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계구지(三界九地)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욕계·색계·무색계의 3계를 다시 9지로 나눔. 五趣雜居地·離生喜樂地·定性喜樂地·離喜妙樂地·捨念淸淨地·空無邊處地·識無邊處地·無所有處地·非想非非想處地.
참고
욕계(欲界) : 일종의 有情의 生存의 상태. 또 그 有情이 사는 세계를 말한다. 欲界·色界·無色界의 三界로 나누는 중의 하나. 地獄·餓鬼·畜生·阿修羅·人間·六欲天을 합친 것의 이름. 이 세계의 有情에는 食欲·婬欲·睡眠欲의 三欲이 있기 때문에, 이것을 欲界라고 한다. 欲界라고 하는 명칭은 有情世間(거기에 사는 有情)과 器世間(山河大地등)을 포함한다. 色界와 無色界가 定心(禪定三昧에 들어가서 散動하지 않는 마음)地인데 대해서, 散心(散動하는 通常의 마음)地이므로 欲界散地라 하고, 三界를 九地로 나누는 경우 欲界五趣地라고 하여, 欲界의 전체를 최초의 一地로 한다.
색계(色界) : 色天 · 色行天이라고도 한다. 欲界 · 無色界와 함께 三界의 하나이다. 淨妙한 물질로 이루어진 세계로 四禪(四靜慮)을 닦은 사람이 死後에 태어나는 天界, 또 이와 같은 有情의 생존을 말한다. 欲界 위에 있으며 果報의 優劣에 따라 四禪天으로 크게 나누며 더욱 자세히는 모두 17天(혹은 16天 · 18天)으로 나눈다.
무색계(無色界) : 無色天 · 無色行天이라고도 한다. 欲界 · 色界와 합하여 三界의 하나. 곧 물질을 초월한 세계로 물질적 비중이 큰 것(色想)을 厭離하여 四無色定을 닦은 이가 死後에 태어나는 天界. 또 그와 같은 有情의 생존을 말한다. 물질이 없으므로 場處(空間)를 갖지 않기 때문에 공간적인 高下의 차별은 없지만 果報의 勝劣에 따라 4계급으로 나눈다. 곧 닦은 四無色定에 따라 이것을 空無邊處 · 識無邊處 · 無所有處 · 非想非非想處의 四無色界로 나누고 三界를 九地로 나눌 때는 후반의 넷을 四地라 한다. 그러므로「空無邊處地」라 하여「地」자를 덧붙여서 부르기도 하고, 또 天界에 속하므로「空無邊處天」이라 하여「天」자를 첨가하여 부르기도 하며, 그 가운데 非想非非想處天은 世界(有情의 生存)의 最高位라 하여 有頂 · 有頂天이라고도 한다. 無色界의 有情들은 男根은 없으나 모두 남자이며 그 壽命은 차례로 2 · 4 · 6 · 8萬 劫을 산다고 한다. 또 分別論者는 無色界에도 細色이 있다고 주장한다.
구지(九地) : ① 有情(중생)이 머무는 세계를 欲界·色界·無色界의 3계급으로 분류하는 가운데 色界·無色界를 그 禪定三昧의 깊고 낮은 진전과정에 따라 四禪天·四無色天으로 나누고, 欲界와 합하여 九種의 有情의 所住地를 세워 九地 혹은 九有(九種의 生存)라 했다. 즉,
(1) 欲界五趣地는 지옥·鬼(餓鬼)·축생·人·天(六欲天)이 섞여 있는 곳이므로 五趣雜居地, 雜住界라고도 하고 欲界라고도 한다.
(2) 離生喜樂地는 欲界의 惡을 여의므로 생기는 喜樂을 얻는 境地로 色界初禪天에 해당하며,
(3) 定生喜樂地는 定으로부터 생기는 뛰어난 喜樂을 얻는 경지로 色界 第二禪天에 해당되며,
(4) 離喜妙樂地는 前地에서 얻은 喜를 여의고 전신에 넘치는 樂을 즐기는 경지로 色界 第三禪天에 해당하며,
(5) 捨念淸淨地는 前前地의 喜와 前地의 樂을 버리고 마음이 안정평등(곧 捨)하고 自覺的인(곧 念) 淸淨을 얻는 경지이니, 色界 第四禪天에 해당한다.
(6) 空無邊處地는 色界의 물질성을 여의고 허공의 無邊自在性을 증득한 경지로 無色界 第一天에 해당하며,
(7) 識無邊處地는 識의 無限闊達性을 얻는 경지로 無色界 第二天에 해당하며,
(8) 無所有處地는 前二地의 動性을 여의고「아무 것도 없다」는 寂靜想에 沈潛하는 경지로 無色界 第三天에 해당하며,
(9) 非想非非想處地는 有想과 無想을 모두 다 여의고 有無에 치우치지 않는 평등안정한 경지로 無色界 第四天 즉 有頂天에 해당한다.
② 또 四禪 가운데 未至定과 中間定과 四根本定 및 四無色定 가운데 下三無色定(즉 非想非非想處定을 제외한 것)의 九定은 원래부터 有漏定이지만, 無漏定을 일으키기 위한 강력한 지주가 되므로, 이러한 의미에서 無漏의 九地라 일컫는다.
오취잡거지(五趣雜居地) : 九地의 하나로 欲界를 가리킨다. 天·人·餓鬼·畜生·地獄, 이 五趣는 각각 果報가 다르지만 모두 이 世間에 잡거하고 있으므로 五趣雜居地라 한다.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 : 三界九地의 하나. 곧 色界의 初禪天. 欲界의 악을 여의고 喜·樂의 二受를 받는 곳이므로 이렇게 이름.
정성희락지(定性喜樂地) : 色界의 第二禪天. 三界九地 가운데 하나. 이곳 하늘의 중생은 뛰어나게 기묘한 禪定에 머물며 禪定으로부터 心識의 기뻐하고 즐거워함이 생기므로 定性喜樂地라고 말한다.
이희묘락지(離喜妙樂地) : 三界九地의 하나. 色界의 三禪天을 말함. 이 하늘은 三禪天의 喜가 성하던 것을 여의고, 마음을 거두어 勝妙의 樂受에 머무는 경계이므로 이와 같이 부른다.
사념청정지(捨念淸淨地) : 三界九地의 하나. 第四禪天. → 위 九地에서 참조 바랍니다.
공무변처지(空無邊處地) : 三界九地의 하나가 되기 때문에 地라고 한다. → 위 九地에서 참조 바랍니다.
식무변처지(識無邊處地) : 9地의 하나이며 無色界의 제2天. 識知天·識處天이라고도 함. 無色界의 제1天인 空無邊處地를 초월하여 識이 무한대함을 思惟함으로 얻는 寂靜한 果報.
무소유처지(無所有處地) : 三界九地의 하나. 아무것도 없다는 寂靜想의 三昧에 沈潛하는 無色界의 4處 중의 제3. 無色界의 禪定중 제3位에 해당.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관찰하는 것.
비상비비상처지(非想非非想處地) : 위 九地에서 따옴. →非想非非想處地는 有想과 無想을 모두 다 여의고 有無에 치우치지 않는 평등안정한 경지로 無色界 第四天 즉 有頂天에 해당한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성불생불멸(心性不生不滅) (0) | 2018.11.13 |
---|---|
음계근(陰界根) (0) | 2018.11.07 |
유공법(有空法) (0) | 2018.10.31 |
성중래영원(聖衆來迎願) (0) | 2018.10.28 |
사생백겁(四生百劫) (0) | 2018.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