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경(六境)

육경(六境,1966)-뉴사전

근와(槿瓦) 2020. 5. 13. 07:38

육경(六境,1966)-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육근(六根)의 여섯종류의 대상. (: )·()·()·()·(: 신체에 접촉하여 지각되는 것)·(: 의식의 사고대상). 인식작용의 대상을()이라 하지만, 특히 오관(五官)과 의()의 대경(對境)으로서의 색경(色境 : 눈에 의한 인식)·성경(聲境 : 귀에 의한 소리)·향경(香境 : 코에 의한 향)·미경(味境 : 혀에 의한 맛)·촉경(觸境 : 신체에 의한 접촉)과 법경(法境 : 의식에 의한 사고대상)을 말함. 육체와 사고의 작용 대상을 총괄하여 육경(六境)이라 하고, 거기에 전오식(前五識)도 의식에 의해 인식되어진다고 하는 것이 불교의 특색임. 구체적으로 말하면 (1) 색경(色境). 눈으로 인식하는 청()·()·()·()의 색채(色彩), ()·()·()·()·()·()·()·부정(不正)의 형상(形狀)을 말함. (2) 성경(聲境). 언어와 각종 음성을 가리킴. (3) 향경(香境). ()·()·()·부등(不等)의 네 종류의 향()과 취미(臭味)가 있음. (4) 미경(味境). ()·()·()·()·()의 다섯가지 맛 등. (5) 촉경(觸境). ()·()·()·()·()·()·()·()·()·()·()11종류를 헤아림. (6) 법경(法境). 일체의 것을 포함하지만, 협의(狹義)로 오경(五境)을 제한 나머지, 주로 사상(思想)을 가리킴. 육근(六根)은 주관(主觀)에 속하는 것이므로 육내처(六內處), 육경(六境)은 객관(客觀)에 속하므로 육외처(六外處)라고도 함.()육근(六根)() <俱舍論 211 >

 

참고

육근(六根,1968)-뉴사전 : 여섯 개 기관. 여섯가지 감각기관. 여섯가지 인식능력. 시각(視覺)·청각(聽覺)·후각(嗅覺)·()·()·()·()를 말함. ()은 인식기관을 의미함. ()·()·()·()·()·()가 그 대상에 대하여 감각(感覺)·인식작용(認識作用)을 하는 경우, 그 의지처가 되는 작용을 하는 것. , 시각기관(視覺機官 : 視神經)과 그에 의한 시각능력(眼根), 이하, 청각(聽覺)·후각(嗅覺)·미각(味覺), 그리고 촉각기관이나 촉각능력(身根)의 오근(五根), 또 사유기관(思惟機官)과 그 능력(意根)을 합하여 육근(六根)이 됨. 각기의 기관을 부진근(扶塵根 : 물질적인 형태가 있는 것)이라 하고, 그 능력을 승의근(勝義根)이라 함. 육경(六境)·육식(六識)의 연관에 있어 논의되고, 십이처(十二處)·십팔계(十八界)의 구성 내용임. 오근(五根)을 물질적 존재인 색법(色法)이라고 하는 것에 대해, 의근(意根)은 마음의 외면적인 작용으로서 심법(心法)이라 함. 그러나 전오식(前五識)은 의근(意根)외에 각기 특정한 근()이 있지만, 의식(意識)은 의근(意根)을 근거로 하여, 그 이외에 특정한 근()을 갖지 않음. 또 육근(六根)을 인간의 신심(身心)전체라고 보아,법화경등에서는 이 경()의 독송(讀誦), 서사(書寫) 등에 의해 육근청정(六根淸淨)이 된다고 하고, 천태종(天台宗)에서는 보살의 오십이위(五十二位)의 최초의 십신위(十信位)를 육근청정위(六根淸淨位)라 하고, 그 전에 세운 수희(隨喜)·독송(讀誦)·설법(說法)·육도(六度) 등의 오품위(五品位)와 함께 중시함. ()오근(五根)육식(六識)육경(六境)부진근(扶塵根)승의근(勝義根). <俱舍論 118 > , sad-indriya<AK., 2> <법화경 6947>

