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진근(扶塵根)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浮塵根이라고도 하며 扶根·浮根이라고도 한다.
참고
부진(浮塵) : 일체 有爲의 諸法은 먼지와 같이 實다움이 없고 眞性을 더럽히고 가리우므로 浮塵이라 함.
유위(有爲) : 爲作 · 造作의 뜻으로 有爲法이라고도 한다. 모두 인연의 화합에 의해서 造作되어진 現象的 존재를 말하고, 영구불변의 절대적 存在인 無爲에 相對語.
① 일반적으로 말하면 五蘊이 有爲法인데, 俱舍宗에서는 일체법을 七十五法에 분류하는 가운데 七十二法을, 唯識宗에서는 百法 중에서 九十四法을 有爲法이라고 한다. 대별하면 色法(물질)과 心法(心)과 非色非心法의 3종이 되므로, 이것을 三有爲라고 한다.
② 有爲는 無常하여 항상 轉移하고 변하므로 無常을 有爲轉變이라고도 한다. 有爲法이 無常하다는 論理的 근거는, 生 · 住 · 異 · 滅의 四相에 있으므로 이것을 四有爲相이라고 한다.
③ 俱舍論 권一에는 有爲法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4개의 다른 이름을 들고 있다. (1) 世路라 함은 有爲法이 과거 · 미래 · 현재의 三世를 所依로 함을 나타낸 것으로, 혹 世는 破壞 · 無常의 뜻으로, 無常의 所依가 됨을 나타낸다고도 한다. (2) 言依라 함은, 言語 · 音聲의 所依라는 의미로, 有爲法은 잘 詮表되는 명사에 의해서 詮表되기 때문에 이와 같이 말한다. (3) 有離라 함은, 離는 涅槃의 깨달음으로, 有爲法을 마침내는 捨離하여야 열반에 이르게 되므로 이와 같이 말한다. (4) 有事라 함은, 事는 因의 뜻. 有爲法은 因에서 생긴 것이기 때문이다.
④ 또 有爲法은 因果的 관계에 있어서 성립되는 것으로 반드시 果가 있기 때문에 有果라고도 한다.
제법(諸法) : 여러 가지 법. 萬法과 같음. 우주에 있는 有形 無形의 모든 사물. 諸有. 諸行.
진성(眞性) : ① 사물 현상의 본디의 성질. 眞如. ② 가식이 없는 참된 성질. 天性.
근(根) : ① 힘이 있어 강한 작용을 가진다(이것을 增上이라고 한다)는 뜻. 眼根 · 耳根 · 鼻根 · 舌根 · 身根 · 意根 · 女根 · 男根 · 命根 · 樂根 · 苦根 · 憂根 · 喜根 · 捨根 · 信根 · 勤根 · 念根 · 定根 · 慧根 · 未知當知根 · 已知根 · 具知根을 二十二根이라고 한다. 처음의 眼 · 耳 · 鼻 · 舌 · 身 · 意는 六根이라 일컫는다. 그 중에서 意根(心)을 제하기 前의 五根은 감각기관(五官) 또는 감각기능으로 물질적(色) 요소에 의한 生理體이므로 五色根이라 하며 또 단순히 五根이라 약칭된다. 知覺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뜻으로, 數論派에서는 이것을 知根 · 五知根이라고 한다. 더우기, 수론파에서는 五知根은 五作業根(手 · 足 · 口 · 大便處 · 小便處)과 意根과를 더하여 十一根을 주장한다.
眼 등의 五根은 바로 감각작용을 주관하는 勝義根(신경에 해당하는 내부기관을 절개하여도 눈 등은 보이지 않는다)과 그것을 돕는 扶塵根(眼球 · 鼓膜 등의 외부기관으로 血肉으로 되어 있다)으로 나누어질 수 있지만, 有部에서는 勝義根 만을 五根이라고 한다.
다음에 二十二根 중에, 樂 · 苦 · 喜 · 憂 · 捨의 五根은 外界를 感受한 印象感覺으로 眼 등의 五根과 구별하여 五受根이라고도 한다. 信 · 勤 · 念 · 定 · 慧의 五根은 五力이라고 말한다. 번뇌를 떨어버리고 聖道를 가져오게 하는데 수승한 작용이 있으므로 根이라 한다. 이와같이 眼 등의 五根과 구별하여 五無漏根이라고 말한다. 또 未知當知根 이하의 三根은, 그 體는 어느 것이나 意 · 樂 · 喜 · 捨 · 五無漏根의 九根이지만, 未知當知根은 見道에서, 已知根은 修道에서, 具知根은 無學道에서 각각 일으킨다고 하며, 이 셋을 三無漏根이라고 한다. 男 · 女 · 命根 가운데, 命根이란 壽命을 말한다. 男 · 女根이란 男 · 女 각각 그 性的 특징을 이루는 힘을 가진 것, 특히 性器를 가리킨다. 男에서 女로, 혹은 女에서 男으로 性을 옮기는 것을 轉根이라 하며 또 勝義根과 扶塵根, 女根과 男根을 각각 二根이라 한다.
② 根機, 根性의 뜻으로 가르침을 받는 자로서의 性質 · 資質을 나타낸다. 여기에 優劣이 있어서, 利根과 鈍根의 二根, 上根 · 中根 · 下根, 혹은 利根 · 中根 · 鈍根의 三根으로 나누게 된다. 修道의 힘으로 根을 修練함에 따라 鈍根 · 下根에서 利根 · 上根으로 향하는 것을 練根 · 轉根이라고 하지만 특히 聲聞(下根)에서 緣覺(中根)으로, 혹은 다시 菩薩(上根)로 변하는 경우를 대개 轉根이라고 한다.
부근(扶根) : 浮根이라고도 함. 눈·귀·코 등의 感官. 前五根.
진(塵) : ① 8종의 形色과 함께 眼根의 대상이 된다. 곧 靑·黃·赤·白의 混色으로 바람이 細土를 날려서 나부끼는 먼지를 말한다. 또 여기에 7極微(分子·原子)의 集合을 微塵이라 하고 다시 그 7배씩을 順次로 金塵·水塵·兎毛塵· 羊毛塵·牛毛塵·隙遊塵이라 한다. 이 경우는 塵은 미세한 물질의 뜻. 塵이 항상 浮動하여 다른 것에 附著하여 그것을 오염시키므로 이것을 煩惱 또는 俗世間에 비유해 塵垢·塵勞·客塵, 또는 俗塵·塵世라 한다. ② 新譯에는 境 또는 境界라 한다. 六根(感官과 心에 따라서 感覺되어 일어나는 對象·對境으로 色·聲·香·味·觸·法의 六種이며, 이것을 六境·六塵이라고도 한다. 內(主觀)에 속하는 六根에 대하여 外(客觀)에 속하는 것으로 外塵이라고도 한다. 또 色·香·味·觸을 특히 四塵이라 한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