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유수생(本有修生) 본유수생(本有修生)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本有와 修生을 말함. 本有는 凡夫나 聖者나 다 같이 선천적으로 갖추고 있는 眞如法性의 德을 말한다. 修生은 修行에 따라 그 本有의 德을 啓發하여 점차로 덕을 완성하여 佛德을 나타나게 된다.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진여(眞如) 2016.05.20
유전진여(流轉眞如) 유전진여(流轉眞如)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7眞如의 하나. 生死界에 流轉하는 일체 有情의 實性은 眞如임을 말함. 곧 중생이 생사에 流轉하는 것도 그 實性이 眞實如常하여 不動不改의 眞如이기 때문이다. 참고 7眞如 : 流轉진여(流轉은 生滅變化하는 현상계. 곧 有爲.. 진여(眞如) 2016.03.22
원통(圓通) 원통(圓通)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널리 두루 통함으로 방해됨이 없는 것. 지혜에 의해 깨달은 眞如의 理는, 그 본질이 원만하여 널리 모든 존재에 두루하고 그 작용은 자재하여 방해됨이 없이 모든 존재에 작용하기 때문에 그 理를 圓通이라고 한다. 또 지혜로 眞如.. 진여(眞如) 2016.01.10
법성수연(法性隨緣) 법성수연(法性隨緣)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眞如隨緣이라고도 함. 眞如法性이 體染緣에 따라 還滅하는 因果를 일으키는 것을 法性隨緣이라고 한다.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진여(眞如) 2015.12.30
일상(一相) 일상(一相)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1) 絶對平等. 차별도 對立도 없는 平等. 하나의 모습. 공통한 모습. 無差別. 眞如의 相을 말한다. (2) 異相의 對. 一切는 다만 하나의 물질적인 理에서 생긴다고 하는 見解를 말한다.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 진여(眞如) 2015.12.09
실상반야(實相般若) 실상반야(實相般若)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2般若의 하나. 般若는 지혜 또는 밝음(明)이라 번역한다. 文字般若와 함께 般若에 대하여 觀照되는 境界로서, 지혜로 證得한 바 理體 곧 萬有의 本體를 말한다.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진여(眞如) 2015.12.03
아공진여(我空眞如) 아공진여(我空眞如)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無我의 진리를 말한다. 진여란 상주하여 불변하는 진리를 뜻함. 여기 이 진리는 我執을 버린 無我의 眞體이기 때문에 我空眞如라고 한다.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진여(眞如) 2015.11.20
수연진여(隨緣眞如) 수연진여(隨緣眞如)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不變眞如) 진여 곧 우주의 본체는 불변 부동하는 것이나, 마치 물이 外緣인 바람에 의하여 물결이 일어남과 같이, 외부의 無明인 緣에 응하여 삼라만상을 내고, 또 물결이 물의 성질을 잃지 아니함과 같이, 삼라만상의 事相은 마침내 불변하.. 진여(眞如) 2015.10.28
삼진여(三眞如) 삼진여(三眞如)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1) 無相眞如. 모든 법의 體가 遍計所執의 虛相임을 말함. (2) 無生眞如. 모든 법은 인연이 生하므로 實生함이 없다고 말하는 것. (3) 無性眞如. 모든 법의 진실한 體는 말도 없고 생각도 끊어진 것이므로 妄情이 집착할 實性이 없다는 것. 이 三眞.. 진여(眞如) 2015.10.25
사행진여(邪行眞如) 사행진여(邪行眞如)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解心密經 卷三에 說하고 있는 7眞如의 하나. 煩惱 · 邪行 등도 眞如의 體를 떠나서 있을 수 없으므로 眞如라 한다. 참고 邪行 : 96종의 외도의 行法을 총칭함. 瑜伽論記 六上에「사행은 96종 외도 등이다」하였음. 또는 三邪行의 준말. 三邪行 :.. 진여(眞如) 2015.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