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성심(至誠心)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지(至)란 眞, 誠이란 實을 말함. 성실한 마음. 진실한 마음. 진정한 마음. 거짓이 없는 마음. 진정 왕생을 바라는 마음. 부처님을 예배하고, 찬탄칭양(讚歎稱揚)하며, 전념관찰(專念觀察)하는 진정한 마음. 三心의 하나.
참고
진(眞) : ① 眞實. 假 · 俗 · 僞 등의 對語. 眞實은 究極的인 대상이 되는데 대해 假는 方便的인 것. 일시적인 것이란 의미를 가지며, 眞假는 權實과 동일한 뜻으로 쓰인다. 俗은 眞을 덮었다는 뜻이 있고 僞는 虛妄한 것으로 眞같으면서 眞으로부터 아주 동떨어진 것을 뜻한다.
② 또 眞影(高僧大德의 木像·畵像) · 眞像의 뜻으로 쓴다.
실(實) : 권(權)→權은 權謀 · 權宜의 뜻이니 일시적 임시변통의 수단으로서 만든 것을 말하며, 실제로는 眞實不磨의 뜻이며, 영구히 변함이 없는 궁극적인 참된 것을 말한다. 權은 善權 · 權方便 · 善權方便 · 假 · 權假라고도 말하며, 實은 眞 · 眞實이라고도 한다. 합하여 權實 · 眞假 등으로 말하고, 대칭적으로는 權敎 · 實敎 · 權智 · 實智 · 權人 · 實人 등의 對語로서 사용한다. 實敎는 스스로의 깨달은 그대로를 터놓은 궁극적인 根本敎를 말하며, 權敎는 타인을 實敎로 이끌기 위한 수단으로 베풀지만 일단 實敎에 이르러서는 廢해 없애는 敎를 말한다. 實智는 眞實智 · 如實智라고도 칭하며, 참과 같이 사물을 분명히 아는 智를 말하고, 權智는 方便智라고도 칭하여, 남을 이끌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으키는 智를 말한다. 實人은 실재하는 사람을 가리키고, 權人은 權化(모양을 변하여 다른 것으로 나타남)의 사람이라고도 말하고 佛 · 菩薩 등이 남을 이끌기 위해 임시로 人 · 天의 모습을 나타낸 것을 말한다.
① 천태종에서는 법화경에서 說하는 圓敎를 實敎, 여타의 諸經의 敎說 즉 藏 · 通 · 別의 三敎를 權敎라 하며 이것을 三權一實이라고 말한다. 그 관계를 蓮華의 三喩로 나타내어 爲實施權 · 開權顯實 · 廢權立實(施開廢라 함)이라 하고, 법화경에 있어서 비로소 權의 權인 소이가 밝혀져서 眞實이 나타난다고 한다. 權敎와 實敎란, 불의 깨달음 그 자체로서 말하면 二敎는 평등하다고 해서, 이것을 權實同體라고 말하고, 부처님께서 중생을 교화시키는 기능면에서 보면 權敎와 實敎는 그 수행도 깨닫는 바가 다르다고 하여 이것을 權實異體라고 한다.
② 法華文句 卷三에는 모든 존재의 본연의 자세를 一切法皆權 · 一切法皆實 · 一切法亦權亦實 · 一切法非權非實의 權實四句에 의해 나타내고, 法華玄義 卷七의 十不二門에서는 權實不二門을 주장하여 敎化의 대상인 사람의 편에서 말하면 보살 내지 지옥의 九界를 權, 佛界를 實(九權一實), 敎의 편에서 보면, 三權一實로서 그러나 또한 이들 權實이 융합하여 차별없는 것을 觀한다고 했다.
