ᄉ~ㅇ(시옷~이응)

육사외도(六師外道)-1

근와(槿瓦) 2018. 5. 8. 01:29

육사외도(六師外道)-1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고대 인도 불타시대의 여러 가지 철학 · 종교 사상들을 원시불교 경전에서는 62종의 견해로서 분류하였는데, 그 중에서 가장 유력하였던 사상가는 육사외도와 불교사상이다. 육사외도는 모두 베다의 권위를 부인하고 바라문교에 반항하였다. 그들은 신흥 도시의 왕후 · 귀족 · 부호들의 정치적, 경제적 원조 밑에서 활약하였다.

(1) 아지타 케사캄발리. 아지타는 斷滅論的인 유물론자였다. 혹은 順世派 · 사탕발림파라고도 한다. 사람의 일생은 지 · · · 四大의 집합과 흩어짐에 불과하며, 죽어서 화장하면 사대는 모두 본래대로 돌아가고 영적인 것은 아무것도 남는 것이 없기 때문에 죽기 전에 잘 먹고 잘 노는 현실적 쾌락 밖에는 인생의 목적은 없다고 한다. 제사 · 기도 · 교육 · 종교 · 도덕 등 일체의 윤리적 엄숙주의를 반대한다.

(2) 파쿠다 카쨔야나. 파쿠다는 일종의 常住論者. 그의 사상은 기계적 불멸론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절대부동 불변하는 7요소 즉 지 · · · · · · 생명의 집합과 흩어짐이요, 죽은 뒤에는 7요소 자체는 불변불멸이기 때문에 인생의 결정적 단멸은 없다고 한다. 칼로 목을 잘라도 결국 칼날은 요소들 사이의 공간을 지나 갔을 뿐 생명이 없어지지는 않았다고도 한다.

(3) 푸라나카 싸파. 푸라나의 설은 도덕부정론이다. 그는 독단적인 윤리적 회의론자이며, 선악은 사회적 관습에 의한 임시적인 것이며 사람이 선행을 하든 악행을 하든 거기에 필연적인 인과응보는 있을 수 없다고 한다.

(4) 마칼리 고살라. 그는 극단적인 운명론자였다. 邪命外道라고도 한다. 모든 생물은 지 · · · · 虛空 · · · · · · · 영혼의 12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리들의 행동이나 운명은 모두 자연적 법칙에 의하여 이미 숙명적으로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들의 몸이나 마음의 힘으로는 바꿀 수 없고 이미 결정된 윤회전생을 무수히 반복하다가 보면 마침내는 해탈하는 날이 온다고 한다.

(5) 산쟈야 벨라티풋타. 산쟈야는 일종의 회의론자이다. 그를 不可知論 혹은 氣分派라고도 할 수 있으며 특히 형이상학적 문제들에 대하여서는 일체의 판단을 중지하던가 혹은 그때 그때의 경우에 따라 제각기 제대로의 소신대로 말하면 그것이 곧 진리라고 한다.

(6) 니간타 나타풋타. 니간타는 본명이 바르다마나였으나 깨달은 후에 마하비라라고 불려진 자이나교의 교조이다. 그는 극단적 고행과 불살생을 주장하는 윤리적 엄숙주의이며 불교와 인연이 깊은 사상가이다. 마하비라는 부처님 보다 먼저 태어났으며, 존재론적으로는 크게 非命二元論이며 인식론적으로는 不定主義 · 相對主義이다.

 

참고

(1) 노형외도(露形外道) : 범어 Nirgrantha. 또는 離繫外道. 옷을 벗고 맨몸을 드러내는 것을 正行이라고 주장하는 外道.

 

(2) 내아외도(內我外道) : 三十種外道의 하나. 身心의 내부에 마음과는 별도로 이 몸을 운전하는 영혼이라는 實體가 있다고 주장하는 외도.

 

(3) 내외도(內外道) : 內道外道. 內敎·外敎와 같은 말. 의 외도, 의 외도에 대하여 일컫는 말. 소승의 犢子部, 대승의 方廣道人, 불법 가운데 외도를 의 외도라 부른다.

 

(4) 나형외도(裸形外道) : 범어 Nirgrantha. 또는 露形外道. 尼乾子外道의 하나인 空衣派. 大空을 옷으로 삼는다고 하면서, 옷을 벗고 알몸으로 생활.

 

(5) 구십육종외도(九十六種外道,144) : 또는 九十六術·九十六徑·九十六道·九十六種異道라고도 한다. 釋尊 당시에 바라문교 가운데서 가장 세력이 강한 부란나가섭·말가리구사리자·산사야비라지자·아기다시사흠바라·가라구타가전연·니건타야데자 등 6인과, 그들의 15명씩의 제자들을 합하여 九十六人이 된다. 六師들에게는 각각 15가 있어 15제자에게 1씩 가르친다고 전한다.

