ㄹ~ㅁ(리을~미음)

미륵불교(彌勒佛敎)

근와(槿瓦) 2019. 1. 11. 00:21

미륵불교(彌勒佛敎)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미륵신앙을 말한다. 甑山 姜一淳을 교조로 하는 吽哆敎(우치교) 계통의 종교의 하나.

 

참고

미륵신앙(彌勒信仰) : 미륵 부처님의 출현과, 도솔천으로의 왕생으로 전개되는 불교신앙의 한 형태. 이 미륵신앙의 역사는 인도에서 비롯되었는데 그 시기는 B.C. 2세기 또는 1세기로 추정된다. 그 후 계속하여 이 신앙이 인도나 西域에서 성행하였는데 玄奘(620~664)大唐西域記에도 절에 미륵상이 안치되어 있다고 적혀 있다. 미륵신앙은 彌勒三部經에 의거하여 비롯된 신앙이다. 이 경전 가운데 미륵불이 앞으로 이 세상에 내려온다는 줄거리로 구성된 경전을 통칭 下生經이라 하고 도솔천에 왕생한다는 줄거리로 이루어진 경전을 上生經이라고 일컫는다. 그런데, 하생경 특히 彌勒下生成佛經이나 彌勒大成佛經에 의하면 먼 장래에 미륵불이 출현할 것이며 그때 이 세상은 樂土로 변할 것이고, 사람의 수명은 8만여 세나 된다. 미륵불은 부처님이 미처 제도하지 못한 중생들을 3회에 걸친 용화법회로써 모두 제도할 것이라고 하여 미래의 일에 대한 유토피아적 理想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생경인 觀彌勒菩薩上生兜率天經에서는 석가모니의 제자인 미륵이 도솔천이라는 이상적인 세계에 왕생할 것이고, 信者들도 역시 도솔천에 태어날 것이라 하여 왕생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근거로 하여 信行을 닦아 나가고 그 공덕으로 미륵불을 만나고 또 미륵의 이상세계에 나아가 왕생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 미륵 신앙의 내용이다. 중국에서는 대체로 4세기부터 미륵신앙이 성행하기 시작하여 5~6세기 南北朝時代를 거쳐 에 이르렀고 특히 유식 법상종의 대가인 현장이 兜率上生의 신앙을 고취함에 이르러 미륵신앙은 갑자기 그 제자들 사이에 널리 전파되었고 이에 따라 미륵상을 조성하는 예도 빈번해졌다. 그의 제자 窺基(632~682)는 미륵상을 만들고 매일 그 앞에서 보살계를 외웠다고 한다. 이러한 사실 때문에 미륵신앙을 법상종 宗徒들의 고유한 신앙처럼 생각하는 경향이 생겼고, 이러한 관습은 우리나라에까지 미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의 미륵신앙은 불교가 들어온 초기부터 중국의 영향으로 도입되었다고 한다. 삼국유사에 특히 신라 때에 성행한 사례들이 많이 전해지고 있는데, 고려조에 넘어오면서부터 禪宗이 크게 세력을 떨치자 점차 쇠미해졌는데, 敎學에 어두운 일반 민중들 사이에 그 명맥이 전해져서 자칭 미륵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가 궁예였다.

 

미륵(彌勒) : 범어 Maitreya. 대승보살. 梅呾麗耶 · 昧怛隸野 · 彌帝隸 · 梅低梨 · 迷諦隸 · 梅恒麗 · 每怛哩 · 梅怛麗藥이라고도 한다. 미륵은 보살의 이다. 慈氏로 번역하며, 이름은 阿逸多(범어 Ajita)無勝 · 莫勝이라 번역함. 혹은 이름은 아일다 성은 미륵이라고도 한다. 인도 바라내국의 바라문집에 태어나 석존의 교화를 받고,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를 받아 석존보다 먼저 입멸하여 도솔천에 올라가 하늘에서 천인들을 敎化하고, 석존 입멸후 567천 만년을 지나면 다시 사바세계에 출현한다 한다. 그때 華林園 안의 龍華樹 아래서 성도하여, 3회의 설법으로서 석존의 교화에서 빠진 모든 중생을 제도한다고 한다. 석존의 업적을 돕는다는 뜻으로 補處의 미륵이라 하며, 賢劫 천불의 제5. 法會龍華三會라 한다.

 

증산교(甑山敎) : 증산 강일순(姜一淳)을 교조로 하는 종교. 한국 신종교 가운데 대표적인 것 중의 하나로 유(), (), (), 단군 사상 등 전통 종교의 유산을 거의 모두 간직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출처(다음,한국어)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 :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낼지니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ㄹ~ㅁ(리을~미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념즉보리(妄念即菩提)  (0) 2019.02.14
무소득중도(無所得中道)  (0) 2019.02.01
무소유처지(無所有處地)  (0) 2018.11.26
마야설(摩耶說)  (0) 2018.10.21
모상(摸象)  (0) 2018.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