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경(六境)

외진(外塵)

근와(槿瓦) 2018. 4. 1. 02:40

외진(外塵)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 · · · · 六境은 마음 밖의 객관이며, 마음을 번거롭게 하는 티끌이 됨을 뜻하여(또는 을 미세한 물질의 뜻으로도 봄) 外塵이라 한 것.

 

참고

육경(六境) : 五官 또는 그 기능을 五根이라고 하고, 五根意根(마음, 十二處에서는 意處라고 한다)을 더하여 六根이라 하며, 六根對境六境이라고 한다. 眼根 · 耳根 · 鼻根 · 舌根 · 身根 · 意根의 각기 色境 ·  聲境 · 香境 · 味境 · 觸境 · 法境6 이다. 六境六塵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티끌과 같이 마음을 더럽히기 때문이다. 俱舍論 에 의하면,

色境에는, · · · · · · · · · · · 十二顯色 , · · · ·  · · · 不正八形色 이 있다.

聲境에는, 生物의 몸에서 내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어, 그 각각에 事物를 표시하는 의미가 있는 言語拍手 · 哭聲 · 管絃· 雷鳴 등의 言語가 아닌 소리가 있다. 이들의 각기에 한 소리와 불쾌한 소리를 나누어서 8종으로 한다.

香境에는, 沈香과 같은 好香· 와 같은 惡香이 있어, 그 각각에 알맞은 좋은 향기와, 지나치게 강렬한 등의 4종으로 나눈다.

味境에는, · · · · · 6종이 있고,

觸境에는, · · · 四大· · · · · · 을 더하여 11종이 된다.

法境은 널리 이야기하면 일체법을 포함하고, 좁게 말하면 五境한 남은 모든 것을 포함한다. 意根 ·  意識六境의 전체에 향해 작용하는데, 특히 意根 · 意識만이 향하여 작용하는 대상을 法境이라 하고, 十二處중에서는 이것을 法處라고 한다. 有部에서는 無表色 · 心所 · 不相應行 · 無爲를 포함한다고 한다.

 

() : 8종의 形色과 함께 眼根의 대상이 된다.  · · · 混色으로 바람이 細土를 날려서 나부끼는 먼지를 말한다. 또 여기에 7極微(分子 · 原子)集合微塵이라 하고 다시 그 7배씩을 順次金塵 · 水塵 · 兎毛塵 · 羊毛塵 · 牛毛塵 · 隙遊塵이라 한다. 이 경우는 은 미세한 물질의 뜻. 이 항상 浮動하여 다른 것에 附著하여 그것을 오염시키므로 이것을 煩惱 또는 俗世間에 비유해 塵垢 · 塵勞 · 客塵, 또는 俗塵 · 塵世라 한다.

新譯에는 또는 境界라 한다. 六根(感官에 따라서 感覺되어 일어나는 對象 · 對境으로 · · ·  · · 六種이며, 이것을 六境 · 六塵이라고도 한다. (主觀)에 속하는 六根에 대하여 (客觀)에 속하는 것으로 外塵이라고도 한다. · · · 을 특히 四塵이라 한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육경(六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경(六境,1966)-뉴사전  (0) 2020.05.13
육경(六境)과 出要(증일아함경-695-139)  (0) 2018.04.18
허망법(虛妄法)   (0) 2018.01.26
방빙의종(傍憑義宗)  (0) 2017.12.20
육적(六賊)   (0) 2017.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