 

(,1275)-뉴사전 : 원어인 산, rupa(, gzugs)rup(형태 만들기)라는 의미의 동사로부터 만들어진 말로, 형태가 있는 것이라는 뜻이 있음.색이란 형태가 만들어진 것이다(, rupyata iti rupam)로 해석된다. 또한 ru(파괴하다)라는 동사로부터 만들어진 것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파괴되는 것, 변화하는 것이라는 의미가 있음. 요컨대 형()을 가지고 생성(生成)하며 변화(變化)하는 물질 현상을 가리키는 말임. 전통적으로는 변괴(變壞)·질애(質碍)라는 뜻이 있다고 해석됨. (해석예) 질애(質碍)의 뜻, 모든 형()이 있는 것. 색깔. 채색. , varna 색과 형. 눈의 대상. 눈으로 볼 수 있는 것. ·형태를 가진 모든 물질적 존재. 시각기관의 대상이므로 단순히 색이 아닌 색과 형태를 포함함. 시각의 대상. 5()의 하나. 색진(色塵)이라고도 함. 색계(色界)·색처(色處)와 같음. 아비달마의 교학에서는 색을 현색(顯色), 형을 형색(形色)이라고 부름. 눈의 대상인 경우에는 때로는 색심(色心)의 색과 구별하기도 함. 예를 들면 현장(玄奘)의 유식비량(唯識比量)에서의 극성색(極成色). (). 물건의 형태. 물질. 물질일반. 물질적 존재. 형질을 갖고 생성변화하는 물질적 현상. 물체. 이 세상을 구성하는 물체. 색온(色蘊)과 같음.색온 물질(반드시 오온(五蘊)중의 하나는 아님). 마음의 반대개념으로 일컫는 것. 오위(五位)의 하나일 때는 색법(色法), 오온(五蘊)의 하나일 때는 색온(色蘊).색이란 오근(五根)과 오경(五境) 및 무표(無表).」⑦ 형태 있는 것. (물질적인 형체가 있는 것). 색관 색(色觀 色) 육체. 형해(形骸). 용색(容色). 중생의 마음에 비쳐 나타나는 불신(佛身)으로 나타나있는 각종 형상. 색계(色界). 깨끗하고 맑은 물질로 이루어져있는 세계. 바이세시카 철학에서 성질()의 하나. (해석예) 다만 눈만이 소취(所取)하여 하나의 실()을 근거로 함. 집착. 색욕(色慾). 내용. 모양. 정태(情態).

 

(,1349)-뉴사전 : 음성이라는 뜻. 소리. 음성의 세계. 청각의 대상이 되는 것(, visaya). 육경(六境)의 하나. 귀로 들리는 것. 반드시 인간의 소리만은 아니다. <中論 3·9, 23> <般若心經> <大無量壽經 1> 언어. .언성(言聲) 자음과 모음이 합한 실러볼. <悉曇字記 27> 바이세시카 철학에서 상정(想定)하는 성질. ()의 제24. 음성. (해석예) 단지, 귀만으로 취하는 바로서, 하나의 실()에 의한 것(虛空)이라고 하는 하나의 실체의 성질인 것)을 소리라고 이름짓는다. <十句義論 541263, 1264, 1265·> <俱舍論 16·7·18·21 >

 