 

(6) 구십오종외도(九十五種外道) : 또는 95, 96외도 중에서 소승의 1파와 비슷한 것이 있으므로, 이를 제하고 95종을 말한다. 그것은 소승 犢子部인 듯하다는 설이 있음.

 

(7) 공화외도(空華外道) : 범어 sunyapuspa. 인도의 소승학자들이 대승을 비방하여 空華外道라고 부름. .....공화(空華)본래 실체가 없는 對象界妄見에 사로잡혀 실체가 있는 것처럼 錯覺 · 偏執하는 것을 眼疾을 앓고 있는 사람이 때로는 아무 것도 없는 허공에 마치 꽃이 있는 것처럼 잘못 보는 일에 비유한 것.

 

(8) 고행외도(苦行外道) : 육종고행외도(六種苦行外道)六苦行外道라고도 하며, 6종의 外道의 고행을 일컫는 말.

(1) 自餓外道(斷食으로 도를 삼는 고행).

(2) 投淵外道(겨울에 연못에 들어가 추위를 참는 것. 또는 연못에 빠져 죽는 것).

(3) 赴火外道(몸을 불에 태우는 고행).

(4) 自座外道(裸體로 맨땅에 앉아서 寒暑를 참는 고행).

(5) 寂黙外道(무덤 가운데 있으면서 잠자코 말하지 않는 고행).

(6) 牛狗苦行(· 개의 흉내를 내며 곧 牛戒狗戒를 가지고 天上에 나려하는 고행)가 그것.

 

외도(外道) : 범어 tirthaka. 인도에 있어서 불교이외의 . 불교를 內道라고 하는데 대한 對稱. 外敎 · 外法 · 外學이라고도 하고, 後世에는 邪法 · 邪義의 의미를 갖는 貶稱으로 쓰인다. 인도의 外道로 알려지고 있는 것에 六師外道, 六派哲學派(數論 · 瑜伽 · 勝論 · 正理 · 聲論 · 吠檀多)가 있는데, 이 밖에 다음과 같은 분류가 있다.

[1] 外道四執. 外道四見 · 外道四計 · 外道四宗 · 四種外道라고도 한다. (1) 一切法同一하다고 하는 (數論外道). (2) 一切法別異하다고 하는 (勝論外道). (3) 一切法同一하고도 또 別異하다고 하는 (尼犍子外道). (4) 一切法同一하지도 않고 別異하지도 않다고 하는 (若提子外道, 또는 邪名外道)[外道小乘四宗論] · (1) 世間은 항상하다는 . (2) 世間無常하다는 . (3) 世間하고 또 無常하다고 하는 . (4) 世間도 아니고 無常도 아니라고 하는 (智度論 卷七) · (1) 邪因邪果(大自在天外道). (2) 無因有果(常見外道). (3) 有因無果(斷見外道). (4) 無因無果(因果의 도리를 否定하는 外道).[三論玄義 卷上]. 기타. 瑜伽論 65에는 卽離라고 하는 점에서 또 中觀論疏 卷七에는 自作 · 他作 등의 점에서 四執을 나누고 있다.

[2] 六苦行外道. 自餓外道 · 投淵外道 · 赴火外道 · 自坐外道 · 寂黙外道 · 牛狗外道(소나 개의 흉내를 냄으로 生天을 원하는 외도)[涅槃經 卷十六]. ........

 

고행(苦行) : 주로 인도의 外敎에서 채용된 修行法으로, 단식·호흡의 抑止, 특수한 자학행위에 의하여 스스로 육체적 고행을 하며 자연적인 욕망을 끊고 견디기 어려운 여러 가지 難行을 감행하는 것.(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정신의 자유나, 生天樂果, 바라는 바를 이루려 기대했다). 또 보시(布施자비(慈悲), 그 밖에 佛道에 합당한 큰 목적을 위해서 행해지는 苦難이나, 修道者 등에 의해 행해지는 荒行苦行이라 한다.

 

(9) 기론외도(記論外道) : 毘伽羅論을 펴는 외도를 말함. (玄應音義二十三) .....비가라론(毘伽羅論)범어 vyakarana의 음역으로 和迦羅·敝耶伽羅·毘迦羅拏·鼻伽羅·毘何羯喇拏·毘耶羯刺諵이라고도 쓰며, 分別·分解·解釋이란 뜻을 갖는 말인데, 聲明記論이라 번역한다. 五明 聲明 語學에 관한 梵書(俗書)의 총칭이다. 인도의 文法書를 말하며 外道에서 사용했고 六論의 하나. .....육론(六論)外道에서 사용하는 十八大經一部. (1) 六十四能을 설한 式叉論(Siksa). (2) 文法을 설한 毘伽羅論(Vyakarana). (3) 天仙因緣·名字를 설한 柯刺波論(Kalpa). (4) 天文·地理·算數를 설한 堅底沙論(Jyotisa). (5) 首盧迦作法을 설한 闡陀論(Chandas). (6) 일체의 語源을 설한 尼鹿多論(Nirukta).

