ᄉ~ㅇ(시옷~이응)

원상(圓相)

근와(槿瓦) 2018. 5. 17. 01:30

원상(圓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一圓相이라고도 한다. 禪宗에서, 중생에게 원래부터 갖추어져 있는 깨달음의 모습을 상징하기 위해서 그리는 圓形의 그림으로, 南陽慧忠이 손을 가지고 圓相을 그려 보인 데서 비롯되었다고 전한다. 圓相중에 文字記號등을 써서 마음의 작용이나 깨달음의 階程등을 보이는 것이 행해져, 五冠了悟?㊏...자기의 內心에 경우 광명을 발견한 단계로부터 불타가 되어 자유로이 일체중생을 인도하는 경계에 이르기까지를 나타냈다.

 

참고

선종(禪宗) : 佛心宗이라고도 함. 달마대사가 인도로부터 와서 전한 것. 敎外別傳綱格으로 하고, 坐禪으로써 內觀外省하여 自性徹見하고, 自證三昧妙境을 요달함을 宗要로 하는 宗派. 또한 禪宗이란 부처님의 敎說所依로 삼는 宗派敎宗이라 함에 대하여 坐禪을 닦는 종지라는 뜻이다. 禪宗은 석존에게 正法을 유촉받은 迦葉尊者로부터 28祖 菩提達磨가 있고, 28菩提達磨가 중국에 건너와서 慧可(487~593)에게 을 전함으로부터 東土의 제5弘忍(602~675)에 이르러 그 門下에서 慧能(638~713)을 제6로 하는 南宗, 神秀(?~706)를 제6로 하는 北宗으로 나누어졌다. 그러나 神秀北宗은 오래지 않아 이 끊어지고 慧能南宗만이 57으로 번성하였다.

 

중생(衆生) : 有情 · 含識이라고도 번역하는데 이것은 心識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含識含生 · 含情 · 含靈이라고도 하며, 또 많은 生類라는 뜻으로 群生 · 群萠 · 群類라고도 한다. 대체로 이같은 말들은 "生存하는 것"이란 뜻으로 일체의 生類를 가리킨다. 衆生이란 말은 흔히 迷惑의 세계에 있는 生類를 가리키므로 때로는 넓은 의미로 불 · 보살까지도 포함한다. 雜阿含經 卷四十三에는  · · ·  · · 六根(여섯 感官)  · · · · · 6종의 동물에 비유하여 흔히 이것을 六衆生이라 하고 六獸라고 한다.

 

본구(本具) : 본래 구비되어 있는 것. 원래 갖추어져 있는 것.

 

일원상(一圓相) : 禪門에서 깨달음의 境地對照되어 나오는 圓相을 말하는 것으로 이 圓相의 생각은 慧忠國師로부터 비롯되었다.

 

혜충(慧忠) : (?~775) 중국 당나라 승려. 속성은 . 이름은 慧忠. 호는 南陽. 육조 혜능의 인가를 받고, 오령산·나부산·사명산·천목산 등 여러 명산을 다니다가, 남양 백애산 당자곡에 들어가 40여년 동안을 지내다. 현종·숙종·대종의 3대 임금의 두터운 歸依를 받았고, 760(上元 2)에 숙종의 부름에 응하여 千福寺西禪院에 살았는데, 임금이 자주 를 물어 깨달은 바가 많았다. 항상 南岳 慧思의 종풍을 사모하고, 임금에게 주청하여 衡嶽의 무당산에 太一延昌寺, 당자곡에 香嚴 長壽寺를 창건하고, 대장경 1부를 모시다. 당나라 大曆 1012월 입적함. 시호는 大證禪師.

 

원각(圓覺) : 부처님의 원만한 깨달음을 일러 원각이라고 한다. 일체의 유정이 모두 본래부터 깨달음이 있고 眞心이 있어서 시작이 없는 까마득한 옛날부터 지금까지 언제나 청정하여 밝게 비치고, 잘 알아 로 말하면 一心이라 하고, 으로 말하면 여래장이라 하고, 에 붙여 말하면 圓覺이라 한다. 원각경에선남자야, 無上法王에게 대다라니문이 있어 이름하여 원각이라 하는데 일체의 청정·진여·보리·열반·바라밀 등을 유출하여 보살을 敎授한다하였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의식(心意識)  (0) 2018.05.18
사중(四中)  (0) 2018.05.17
색법(色法)  (0) 2018.05.17
사인사과(邪因邪果)  (0) 2018.05.17
유주물(有主物)  (0) 2018.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