(,2772)-뉴사전 : 향기. 향기가 나무조각이나 나무껍질로부터 제조한 것으로 인도에서는 체취 등을 없애기 위해 열대지방에 많은 향목으로부터 향료를 채취해, 몸에 바르기도 하고, 의복이나 방에 피우는 풍습이 있음. 불교에서는 부처님을 공양하는 방법으로서 소향(燒香)·도향(塗香)을 십종공양(十種供養)·오공양력(五供養力) 등 중에 헤아리고, 향화(꽃과 향)라고 숙어로 하여 꽃과 함께 부처님에게 공양하는 대표적인 것으로 함. 원료인 향목의 종류에는 전단향(栴檀香)·침향(沈香)·용뇌향(龍腦香)·가라(伽羅)·안식향(安息香), 사후란의 꽃을 눌러 만드는 울금향(鬱金香) 등이 있고, 사용법으로는 도향(塗香)에 쓰이는 향수(香水)·향유(香油)·향약(香藥)·소향용(燒香用)의 환향(丸香)·산향(散香)·말향(抹香)·선향(線香) 등이 있음. 밀교에서는 수법의 종류에 따라 향을 구별하고, 각각 불교교리에 비유하는 일도 있음. 또는 법의 공덕을 향에 비유하여, 계향(戒香)·문향(聞香)·시향(施香) 등이라고 칭하고, 불전을 향실(香室)·향전(香殿) 등이라고 한다. 출가교단(出家敎團)에서는 몸을 장식하는 도향(塗香)은 허락되지 않고, 견습기간의 승려(사미)의 십계 중에, 몸에 향유를 바르는 일이 금지되어 있음. 후각의 대상. 육근중의 비근(鼻根)으로 맡고, 육식의 비식(鼻識)이 식별하는 대상. <義足經 4186> <俱舍論 14·6> 바이세시카 철학에서 세운 덕(: 性質)의 제3.

 

(,703)-뉴사전 : . 미각(味覺). 혀의 감각기관이 작용하는 영역. 단맛·쓴맛·신맛·매운맛·짠맛·떫은맛의 6종류가 있어, 육미(六味)라 함. <般若心經> <俱舍論 14·6·7> 전하여 감각적인 맛. 감각적인 기쁨. 이 세상의 자체의 맛. <理趣經 8784> 애착(愛著). 칠미(七味)를 헤아림. 먹는 것. 맛보는 것. 변하여 탐닉(耽溺)하는 것. 갈애(渴愛)를 의미함. 선원(禪院)에 있어서 육미(六味)라 칭하여, 식사(食事)()를 말함. 바이세시카 학파의 용어로, ()의 제2. 미각의 대상(對象). 문자. 음절의 오역(誤譯).

 

(,2550)-뉴사전 : 피부촉감·손촉감 등의 감촉(感觸). 감촉(感觸). 접촉(接觸). 접촉감상(接觸感賞). 매끈함·꺼칠함·무거움·가벼움·차가움·배고픔·목마름의 칠종(七種)외에 지()·()·()·()의 사원소(四元素) 각각의 특성으로서의 단단함·습윤성(濕潤性)·열성(熱性)·유동성이 포함됨. <維摩經 14540> [표현예] 접촉. 촉감. 가촉성(可觸性). 접촉되어지는 것. 신근(身根)의 작용 대상. 육경(六境)의 하나. 가촉물(可觸物). 신체에 접촉해서 지각되는 것. 물체. 기관과 대상과의 접촉. 감각기관과 대상과 의식작용의 접촉. ()·()·()의 삼화합(三和合). 마음의 내계와 외계의 접촉. 소승의 아비달마에 있어서는 십대지법(十大地法)의 하나.대지법(大地法) 접촉. 유식설(唯識說)에 의하면, 감각기관(, indriya)과 대상(, visaya)과 인식(, vinana)과 화합(, samnipata)하였을 때에, 감각기관의 변이(變異)가 분명하게 되는 것. 오변행(五遍行)의 심소(心所)의 하나. ()·심소(心所)를 대상으로 접촉하게 하는 작용. (해석예) ()의 심소(心所), 마음을 마음이 알아야 할 일에 능히 접촉할 수 있는 마음이다. <唯識大意 本 11> 십이인연(十二因緣)의 제6(第六支). 바이세시카 철학에 있어서, 성질()의 제4. (해석에) 오직 가죽(피부)만 소취(所取)로 하여 하나의을 의지처로 하는 것임. 상캬철학(철학)에서 촉각의 대상이 되는 미세한 요소를 말함. 남녀의 접촉, 포옹. ⑩ 「접촉함닿음. 더럽힘. 실제로 신체에 있어 행해지는 것.

