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행무상(諸行無常) 32

영원한 자유-23(성철큰스님,99페)

영원한 자유-23(성철큰스님,99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영혼의 물질화- 우리나라에도 옛날 이야기에 보면 영혼이 있음을 시사하는 이야기가 많이 전해옵니다. 이를테면 어떤 선비가 산 속에서 길을 잃고 헤매다가 아름다운 아가씨를 만나게 되어 함께 살았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렇게 함께 살던 어느 날, 그 아가씨가 친정에 간다고 해서 따라가 보면 집에 들어가서 나오지를 않는 것입니다. 그래서 기다리다 못해 들어가서 물어보면 그 아가씨는 이미 죽은 사람인데 그 날이 바로 그 여자의 제삿날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결국 산 사람이 영혼과 함께 살았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이와 같은 사례가 옛날 이야기로만 전해오는 것이 아니라 현대에 와서도 영국에서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영혼을 기술적인 방법으..

비화낙엽리(飛花落葉理,1032)-뉴사전

비화낙엽리(飛花落葉理,103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독각승(獨覺乘)의 사람(혼자서 스스로 깨달음을 얻는 사람)이 산림에 들어가 수행하고, 세상의 무상(無常)함을 알아 깨달을 때의 대상으로 되는 것. 즉, 봄에 날리는 꽃, 가을에 떨어지는 나뭇잎이라는 자연계의 생멸변화의 모습을 계기로 깨닫는, 무상(無常)의 이치를 가리킨다. 참고 독각승(獨覺乘)→독각(獨覺,500)-뉴사전 : 독력(獨力)으로 깨달음에 향하는 사람. 타인의 가르침을 듣지 않고, 자기 스스로의 방법으로 깨닫는 자. 혼자 사는 수행자. 벽지불(辟支佛)·연각(緣覺)이라고도 함, 독각(獨覺)은 원래 부처님이「스승에게 의하지 않고 스스로 깨달음을 얻었다」무사독오(無師獨悟)를 의미한 말이지만,「연기(緣起)의 이치를 깨닫는..

애착생사(愛着生死,1563)-국어사전

애착생사(愛着生死,156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괴로움이 많은 이 세상의 덧없음을 깨닫지 못하고, 생사를 되풀이하는 이 세상에 집착하는 일을 이름. 참고 애착(愛着,1563)-국어사전 : ① 아끼고 사랑하는 대상에 정이 붙어 그것과 떨어질 수 없음, 또는 그런 마음. ② 애집(愛執). ...애착(愛著,1677)-뉴사전 : ① 갈애와 같음. 팔, tanha ② 탐욕의 마음을 가지고, 사물에 구애되는 것. 집착하는 것. 산, trsna ③ →영수(領受) ④ 가까이 의지하는 것. 팔, upaya ⑤ 남녀의 사랑에 집착하는 것.→갈애 ...갈애(渴愛,33)-뉴사전 : ① 목이 말라 물을 구하는 것 같은 탐욕의 마음. 갈(渴)에 비유되어지는 망집(妄執). 산, trsna..

성자필쇠(盛者必衰,1326)-국어사전

성자필쇠(盛者必衰,132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한번 성한 자는 반드시 쇠하게 마련이라는 말. 참고 성자(盛者,1325)-국어사전 : 세력을 크게 떨치는 사람. 성하다(盛-,1328)-국어사전 : (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 반드시(917)-국어사전 : 꼭. 틀림없이. 쇠하다(衰-,1383)-국어사전 : ① (힘이나 세력 등이) 차차 줄어서 약해지다. ② (운수가) 다하다. 마련(738)-국어사전 : Ⅰ (명사) ① 준비. 대비. ② (‘-ㄴ(은·는),-ㄹ(을·를)’등에 이어 쓰이어) 속셈. 궁리. 계획. Ⅱ (의존명사) (주로‘-기/-게’에 이어 쓰이어) 그리됨. 그리되는 것이 당연함. 예) 비밀이란 새어 나가게 마련인 것일세. 성자필쇠(盛者必衰,1289)-국어사..

