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조(寂照)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진리의 體를 寂이라 하고, 眞智의 用을 照라 함. 楞嚴經 6에 「淨이 極하면 光明이 통달하고 寂照는 허공을 포함한다」하였음.
참고
진리(眞理) : 참된 이치. 참된 도리. 佛法을 말함. 만인에게 보편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인식의 내용.
불법(佛法) : ① 부처가 說하신 敎를 佛法이라고 한다. 成實論卷一에는 여섯 가지 동의어를 들고 있다. 이것을 佛法六名이라고 한다. 곧 (1) 善說(있는대로 說하기 때문). (2) 現報(現世에 있어서 果報를 얻게 하기 때문에) (3) 無時(吉凶이 때를 가리지 않고 따라오기 때문에) (4) 能將(正行으로써 중생을 잘 이끌어서 깨달음에 이르게 하기 때문에) (5) 來嘗(자신이 깨달아야 하기 때문에) (6) 智者自知(지혜있는 사람은 스스로 잘 信解하기 때문에)
② 부처가 중생을 가르쳐 인도하는 敎法. 곧 出世間의 법을 불법이라고 하는데, 국왕이 백성을 통치하기 위하여 만든 국법을 王法이라 한다. 眞宗에서는 王法爲本 · 仁義爲先이라고 해서, 일상생활에 있어서는 국법을 준수하고 윤리도덕을 실천해야 한다고 한다.
③ 불타가 얻은 법(곧 緣起의 道理와 法界의 진리 등). 부처가 알고 있는 법(곧 一切法). 불타가 갖추고 계신 여러 가지 功德(十八不共法)을 불법이라 하는 수도 있다.
체(體) : ① 범어 dhatu의 번역으로 䭾都라 음역하며 體·界·性으로 번역한다. 一定不變하는 사물의 근본으로 차별과 支分 곧 現象界의 所依·本體를 일컫는다. ② 體信·體達·體會의 뜻이 있다. 곧 體는 통달의 뜻. 곧 이치를 통달함을 가리키는 뜻으로도 쓰인다.
적(寂) : 열반의 다른 이름.
진지(眞智) : 三智의 하나. ① 진리를 깨달은 지혜. 開悟한 지혜. ② 無差別 평등의 절대 智를 觀照하는 지혜.
용(用) : 作用의 약. 力用이라고도 한다. 물건에 갖추어진 기능을 말함. 無爲法에는 작용은 없고 또 有爲法에서도 현재법에서만이 작용이 있고, 과거·미래의 法에는 작용은 없다.
능엄경(楞嚴經) : 이 경의 이름은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인데 줄여서 大佛頂首楞嚴經·大佛頂經·首楞嚴經·楞嚴經 등으로 약칭하며 일명 中印度那蘭陀大度藏經이라고도 한다. 이 경은 관정부(밀교)에 수록되어 인도의 나란타사에 비장하고 불멸 후로부터 인도에만 유통하고 타국에는 전하지 못하도록 왕으로부터 엄명이 있어 당나라 이전까지에는 중국에 전래되지 못하였다고 한다. 이 경 전체에 걸친 주안점은 攝心에 의하여 보리심을 了得하고 진정한 묘심을 체득하는 것에 있다. 그런데 진정한 묘심이란 禪家에서 體證·悟入하려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禪家의 요문에 밀교사상이 가미된 것이 이 경이라고 하겠다. 이 경은 이와 같이 선과의 관계가 깊기 때문에 우리나라 불교계에서 존중되는 경전의 하나로 자리를 굳혀 불교전문강원의 교과목 중 금강경·원각경·대승기신론과 함께 사교과의 교과목으로 옛부터 학습되어 왔던 경이다.
① 구성과 내용. 이 경은 모두 1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의 내용은 우선 부처님의 제자인 아난이 마등가여인의 呪力에 의해 魔道에 떨어지려고 하는 것을 부처님의 신통력으로 구해낸 후, 선정의 힘과 白傘蓋陀羅尼의 공덕력을 찬양하고 백산개다라니에 의해 모든 마장을 물리치고 선정에 전념하여 여래의 진실한 지견을 얻어 생사의 迷界를 벗어나는 것이 최후의 목적임을 밝힌 것이다. 그리하여 이 경은 밀교사상이 가미되긴 하였지만 선정이 역설되고 있기 때문에 밀교쪽보다는 禪家에게 환영을 받아 중국 이래의 주석가들은 대부분 선문의 승려들이었던 것이다.
② 이 경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당나라 이전까지는 중국에 전래되지 못하다가 중종 신용 원년(705) 중인도의 승려 般刺密帝에 의해 전래되고, 그에 의해 한역되었다. 이 경에 관한 중국의 주석서는 주로 송나라 이후의 것인데 대표적인 몇가지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仁岳(1059)의 楞嚴經集解 10권. (2) 戒還(1127)의 楞嚴經要解 20권. (3) 咸輝(1172)의 義海 30권. 우리나라에 있어서의 주석서는 (1) 고려 普幻의 楞嚴經新科 2권 및 首楞嚴經還解刪補記 2권으로 모두 현존한다. (2) 조선 유일의 楞嚴經私記 1권. (3) 조선 義沾의 楞嚴經私記 1권. 이중에서 普幻의 首楞嚴環解刪補記는 송나라 戒還의 楞嚴經私記 1권.楞嚴經要解의 잘못된 곳을 고쳐 刪補한 것이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 :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낼지니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향(定香) (0) | 2018.12.15 |
---|---|
조희(調戱)-(장아함경-345-69) (0) | 2018.12.12 |
주실(籌室) (0) | 2018.12.04 |
적나라(赤裸裸) (0) | 2018.11.19 |
허공운해명문(虛空雲海明門) (0) | 2018.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