 

(,804)-뉴사전 : () 보통은 dharma의 한역. (*. dharma)*. dhr에서 유래하고,지키는 것, 유지하는 것, 특히인간의 행위를 유지하는 것이 원래의 뜻이라 생각됨. 인도의 일반인들에게 다음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고 있음. 관례. 습관. 풍습. 행위의 규범. 해야할 것. 도리. 의무. 사리. 사회적 질서. 사회제도. . 선한 행위. . 진리. 진실. 이법(理法). 보편적 의미의 사리. *. satya와 동일시 됨. 전세계의 근저. 종교적 의무. 진리 인식의 규범. 법칙. 가르침. 교설. 본질. 본성. 속성. 성질. 특질. 특성. 구성요소. 논리학에서는 술어·빈사(賓辭). *. poranedharmme(하나의 민족의 예부터의 관습)

() 불교이외의 철학의 특수한 술어로서는, 상캬학파에서는 4(··離俗·自在)의 하나. 미덕. 바이세시카철학에서 성질()의 제22. 달마. *. dharma (해석예) 이것에는 2종류가 있다. 하나는 능전(能轉), 둘은 능환(能還)이다.

() 불교에서도, 이 말은 위와 같은 의미와 마찬가지로, 많은 뜻이 있지만, 특히 아비달마교학에서는能持自相故名爲法 *. svalaksanadharanad dharmah 사물 그대로의 본질을 파지(把持)하므로 법이라 함)으로 해석되어, 그 자체의 본성을 지켜서 변화하지 않고, 인식이나 행위의 궤범이 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음. 그것은 각종 의미로 쓰여짐. 진실의 이법(理法). 진리. 모든 사람이 어떠한 장소에서나 언제나 지켜야 할 규칙. 삼세시방(三世十方)에 통하는 이법(理法). 법규. 진실. 법칙. 궤범. 이치. 이치의 힘. 올바른 것. 선한 행위. 이법(理法)으로서의 연기(緣起)를 가리킴. 가르침. 부처님의 가르침. 불법. (법의 장(). 가르침의 고(). 삼보(三寶)의 하나. 구체적인 계율. 학처(學處). 12부경(십이부경). 본성. (). ()의 대상. 생각의 내용. 생각. 육경(六境)의 하나. 마음의 모든 생각. 사고의 대상이 되는 것 일반. 마음의 대상. 마음이 대상으로서 잡히는 것. 사물. 존재. 존재하고 있는 것. 물건. 구체적 개별적인 존재. 대상. 어떤 것 그대로의 모습. 오위칠십오법(五位七十五法)이라든지 오위백법(五位百法)으로 정리된 것. 문자에 따라 말로 표현되는 의미. 마음의 작용. 실체. (대승의 실체란, 일체 중생이 안에 갖추고 있는 마음이 다름아님.) 법신(法身). 삼신(三身)중의 법신(法身). 주어에 대한 술어. 중국의 인명(因明)에서는 의()·후진(後陣)·차별(差別)·능별(能別)에 해당함. 일본에서는 밀교(密敎)에서 행하는 기도, 수법. *. (해석예) 사물의 궤칙(軌則)으로 되므로이라 함. 법규. 평범. ()로 본보기가 되는 것. 법규. 성과. 노래도 춤도 법의 소리.

