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인(六因)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sad-hetu의 번역.
① 모든 원인을 여섯 가지로 분류한 것. 菩薩位를 10信 · 10住 · 10行 · 10廻向 · 10地 · 等覺 · 妙覺 등 일곱으로 나누고, 그 가운데서 최후의 妙覺은 究竟원만한 佛果임에 대하여, 앞의 여섯은 佛果에 이르는 수행의 因이므로 六因이라 한다.
② 能生(가까운 미래에 果를 내게 하는 것)의 원인을 여섯으로 나눈 것. 能作因[이 세상의 모든 萬物이 날 적에, 그 자체를 제하고 다른 모든 것들이 能作(因)이 되는 것을 말함] · 俱有因(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함께 있어 自他가 서로 因果관계를 이루어 도와주는 것을 말함) · 同類因(習因이라고도 한다. 因果 관계에서 원인이 그 결과와 同類인 것을 말하는 것으로 예컨대, 결과로 나타나는 善의 원인이 또한 善인 때에나, 惡의 원인이 또한 惡인 때에 그 因을 말함) · 相應因(心王과 心所가 五義平等에 의하여 평등하게 화합하는 것을 뜻함) · 遍行因(遍行은 두루 通行하는 뜻으로 自他一切部類의 惑을 내는 因이 되는 것. 예를 들어, 苦諦의 이치에 迷한 열 가지 惑 가운데 身見·邊見·邪見·見取見·戒禁取見·疑·無明의 7가지 등의 기타 因을 가리킴) · 異熟因[善惡의 二業을 일컬음. 善業은 樂果를, 惡業은 苦果를 感受하게 되는데 이때에 苦樂의 二果는 善도 아니고 惡도 아닌 無記法이므로 이것을 異熟이라 하며, 이 異熟의 因이 된다는 뜻으로 異熟因이라고 함. 예컨대 우리의 육체는 그 자체는 善도 惡도 아니지만 異熟의 果를 내게 하는 因(善惡의 행위)은 곧 善惡의 번뇌이므로 그 因과 그 果의 성질이 달라졌다는 뜻으로 異熟因이라 한다] 등이 있다.
③ 大乘入楞伽經에서는 無始이래의 妄想의 習因을 當有因 · 相續因 · 相因 · 能作因 · 顯了因 · 觀待因으로 나눈 것.
④ 중국 因明에선 言生因 · 智生因 · 義生因 · 言了因 · 智了因 · 義了因을 말함.
참고
묘각(妙覺) : ① 佛陀의 不可思議絶妙한 無上正覺. 究極의 佛陀의 자리(天台四敎儀). ② 보살52位. 41位의 하나. 곧 보살수행 최후의 자리로 번뇌를 끊고 지혜가 원만하게 갖춰진 자리를 말함.
구경(究竟) : ① 범어 uttara의 譯. 절대의 究極을 나타내며 최상을 형용하는 말. 예컨대 最極無上의 진리를 佛이라고 하는 형태로 나타내어 究竟法身이라고 하고 또 불교의 至高最終의 목적인 大般涅槃을 究竟涅槃이라 한다. ② 사물을 철저하게 끝까지 推究한다는 뜻. 예컨대 不屈의 願心을 가지고 성취하는 願을 究竟願이라고 한다. 彌陀의 本願力을 讚仰하는 말.
불과(佛果) : 修行한 因으로 하여 極果에 이르는 부처님의 지위.
극과(極果) : 지극한 證果란 뜻. 부처님의 正覺을 말함. 대승의 佛果, 소승의 無學果와 같이 至極究竟의 果를 가리킴. 곧 因位 수행의 결과를 말함. 무상 열반의 극과라고도 한다.
수행(修行) : 敎法을 몸에 지녀 갈고 닦아 실천하는 일. 불교에서는 깨달음을 찾는 마음을 발하여(發心), 그 願望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하고, 그 결과로서 깨달음을 펼친다고 한다. 수행이란 특히 頭陀苦行 또는 廻國巡禮란 뜻으로 쓰고 이를 행하는 사람을 修行者, 또는 行者라 부르기도 한다. 성문·연각·보살이 각각 究極의 경지에 이르기까지의 세월에 대하여 성문은 三生六十劫, 연각은 四生百劫, 보살은 三祇百劫을 요한다고 한다. .....
능가경(楞伽經) :入楞伽經이라 번역. 또는 大乘入楞伽經이라 하며, 능가경이라 양칭한다. 이 경은 다른 경과는 달리 非歷史的인 장소인 楞伽山(스리랑카의 동남 쪽에 있는 산으로 현재의 산 이름은 아담봉이다)에서 大慧보살을 상대로 설한 경인데, 반야 · 법화 · 화엄 등을 위시하여 열반 · 승만 · 해심밀경 등 여러 諸典에 나오는 여러 가지 사상들을 종합, 융화하여 독자적인 경지를 이루고 있는 내용상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이 경은 중국 禪宗의 初祖인 달마가 2조인 혜가에게 전수했다고 할만큼 선종과는 인연이 매우 깊으며, 금강경 · 원각경 · 능엄경과 함께 선종에서 매우 존중되고 있다.