③ 法華文句 卷八에는 열가지 상대적인 權實을 나타내어 十雙權實이라고 한다. 十雙이란 事理 내지 悉檀의 열가지이니, (1) 중생에게 본래 갖추어져 있는 근원적인 眞如無相平等의 理(實)로부터 心意識등의 차별의 諸現象인 事(權)가 생기고, (2) 그 事理를 종합한 것으로서 언어에 나타나 있는 理(實)에 의하여 그 理를 나타내는 敎(權)를 세워서, (3) 그 敎(實)에 의하여 실천하는 行(權)이 있고, (4) 行에 의해 迷로부터 벗어나는 脫(實)과 迷에 얽히는 縛(權)으로 나누어지며, (5) 眞理를 순종하여 해탈하므로 깨달을 수 있는 因(權)과 깨달음의 果(實)가 있다. (6) 그 果에 따라서 마침내는 眞如의 본체(實) 및 진여의 기능으로서의 중생교화의 用(權)이 나타난다. (7) 敎化의 기능 작용에는 순차로 중생을 인도하는 漸(權)과 그 자리에서 대번에 깨닫게 하는 頓이 있다. (8) 漸은 頓으로부터 나온(開出) 차별적인 설법방법으로서의 敎이지만(權), 마침내는 頓에 合一하는(實)것이다. (9) 이 開合의 차이에 따라서 이익에 일반적인 경우(權)와 특별한 경우(實)가 있다. (10) 이와 같이 이익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四悉檀이 나뉘어지는 것으로서 世間門인 前三을 權, 出世間門인 後一을 實이라 한다. 이 十雙이 藏 · 通 · 別 · 圓의 四敎에 각각 있으므로 四十種의 權實이 된다. 또 이것을 요약하여 自行 · 化他 · 自他의 세가지 權實이라고 한다. 自行權實은 스스로 깨닫는 그것(自證)에 權實이 있는 것이며, 化他權實이란 다른 사람을 인도해 나가는데 權實이 있음을 말한다. 自他權實은 自證과 化道의 法을 並用하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왕생(往生) : 목숨이 다하여 다른 세계에 가서 태어나는 것. 極樂往生 · 十方往生 · 兜率往生 등이 있다. 往生을 원하는 것을 願生(願往生)이라고 한다.
① 極樂往生은 無量壽經 등의 說에 의거하여 아미타불의 淨土에 태어나는 것을 말한다. 淨土敎는 이것을 목적으로 하는 敎이고, 다른 대승불교에서도 깨달음을 열기 위한 수단으로서 說한다. 眞宗등에서는 往生即成佛의 說을 세운다. 往生의 방법에는, 念佛往生(불타의 이름을 부름으로 인하여 왕생함) · 諸行往生(염불이외의 착한 행위를 해서 왕생함) · 助念佛往生(염불의 도움으로 하여 諸行을 닦아서 왕생함)등이 있고, 또 聞名往生(부처의 이름을 듣고 믿어 왕생함)이라고 하는 것도 있다. 또 即往生[불타께서 주신 信心에 의해서 報土에 태어나는(化生) · 便往生(자기의 힘을 의지해서 化土에 태어나는 것(胎生))의 二往生說, 혹은 即往生을 難思議往生(第十八願 他力念佛往生) · 便往生을 難思往生(第二十願 自力念佛往生) · 雙樹林下往生(第十九願 諸行往生)이라고 하는 三往生說이 있다. 또 眞宗에서는 信心을 얻은 때에 왕생할 수 있는 것이 定해지는(往生一定) 것을 前念命終 後念即生이라고 하고, 即得往生이라고 한다. 또 이것을 不體失往生(더러운 몸 그대로 平生중 어느 때에 왕생이 정해지는 것)이라고 하고, 體失往生(육체가 죽으면 곧 왕생한다)에 상대시킴. 또 한번 죽어 새로 태어났다가 왕생하는 것을 願次往生이라고 한다. (極樂傳記를 往生傳이라 한다).
② 十方往生은 十方隨願往生經 등의 說에 의거하여 아미타불 이외의 諸佛의 淨土에 태어나는 것.
③ 兜率往生은 彌勒上生經등의 설에 의거하여, 미륵보살이 現存하는 兜率天에 태어나, 56억 7천만년 뒤에 세계에 태어나서 깨달음 얻기를 원하는 것으로, 법상종 계통에서 많이 행해졌다.
부처님(佛) : ① 범어 buddha의 音略. 佛陀 · 佛駄 · 浮陀 · 浮屠 · 浮圖 · 浮頭 · 沒駄 · 勃陀 · 馞陀 · 步他 등으로 音譯하고 覺者 · 知者 · 覺이라 번역하며, 眞理를 깨달은 이의 뜻으로 스스로 깨달아(自覺) 다른 사람을 깨닫게 하여(覺他) 깨달음의 기능이 全知全能하게 충만하다는(覺行窮滿) 뜻이 있다. 이 自覺과 覺他와 覺行窮滿의 관계는 凡夫에 있어서는 三자가, 二乘에 있어서는 뒤의 둘이, 보살에 있어서는 최후의 하나가 모자라는 것으로, 이런 점에서 佛의 우월성을 나타낸 것이다. 또 불타의 깨달음의 내용에 대해서는 모든 경론에 여러 가지로 설해 있고, 佛身 佛土 등에 대해서도 各宗의 異說이 있는데 대체로 대승에서는 佛果에 이르는 것을 궁극의 목적으로 한다.