 

(,89)-뉴사전 : 대상. 외계의 존재. 현상. (). 사물. 외계의 사물. 감관(感官)과 마음에 의해 지각되고 사려되는 대상. 일반적으로는 귀·····()6기관이 감각작용을 일으키는 대상, 6(六境)을 말함. 이들은 인간의 마음을 더럽히기 때문에 진()이라 함. , visaya <俱舍論 14> <百五十讚 7> , gocara(원뜻은 마음을 움직이는 범위) 대상. 인식의 대상. 마음의 인식작용이 인식하는 대상. 또는 가치판단의 대상. 소취(所取)와 같음.이십오제. 5()의 대상. 5(). 또는 뜻의 대상까지 더해 6()이라 함.육경. 뛰어난 지혜의 대상으로서 불법의 이치를 분별하는 것. 천태교의에서는 관부사의경(觀不思議境)으로서 실상의 이치를 관하는 것. 마음의 상태. 경지. 유식(唯識)에서는 대상을 그 성질로 나누어 성()·독영(獨影)·대질(帶質)3류경(類境)으로 함. 세계. 객관세계. 경계·환경·주변. (해석예) 상대라는 것. <圓乘 3055> 상대.

 

오관(五官,1788)-뉴사전 : 지옥(地獄)의 염마왕(閻摩王)의 법정에 있어서 5명의 법관. <灌頂經 1221535> 오대사자(五大使者)와 같음.오대사자 한역 불전에는 없지만, 5종류의 감관(感官)의 호칭으로 불교의 5()(····)에서 나와 일반어가 된 것임. 신근(身根)은 피부감각(皮膚感覺)으로 따뜻함·차거움·아픔·압박 등의 감각을 구별하는 것이지만, 불교에서는 오관(五官)의 하나라고 하는 견해가 통용됨.

 

(,2018)-뉴사전 : 사량(思量). 마음. 생각. 생각하는 마음의 움직임. , manas , yid 의처(意處)의 준말.

의식의 준말.

설일체유부[俱舍 등의 (六識家)]에서는 의근(意根)의 뜻. , ()·()·()·()·()과 함께 하나의 기관으로 인식작용을 함. 사고기관. ()·()과 같음.

유식 등의 8식가(八識家)에서는 제7말나식(末那識)의 다른 이름.말나(唯識二十論 3174)

목적. 의취(意趣). 마음.

의향.

(부처님)의 가르침.

마음에 의거하면서도 마음에 미혹하여 생기는 각종의 망념(妄念). <起信論 31577>

바이세시카 철학에서 9개의 실체 가운데의 하나. ()·()·()·()·()·근용(勤勇)·()·비법(非法)·()을 위한 불화합인연(不和合因緣), , asamavay-karana, 내속을 갖지 않은 원인으로, ()를 일으키는 [대상에 대해 인식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문두(文頭)에 있어서의또는意者라고 생각한다는 뜻.

 

색경(色境,1277)-뉴사전 : 안근(眼根)의 대경(對境). 시각의 대상을 말함. 5(五境)의 하나.오경 <俱舍論 2215, 16참조>

 

성경(聲境,1351)-뉴사전 : 오경(五境)의 하나. 귀로 들리는 대상. <俱舍論 17참조>

 

오경(五境,1786)-뉴사전 : 5개 감각기관의 대상. 5종류의 외계의 대상. 색과 소리와 향기와 맛과 촉감. 5종류의 대상()(·소리·향기··촉감). 이것들은 색온(色蘊)에 해당함. , arthah panca <俱舍論 16 : AK. , 9> (해석예) 오경(五境)이란 이들 눈 등의 각각에 대응하는 5개의 경계(, visaya) 즉 색(, rupa)·소리(, sabda)·향기(, gandha)·(, rasa)·촉감(, sprastavya). <俱舍論 16>

 

