두 자기를 완성함과 동시에, 많은 다른 사람을 이롭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俱舍論 189> <起信論 32579> (해석예) 도피안(度彼岸). <金般講 4> [표현예] 궁극. 완전한. ...바라밀다(波羅蜜多,731)-뉴사전 : 바라밀(波羅蜜)과 동일.바라밀 산, paramita <Bodhis.p.4 六波羅蜜多 ; 58, 1.16(十波羅蜜多) ; 371 1.7> <MAV. , >

 

분별(分別,945)-뉴사전 : (외적인 사물에 구애된) 단정. 다투다. 수기(授記)와 동일. 논의. 구분교(九分敎)의 하나. 배분하는 것. 나누어 배부하는 것. 조치. 하나하나 분해함. 구별. 구별하는 것. 열어 보임. 사유. 구분하는 것. 구별하여 생각함. 판별하기. (두개 이상의) 경우를 나누어 구별하여 설명하는 것. 개념으로서 표시할 수 없는 것을 표시하는 것. 개념작용. 생각. 망분별(妄分別)을 하는 것. 망상. 주관적 구상. 구상작용. 아라야식이 개전하여 차별상을 나타낼 때의 주관적 측면. 아라야식이 개전하여 차별상을 나타내는 것. 또는 그때의 주관적 측면. 망분별. 잘못된 인식. 망상. 사물(事物)을 분석하고 구별하는 것. 특수. 바이세시카 철학에서 말함. 사유(思惟). 구별. 분별기(分別起)의 약어. 생각하는 것으로부터 일어남.분별기 사람들이 이해되도록 나누어 설명함. 생각하는 것. 수심(受心)을 말함. 지식으로 하는 이해. 대상을 사려하는 것.分別名意識(분별이 즉 뜻이라는 것.) [해설] vika-lpa는 마음의 작용이 대상을 사유하고 계산하는 것이지만, 여기에는 세 종류가 있다. (1) 자성분별(自性分別)(, svabhava-vikalpa) ()·()·()·()·()의 오식(五識)이 대상을 식별하는 작용. (2) 계탁분별(計度分別)(, abhinirupana-vikalpa). 대상의 차별을 추량하고 재는 작용. (3) 수염분별(隨念分別)(, anusmarana-vikalpa). 과거의 것을 추념하는 작용. <俱舍論 2298>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 :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낼지니라.

 

출전 : 불교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유(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토불이(身土不二,1471)-국어사전  (0) 2025.05.08
속정(俗情,1368)-국어사전  (1) 2025.05.06
관세(關稅,246)-국어사전  (6) 2025.04.26
예심(穢心,1692)-국어사전  (0) 2025.04.18
가제(假諦,17)-뉴사전  (0) 2025.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