① 구성과 내용에서 이 경은 번역본에 따라서 권수와 품수가 각각 다르다. 즉 구나발다라 번역본은 4권이고 전체를 一切佛語心品이라 하여 품의 세분이 없고, 보리유지 번역본은 10권 18품이다. 그리고 실차난타 번역본은 7권 10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학자들은 구나발다라 번역본이 다른 번역본에 비해서 보다 원초적인 능가경의 형태를 전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 경의 주요한 주제에 대해서는 옛부터 전해 오기를 五法 · 三性 · 八識 · 二無我라고 한다. 그러나 이것들이 반드시 이 경의 중심적인 주제라고는 생각될 수 없지만 이런 것들을 통해서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이 경은 여러 대승경전에 나오는 여러 사상을 풍부하게 채용하여 그러한 것들의 혼합속에 그러한 것들이 어떻게 종교적인 경험과 결합되어 있는가 하는 것을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이제 이 경이 다른 불교사상과의 관계에 있어서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1) 이 경에서의 여래장 아뢰야식에 관한 설을 승만경의 여래장사상과 기신론의 아뢰야식설 과를 연설한 것과 같은 것이다.
(2) 팔식을 설하고 세가지 자성을 밝히고 있는 점은 해심밀경 등의 유식 계통의 사상을 계승하면서 후기의 유식 학설, 특히 護法의 유식에 영향을 주었다.
(3) 중생을 깨달음으로 이끌기 위하여 여러 가지 교법이 있지만 그것들에게 차별이 있는 것은 아니며, 그 모든 것은 오직 一佛乘 뿐이라고 하여 법화경의 會三歸一의 사상이 이 경에서 다시 환기되고 있다.
(4) 禪에는 어리석은 범부가 행하는 禪(愚夫所行禪), 뜻을 관찰하는 선(觀察義禪), 진여를 생각하는 선(擧緣眞如禪), 부처님 여래의 선(諸如來禪)의 네 가지가 있다고 하여 선의 역사상 주목할만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 등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 능가경이 특히 강조되고 있는 견해는 우리들의 迷의 근원은 무한한 과거로부터의 習氣에 의하여 諸法이 오직 自心의 所現임을 알지 못하고 이것에 집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들의 意識의 本性이며, 이것을 철저하게 요해하면 能取 · 所取의 대립을 벗어나 무분별의 세계에 이를 수가 있다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여래장설도 無我說도 실은 무분별의 경계에 이르는 방편으로서 설하여져 있는 것이다. 자기자신에 의한 성스러운 智의 行相이라는 것이 때때로 강조되어 있고, 경전안의 여러 곳에서 설하고 있는 여러 가지의 관념도 결국은 무분별이라고 하는 것의 스스로의 체험과 철저한 了解에 의해서만 비로소 획득되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무시(無始) : 일체 世間의 중생과 법이 모두 처음이 없는 것과 같이 금생은 전생의 인연을 따라 존재하고, 전생은 또한 전생을 따라 존재하는 것처럼 이같이 추구해 들어가면 중생과 법은 원래 얻을 수 없으므로 無始라고 한다.
망상(妄想) : 分別이라고 번역하며, 妄想分別·虛妄分別·妄想顚倒라고도 하고, 망념·妄執 등도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인다. 마음의 집착으로 사물의 바른 모습을 분간하지 못하고, 함부로 그릇되게 생각하는 것. 宋譯 楞伽經卷二에는 言說·所說事·相·利·自性·因·見·成·生·不生·相續·縛不縛의 12妄想을 들었으며, 菩薩地持經卷二 眞實義品에는 自性·差別·攝受積聚·我·我所·念·不念·俱相違의 8妄想을 들었다.
습인(習因) : 범어 sabhaga-hetu의 번역. 6因의 하나. 同類因이라고도 함. .....동류인(同類因)→六因의 하나. 習因이라고도 함. 因果 관계에서 원인이 그 결과와 同類인 것을 말하는 것으로 예컨대, 결과로 나타나는 善의 원인이 또한 善인 때에나, 惡의 원인이 또한 惡인 때에는 그 因을 同類因이라 한다. 이것은 시간상으로는 因과 果가 다른 때에 일어나는 것이라 한다.
당유인(當有因) : 한 없는 옛적부터의 망상 습인을 6종으로 나눈 것 가운데 하나. 현재 가지고 있는 망상의 識이 因이 되어 미래에 과보를 초래하는 것.
상속인(相續因) : 상속(相續)→因은 果를 내고, 果는 또한 因이 되어 또 다른 果를 내므로 이렇게 因果가 차례로 연속하여 끊어지지 않는 것.
상인(相因) : ① 六種因의 하나. 찰나에 멸하고 찰나에 계속되는 前後間斷이 없는 선악의 業相을 말함. ② 相의 원인.
현료인(顯了因) : 표시하는 원인.