(,2772)-뉴사전 : 향기. 향기가 나무조각이나 나무껍질로부터 제조한 것으로 인도에서는 체취 등을 없애기 위해 열대지방에 많은 향목으로부터 향료를 채취해, 몸에 바르기도 하고, 의복이나 방에 피우는 풍습이 있음. 불교에서는 부처님을 공양하는 방법으로서 소향(燒香)·도향(塗香)을 십종공양(十種供養)·오공양력(五供養力) 등 중에 헤아리고, 향화(꽃과 향)라고 숙어로 하여 꽃과 함께 부처님에게 공양하는 대표적인 것으로 함. 원료인 향목의 종류에는 전단향(栴檀香)·침향(沈香)·용뇌향(龍腦香)·가라(伽羅)·안식향(安息香), 사후란의 꽃을 눌러 만드는 울금향(鬱金香) 등이 있고, 사용법으로는 도향(塗香)에 쓰이는 향수(香水)·향유(香油)·향약(香藥)·소향용(燒香用)의 환향(丸香)·산향(散香)·말향(抹香)·선향(線香) 등이 있음. 밀교에서는 수법의 종류에 따라 향을 구별하고, 각각 불교교리에 비유하는 일도 있음. 또는 법의 공덕을 향에 비유하여, 계향(戒香)·문향(聞香)·시향(施香) 등이라고 칭하고, 불전을 향실(香室)·향전(香殿) 등이라고 한다. 출가교단(出家敎團)에서는 몸을 장식하는 도향(塗香)은 허락되지 않고, 견습기간의 승려(사미)의 십계 중에, 몸에 향유를 바르는 일이 금지되어 있음. 후각의 대상. 육근중의 비근(鼻根)으로 맡고, 육식의 비식(鼻識)이 식별하는 대상. <義足經 4186> <俱舍論 14·6> 바이세시카 철학에서 세운 덕(: 性質)의 제3.향경(香境 : 코에 의한 향)

 

(,703)-뉴사전 : . 미각(味覺). 혀의 감각기관이 작용하는 영역. 단맛·쓴맛·신맛·매운맛·짠맛·떫은맛의 6종류가 있어, 육미(六味)라 함. <般若心經> <俱舍論 14·6·7> 전하여 감각적인 맛. 감각적인 기쁨. 이 세상의 자체의 맛. <理趣經 8784> 애착(愛著). 칠미(七味)를 헤아림. 먹는 것. 맛보는 것. 변하여 탐닉(耽溺)하는 것. 갈애(渴愛)를 의미함. 선원(禪院)에 있어서 육미(六味)라 칭하여, 식사(食事)()를 말함. 바이세시카 학파의 용어로, ()의 제2. 미각의 대상(對象). 문자. 음절의 오역(誤譯).미경(味境 : 혀에 의한 맛)

 

촉경(觸境,2550)-뉴사전 : 접촉하게 되는 대상. 육경(六境)의 하나.육경.....(,2550)-뉴사전 : 피부촉감·손촉감 등의 감촉(感觸). 감촉(感觸). 접촉(接觸). 접촉감상(接觸感賞). 매끈함·꺼칠함·무거움·가벼움·차가움·배고픔·목마름의 칠종(七種)외에 지()·()·()·()의 사원소(四元素) 각각의 특성으로서의 단단함·습윤성(濕潤性)·열성(熱性)·유동성이 포함됨. <維摩經 14540> [표현예] 접촉. 촉감. 가촉성(可觸性). 접촉되어지는 것. 신근(身根)의 작용 대상. 육경(六境)의 하나. 가촉물(可觸物). 신체에 접촉해서 지각되는 것. 물체. 기관과 대상과의 접촉. 감각기관과 대상과 의식작용의 접촉. ()·()·()의 삼화합(三和合). 마음의 내계와 외계의 접촉. 소승의 아비달마에 있어서는 십대지법(十大地法)의 하나.대지법(大地法) 접촉. 유식설(唯識說)에 의하면, 감각기관(, indriya)과 대상(, visaya)과 인식(, vinana)과 화합(, samnipata)하였을 때에, 감각기관의 변이(變異)가 분명하게 되는 것. 오변행(五遍行)의 심소(心所)의 하나. ()·심소(心所)를 대상으로 접촉하게 하는 작용. (해석예) ()의 심소(心所), 마음을 마음이 알아야 할 일에 능히 접촉할 수 있는 마음이다. <唯識大意 本 11> 십이인연(十二因緣)의 제6(第六支). 바이세시카 철학에 있어서, 성질()의 제4. (해석에) 오직 가죽(피부)만 소취(所取)로 하여 하나의을 의지처로 하는 것임. 상캬철학(철학)에서 촉각의 대상이 되는 미세한 요소를 말함. 남녀의 접촉, 포옹. ⑩ 「접촉함닿음. 더럽힘. 실제로 신체에 있어 행해지는 것.