② 불타의 덕을 찬송하는데 갖가지 佛號를 세운다. 곧 여래의 十號를 비롯하여, 一切知者 · 一切見者 · 知道者 · 開道者 · 說道者라든가, 世尊 · 世雄(世間에 있어서 一切의 번뇌를 끊는데 雄猛, 雄健한 者) · 世眼(세간의 눈이 되어 이것을 인도하는 者) · 世英(세상에 훌륭하여 뛰어난 자) · 天尊(五天 가운데 가장 훌륭한 第一義天)이라든가, 大覺世尊(略하여 大覺尊) · 覺王(覺皇) · 法王 · 大尊師 · 大聖人 · 大沙門 · 大仙(大僊 仙人 중의 가장 높은 仙人) · 大醫王(병에 따라 신묘하게 약을 주는 명의와 같이 마음의 法을 자유자재로 설하는 자) · 佛天(五天 가운데 가장 뛰어난 第一義天) · 佛日(불타를 태양에 비유한 말) · 兩足尊 · 二足尊 · 兩足仙 · 二足仙(이 네 가지 이름은 두 다리를 가진 生類 중에서 가장 높은 이란 뜻. 또 二足이라 함은 願과 行을, 혹은 福과 慧를 갖추었다는 뜻) · 天中天(諸天중의 最勝者) · 人中牛王(불타를 牛王에 비유한 말) · 人雄獅子(人中의 雄者여서 마치 獸類中의 獅子와 같은 것) 등이다. 또 부처를 能化人 곧 가리키는 이, 인도하는 이란 뜻으로 能人이라고 부르고, 그래서 아미타불을 安樂能人(安樂世界의 能人이란 뜻)이라고도 한다. 일설에 能人이라 함은 能仁으로, 能仁은 釋迦의 번역이니 釋迦佛의 이름을 빌어서 佛 일반을 나타낸 것이라고도 한다. 불타의 특유하고 뛰어난 덕으로 하여 그 몸에는 三十二相 · 八十種好를 구족하고, 또 十力 · 四無所畏와 十八不共法 등의 뛰어난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 또 불타의 초월성을 七항으로 묶어서 七勝事 · 七種最勝 · 七種無上 등으로 부른다. 곧 身勝 · 如法住勝 · 智勝 · 具足勝 · 行處勝 · 不可思議勝 · 解脫勝의 일곱 가지 이름이 그것이다. 불타의 定과 智와 悲는 공히 가장 뛰어나기 때문에 大定 · 大智 · 大悲라고 하여 斷德 · 智德 · 恩德의 三德에 배속하고 합해서 大定智悲라고 한다.
③ 過去世에 나타나신 佛(過去七佛 · 燃燈佛 등)을 過去佛 또는 古佛이라고 하고 미래에 사바세계에 나타나는 불타(彌勒佛 등)를 後佛, 또는 當來佛이라고 한다. 최초의 佛이라 하면 역사상의 불타는 釋尊뿐이었다고 하게 된다. 그러나 얼마 안가서 過去七佛(釋尊은 그 일곱번 째)의 사상이 생기고 좀 늦게 未來佛로써 彌勒佛을 생각하게 되어, 현재는 釋尊과 미륵불과의 두 부처의 중간에 無佛의 세상이라고도 한다. 곧 小乘에서는 現在世에 있어서 二佛이 같이 존재할 수 없다고 한다. 그런데 大乘에 오면 그 세계관은 확대되어 자못 크고 넓게 되고 동방의 阿閦佛이나 西方의 아미타불과 같이 현재 他方세계에 無數(恒河의 모래의 수만큼)한 佛이 동시에 존재한다고 하여, 十方恒沙의 諸佛이라고 일컫게까지 되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말하면 小乘은 一佛說이고, 大乘은 多佛說인데, 小乘중에도 大衆部 같은데서는 다른 三千大千世界에 동시에 다른 一佛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하며, 一界一佛 · 多界多佛說을 취하고, 有部 등은 多界一佛說을 취한다. 이 경우「界」라 함은 三千大千世界를 말한다. 또 三世의 모든 부처에 대해서 과거의 莊嚴劫에 千佛, 현재의 賢劫에 千佛, 미래의 星宿劫에 千佛, 합하여 三劫에 三千佛이 있다고 하며, 그 佛名은 三劫三千佛名經에 나와 있다. 佛名會는 이 經의 說에 의한 法會이다.