제행무상(諸行無常,2100)-국어사전

제행무상(諸行無常,2100)-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우주 만물은 항상 돌고 변하여 잠시도 한 모양으로 머무르지 않음’을 이르는 말. 참고 제행(諸行,2100)-국어사전 : [불교에서] ① 온갖 수행. ② 인연(因緣)으로 말미암아 일어나는 온갖 현상. ...인연(因緣,1903)-국어사전 : ① 사물들 사이에 서로 맺어지는 관계. ② 연분. ③ 내력. ④ 불교에서, 결과를 내는 직접적인 원인인 인(因)과 간접적인 원인인 연(緣). [쌀과 보리는 그 씨가 인(因)이고, 노력·자연·거름 따위가 연(緣)임.] ...제행(諸行,2332)-뉴사전 : ① 여러 가지 형성력. 가변(可變). 가훼(可毁)의 일반현상. 모든 존재. 하나의 개인 존재 전체를 의미함. 유위(有爲)와 같음...

무상고공무아(無常苦空無我,649)-뉴사전

무상고공무아(無常苦空無我,649)-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무상하고 고통에 가득차고, 공으로 영원히 변하지 않는 주체는 없다고 하는 뜻. 산, anitya-duhkha-sunya-anamata 참고 무상(無常,647)-뉴사전 : 온갖 것들이 변해가며 조금도 머물러 있지 않는 것. 아무것도 정지하지 않는 것. 고정되어 있지 않는 것. 언젠가는 없어지는 것. 변해감. 변화변천. 헛됨. 덧없음. 이몸이 헤아리지 못하는 것. 변하기 쉬움. 아주 잘 변하는 인생. 영구히 존속하는 것이 아닌 것. 영원성이 없는 것. 팔, anicca ② 16행상의 하나. 현장(玄奘)은「非常」이라고 번역했음. →십육행상 .....십이인연(十二因緣,1589)-뉴사전 : 인간의 고통, 고민이 어떻게 해서 성립하..

객진번뇌(客塵煩惱,52)-뉴사전

객진번뇌(客塵煩惱,5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객진(客塵) ②와 같은 말. 객진(客塵)이란 것은 우연적 부착을 나타냄. 번뇌는 마음속의 고유한 것이 아닌, 마음에 부착한 독성이기 때문에 객진번뇌(客塵煩惱)라고 함. 외부에서 와서 청정한 마음을 더럽힌 번뇌. 우발적이고 일시적인 객과 같은 번뇌. 그것은 분별에 의해 생긴다.→번뇌 「진제(眞諦)의 부가(付加)」 산, agantuka-klesa 산, agatuka … upaklesa 참고 객진(客塵,52)-뉴사전 : ① 우연히 밖으로부터 온 번뇌라는 말. 산, agantuka 산, agantukatva ② 우연적인, 외래적인 불결함. 번뇌. 본래 있는 것이 아니고 외부에서 온 번뇌를 말함. 정주(定住)하지 않고 진지(眞智)에 의해 ..

무상(無常,647)-뉴사전

무상(無常,64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온갖 것들이 변해가며 조금도 머물러 있지 않는 것. 아무것도 정지하지 않는 것. 고정되어 있지 않는 것. 언젠가는 없어지는 것. 변해감. 변화변천. 헛됨. 덧없음. 이몸이 헤아리지 못하는 것. 변하기 쉬움. 아주 잘 변하는 인생. 영구히 존속하는 것이 아닌 것. 영원성이 없는 것. 팔, anicca ② 16행상의 하나. 현장(玄奘)은「非常」이라고 번역했음. →십육행상

무상(無常)하다는 생각에 의한 닦음과 탐진치(증일아함경-865-173)

무상(無常)하다는 생각에 의한 닦음과 탐진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들은 늘 무상하다는 생각을 사유(思惟)하고, 무상하다는 생각을 널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