 

법경(法境,806)-뉴사전 : 육경(六境)의 하나. 또는 법처(法處)·법계(法界)라고도 함. 6의식(第六意識)의 대상으로구사론에서는 사십육심소(四十六心所)·십사불상응법(十四不相應法)·삼무위(三無爲)·무표색(無表色)의 육십사법(六十四法)을 취함.육경(六境).....(,804)-뉴사전 : () 보통은 dharma의 한역. (*. dharma)*. dhr에서 유래하고,지키는 것, 유지하는 것, 특히인간의 행위를 유지하는 것이 원래의 뜻이라 생각됨. 인도의 일반인들에게 다음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고 있음. 관례. 습관. 풍습. 행위의 규범. 해야할 것. 도리. 의무. 사리. 사회적 질서. 사회제도. . 선한 행위. . 진리. 진실. 이법(理法). 보편적 의미의 사리. *. satya와 동일시 됨. 전세계의 근저. 종교적 의무. 진리 인식의 규범. 법칙. 가르침. 교설. 본질. 본성. 속성. 성질. 특질. 특성. 구성요소. 논리학에서는 술어·빈사(賓辭). *. poranedharmme(하나의 민족의 예부터의 관습)

() 불교이외의 철학의 특수한 술어로서는, 상캬학파에서는 4(··離俗·自在)의 하나. 미덕. 바이세시카철학에서 성질()의 제22. 달마. *. dharma (해석예) 이것에는 2종류가 있다. 하나는 능전(能轉), 둘은 능환(能還)이다.

() 불교에서도, 이 말은 위와 같은 의미와 마찬가지로, 많은 뜻이 있지만, 특히 아비달마교학에서는能持自相故名爲法 *. svalaksanadharanad dharmah 사물 그대로의 본질을 파지(把持)하므로 법이라 함)으로 해석되어, 그 자체의 본성을 지켜서 변화하지 않고, 인식이나 행위의 궤범이 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음. 그것은 각종 의미로 쓰여짐. 진실의 이법(理法). 진리. 모든 사람이 어떠한 장소에서나 언제나 지켜야 할 규칙. 삼세시방(三世十方)에 통하는 이법(理法). 법규. 진실. 법칙. 궤범. 이치. 이치의 힘. 올바른 것. 선한 행위. 이법(理法)으로서의 연기(緣起)를 가리킴. 가르침. 부처님의 가르침. 불법. (법의 장(). 가르침의 고(). 삼보(三寶)의 하나. 구체적인 계율. 학처(學處). 12부경(십이부경). 본성. (). ()의 대상. 생각의 내용. 생각. 육경(六境)의 하나. 마음의 모든 생각. 사고의 대상이 되는 것 일반. 마음의 대상. 마음이 대상으로서 잡히는 것. 사물. 존재. 존재하고 있는 것. 물건. 구체적 개별적인 존재. 대상. 어떤 것 그대로의 모습. 오위칠십오법(五位七十五法)이라든지 오위백법(五位百法)으로 정리된 것. 문자에 따라 말로 표현되는 의미. 마음의 작용. 실체. (대승의 실체란, 일체 중생이 안에 갖추고 있는 마음이 다름아님.) 법신(法身). 삼신(三身)중의 법신(法身). 주어에 대한 술어. 중국의 인명(因明)에서는 의()·후진(後陣)·차별(差別)·능별(能別)에 해당함. 일본에서는 밀교(密敎)에서 행하는 기도, 수법. *. (해석예) 사물의 궤칙(軌則)으로 되므로이라 함. 법규. 평범. ()로 본보기가 되는 것. 법규. 성과. 노래도 춤도 법의 소리.