④ 내세에 成佛하기 위한 信佛 등의 인연을 佛因 · 佛緣, 또 佛道에 들어가기 위한 인연을 佛緣(예컨대 佛緣을 맺는 것 등), 佛恩에 보답하는 것을 佛恩報謝라고 한다.
예배(禮拜) : 공경하는 뜻을 신체적 동작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가지가지의 방법이 있다. 法苑珠林 卷二十에는, 부처님께 예배하는데 일곱가지가 있다고 한다(七種禮佛). 곧 我慢憍心禮·唱和求名禮(명예 등을 구하기 위하여 한다)·身心恭敬禮·發智淸淨禮·徧入法界禮(부처도 중생의 마음도 모든 것이 상통하고 있는 法界의 이치에 통달하여 一佛을 禮할 때 諸佛에 통하는 禮拜)·正觀修誠禮(불타께 절하는 것으로 인하여 자기에게 있는 佛性에 절하는 禮拜)·實相平等禮(예배하는 대상까지도 空한 自他不二의 禮拜)이다. 世親의 淨土論에는 五念門의 하나로 禮拜門, 善導의 觀經疏散善義에는 五正行의 하나로 禮拜正行을 들었다.
오정행(五正行) : 극락정토에 왕생하기 위한 정행의 5가지.(讀誦正行·觀察正行·禮拜正行·稱名正行·讚歎供養正行).
찬탄칭양(讚歎稱揚) : 몹시 칭찬하는 것.
전념관찰(專念觀察) : 오로지 한가지만의 관찰.
삼심(三心) : ① 淨土에 왕생하기 위해 닦아야 하는 3종의 마음.
觀無量壽經에 至誠心 · 深心 · 廻向發願心의 三心을 갖춘 자는 반드시 왕생할 수 있다고 했음을 말한다. 淨土敎이외의 註釋者는 대개 三心을 十住 · 十行 등의 높은 階位에 이른 보살이 일으키는 마음이라고 하지만, 淨土敎에서는 범부가 일으키는 마음으로, 염불을 하는 자가 반드시 갖추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며 起行에 대한 安心이라고 한다.
② 보살이 일으키는 3종의 마음. (1) 起信論에는 十信位의 마지막 初住位의 보살이 일으키는 三心으로서, 直心(眞如를 念하는 마음) · 深心(모든 善行을 몸에 붙이려고 하는 마음) · 大悲心(모든 중생을 구하려고 하는 마음)을 說함. 維摩經 卷上 佛國品에는, 直心 · 深心 · 大乘心을 말한다. (2) 起信論에는 初地 이상의 보살이 發하는 三心으로서 眞心(계교를 넘어선 마음, 곧 根本無分別智의 마음) · 方便心(중생에게 혜택을 주기 위해 베푸는 마음으로, 後得智의 마음) · 業識心(위의 2心에 의해서 지혜가 생겼지만, 아직 미세한 작용을 하는 마음이 남는 것)을 說함.
③ 범부가 없애지 못한 3종의 마음. 起事心 · 依根本心 · 根本心이 그것이니, 각각 佛陀의 化身 · 報身(혹은 應身) · 法身을 방해하는 번뇌로 그것을 여의어야 佛身을 얻는다. <金光明最勝經 卷2 등>
④ 聖者가 없애버리지 않으면 안되는 마음으로 實我에 집착된 假明心, 實法에 집착된 法心, 空에 집착된 空心을 말한다. (成實論 卷 11)
⑤ 入 · 住 · 出의 三心.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생계(衆生界) (0) | 2018.08.14 |
---|---|
장부(丈夫) (0) | 2018.08.14 |
화신(化身) (0) | 2018.08.12 |
현실은 곧 마음(청담큰스님) (0) | 2018.08.11 |
현행훈종자(現行熏種子) (0) | 2018.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