관대인(觀待因) : 十因의 하나. 몸과 마음이 樂을 구하여 수용할 적에 그 얻은데 대하여, 구하는 원인이 된 것을 觀待因이라 한다. 예를 들면, 苦는 樂의 觀待이고, 飢渴은 음식의 觀待임.
인(因) : ① 狹義로는 결과(果)를 가져오는 직접 내적 원인을 因(內因)이라 하고, 이것을 외부에서 도우는 간접적 원인을 緣(外緣)이라 하지만, 廣義로는 두 가지를 합해서 因이라고도 하고 緣이라고도 한다. 因을 여러 가지로 분류한다.
① 能生因과 方便因, 正因과 了因, 正因과 緣因 등의 2因의 분류는 狹義로서의 因과 緣을 並稱하는 이름이다. 이 밖에 習因(慣習 · 同類因)과 報因(善惡의 業, 異熟因), 引因 또는 牽引因(먼 未來世의 苦의 果報를 끌어 당기는 業의 種子)과 生因 또는 生起因(가까운 未來世에 苦의 果報를 끌어당기는 業의 種子), 通因(흔히 결과에 대한 공통으로 因이 되는 것)과 別因(하나의 결과만 특별히 因이 되는 것) 등의 두 가지 因의 분류가 있다.
② 5因은 依 · 立 · 生 · 持 · 養의 다섯가지 因으로 能造의 四大種(地·水·火·風)을 因으로 하고 所造色을 果로 할 때 4大種은 所造色에 대한 5因의 뜻이라고 한다. 生因이란 4大에서 所造가 생기는 것. 依因이란 4大가 所造하는 所依가 되는 것. 立因이란 4大가 所造한 것을 保持하는 것. 持因이란 4大가 所造하는 것을 지속시키는 것. 養因이란 4大가 所造할 수 있도록 育成하는 것을 말함. 또 일체의 因을 나눠 生因 · 和合因 · 住因 · 增長因 · 遠因의 5因으로 하기도 한다.
③ 有部宗(俱舍宗)에서는 6因을 말한다. (1) 能作因. 果인 法 이외의 일체의 有爲法은 그 법을 나타나게 하기 위해서, 혹은 적극적인 힘을 주고(有力能作因), 혹은 소극적으로 그 법이 나타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것(無力能作因)을 모두 그 법에 대한 因(곧 能作因)이라 생각할 수 있다. 이것이 廣義의 因이다. (2) 俱有因. 두 개 이상의 법이 동시에 서로 같이 존재할 때, 그 諸法은 서로가 俱有因이라 한다. 여기에는 同一果(果를 같이함)와 互爲果(서로 果가 되는 것)외의 두 가지 해석이 있다. (3) 同類因. 같은 法이 연속해서 생기는 경우. 앞의 법을 뒤 법의 同類因이라 한다. (4) 相應因. 俱有因 중에서 특히 心과 心所와의 관계를 相應因이라 한다. (5) 遍行因. 同類因 중에 특히 힘이 강한 번뇌 곧 遍行惑에 관해 말할 경우를 따로 말하는 것. (6) 異熟因. 不善業과 有漏의 善業이 因이 되어 無記의 果를 끌어당기는 경우 이것을 異熟因이라 한다. 또 따로 當有因 · 相續因 · 相因 · 能作因 · 顯了因 · 待因의 6因이라고도 한다.
④ 유식종에서는 10因을 말한다.
(1) 隨說因. 말은 사물을 표현함으로 말은 곧 사물의 因이다.
(2) 觀待因. 잘 받들리는 것. 예를 들면 손을 들어서 물건을 잡는 동작을 행할 때 손을 잡는 물건의 因이다.
(3) 牽引因. 種子가 먼 미래에 스스로 果를 끌어 당기는 것.
(4) 攝受因. 種子 이외의 여러 가지 緣.
(5) 生起因. 種子로부터 가까운 미래에 자신의 果가 생긴다.
(6) 引發因. 種子 혹은 現行이 同類의 훌륭한 果를 끌어당기는 것.
(7) 定別因. 일체의 有爲法이 자신의 果를 끌어 오지만 亂雜하지 아니함.
(8) 同事因. 因이 果와 和合하는 것.
(9) 相違因. 사물이 생기는데 障碍가 되는 것.
(10) 不相違因. 함께 장애가 되지 않는 것.
⑤ 십습인이란 가끔 어떤 일에 탐익해서 미래에 지옥에 가는 열 가지 악업.
② 因明(論理學)의 용어. 宗(命題) · 喩(例證)와 같이 三支(三要素)를 만든다. 宗 다음에 위치해서 그 이유를 설명하는 것.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천(義天)-僧 (0) | 2018.05.23 |
---|---|
상수멸무위(想受滅無爲) (0) | 2018.05.23 |
사성(四姓) (0) | 2018.05.23 |
상좌부(上座部) (0) | 2018.05.23 |
손자가 되어 환생한 윌리엄 (0) | 2018.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