 

전오식(前五識,2260)-뉴사전 : 유식종(唯識宗)에서 우리의 대경(對境)을 인식하는 마음 작용을 여덟으로 나눈 가운데서, 앞의 5(). 곧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을 이름.오식(五識)

 

사상(思想,1084)-뉴사전 : 마음으로 생각하는 것. <人本欲生經 338> 사의 상이라는 뜻으로, ()은 상()을 의미함. 표상작용을 말하는 것으로, (; , samjna)의 다른 번역.() , sanna <人本欲生經> 생각을 일으키는 것. 생각하며 고뇌하는 것.사사상(四思想)무유사상(無有思想) <無量壽經 12274> .....(,1246)-뉴사전 : 감수한 것을 상징하는 것. 표상(表象). 상념. 관념. 개념. , samjna의 한역. , jna(알다)라는 어근에 산, sam(종합하여)라는 접두어를 첨가하여 만들어진 말. 색채와 길이와 생멸과 고락 등에 관해 마음속에 생각되어 떠오르는 작용을 가리킨다. 대상의 모습을 마음에 잡는 표상작용. 취상(取象)의 의미라고 해석된다. 대상의 모습을 잡는 것. 오온(五蘊)의 하나. 소승 아비달마에서는 십대지법(十大地法)의 하나. 유식설에서는 오편행(五遍行)의 하나. 또 생각.오온대지법 (해석예) (, samjna , hdu ses)는 취상(형상의 파악)을 체()로 이룬다. <俱舍論 111> ()의 심소라 함은 특히 사물의 형태를 알아 그 물건들의 이름을 설명하는 마음이다. <唯識大意 本 11>

 

주관(主觀,2064)-국어사전 : () 외계 및 그 밖의 객체를 의식하는 자아.객관(客觀) 자기대로의 생각.

 

육내처(六內處,1970)-뉴사전 : 육입(六入)·육처(六處)라고도 함. 또 육내입처(六內入處)라고도 함. 6종의 지각(知覺)의 장().구사론에 의하면 처(), ()·심소(心所)의 대상이 되어 심()·심소(心所)를 생장(生長)시키는 뜻이라고 함. 안내처(眼內處)·이내처(耳內處)·비내처(鼻內處)·설내처(舌內處)·신내처(身內處)·의내처(意內處)6종을 말함. <集異門論 1526429> <俱舍論 34, 104, 3012·13>

 

객관(客觀,92)-국어사전 : () 주관 작용의 객체가 되는 것. 주관. 정신적·육체적 자아에 대한 공간적 외계. 자기 의식에서 벗어나 제삼자의 입장에서 사물을 보는 일. 인식 주관에 대한 의식 내용.

 

육외처(六外處,1983)-뉴사전 : 외육입(外六入)·외육처(外六處)라고도 함. ()라는 것은 심()과 심작용(心作用 : 心所)의 대상으로서 그것들을 생장(生長)시키는 것. 나 자신외에 있는 것. , 색외처(色外處)·성외처(聲外處)·향외처(香外處)·미외처(味外處)·촉외처(觸外處)·법외처(法外處)의 여섯가지를 말함.육경(六境) <集異門論 1526429> <俱舍論 104 >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 :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낼지니라.

 

출전 : 불교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육경(六境)'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향(香,2772)-뉴사전  (0) 2020.08.08
성(聲,1349)-뉴사전  (0) 2020.08.07
육경(六境)과 出要(증일아함경-695-139)  (0) 2018.04.18
외진(外塵)  (0) 2018.04.01
허망법(虛妄法)   (0) 2018.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