 

(10) 순세외도(順世外道) : 범어 Lokayata의 번역으로 路歌夜多音譯하며 道德과 일체의 정신을 부정하는 극단의 물질적 쾌락주의.

 

(11) 수론외도(數論外道) : 또는 數論師. .....수론(數論)범어 Samkhya. 육파철학 중 상캬학파를 가리킴. .....수론파(數論派)數論과 같음. 범어 Samkhya. 僧企耶 · 僧佉音譯. 인도 6철학의 하나로, 迦毘羅(kapila)仙人이 처음 주장함. 25를 세워 일체 萬法生起로부터 有情輪廻始終解脫하는 것을 말한다. 聖典<金七十論>이다. 상캬학파를 가리킴.

 

이십오(二十五) : 인도의 數論派의 철학에서 宇宙萬有神我라고 하는 정신적 원리와 自性이라고 하는 물질적 원리의 二元으로 나누며, 세계전개(轉變의 순서)25수로 요약한 것. 이것이 진실한 진리라고 하여 라 한 것. 自性(知覺·覺知의 기관)我慢(自意識)5(····)16變異[5(····) + 5知根(····) + 5作根(···生殖器·排泄器) + 意根의 순으로 나타난다고 함. 이와 같이 未顯現自性으로부터 등의 23종이 생겨나는 것은 自性純質() · 激質() · 翳質()3요소, 三德으로부터 구성되어 있어서 그것은 神我의 작용에 의한 것이다. 그러므로 神我自性과의 관계를 잘 考察해서 內智를 완전히 하면 無形不滅의 정신원리인 神我有形可滅의 물질적 속박으로부터 벗어나서 解脫에 도달한다. 神我自性을 여의고 獨存하는 것으로 본래의 純淨을 발휘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金七十論卷上)

 

상캬학파(Samkhya學派) : 인도 육파철학의 하나. 한역 불전에는 數論 또는 僧佉라고 번역한다. 학파의 성립은 6파중 가장 오랜 것이고 그 開祖는 카필라(Kapila)이다. 우파니샤드의 철인 웃달라카의 학설 즉 가 정신적 원리이면서도 물질적 展開의 근원이 된다는 결점을 비판하고 그것을 보충하여 정신과 물질의 2神我自性을 내세우는 데서부터 출발했다. 처음에는 2을 통일하는 것으로서 최고 범()을 인정하는 유신론적·1원론적 경향이 강하며 서사시 등에 나타나는 상캬설은 이것이지만 후에 최고 을 인정하지 않고 따라서 무신론적 2원론이 되었다. 보통 말하는 상캬는 2원론이다. 경전으로서 정리되어 있는 것은 4세기에 난 이스바라크리슈나의 상캬 카아리카(Samkhya Karika)가 최고의 것이다. 에 의하면 푸루샤(purusa)는 순수의식이고 작용이 없으며 다만 프라크리티(prakrti)를 관조할 뿐이다. 이 관조를 動力因으로 하고 프라크리티가 각() 이하 aham=kara · 五大 · 16變異(5知根·5作根·意根·5境)을 순차로 전개한다고 논하고 이들 원리를 푸루샤 · 프라크리티와 합하여 25라고 한다. 프라크리티는 말하자면 展開質料因이고 唯一이며 純質(sattva) · 激質(rajas) · 翳質(tamas)3을 구성요소로 한다. 전개의 결과 생기는 모든 요소도 3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사이에 평형상태를 잃고 있으며 그 구성의 우열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한다. 個物은 이 물질과 푸루샤가 물질에서 떨어져서 獨存이 되었을 때 해탈이라 한다. 인생을 로 보고 依內苦 · 依外苦 · 天苦(運命苦)3로 나누고 의 원인을 푸루샤와 프라크리티의 결합으로 보고 거기서 해탈하는 원인을 區別智(神我)라 하고 를 얻기 위하여 요가의 수행을 전한다. 상캬 수트라의 주석으로는 金七十論 ·가우다파다 · Mathara등이 6세기경에 나오고 12세기의 Vacaspatim=israTattvakaumudi가 있지만 그것들에서는 전개의 순서 등에 다른 점이 있으며 학설이 발전되었다. 15세기에 들어와서 다른 학파를 모방하여 상캬수트라가 만들어졌는데 거기서는 다시 有神論이 채택되었으며 이는 베단타(Vedanta)의 영향이라고 본다. 學派는 현재에도 베나레스 부근에 독립하여 존재하고 있다.

 

(12) 소집외도(所執外道) : 30종 외도의 하나. 能執識心으로 그 所執의 대상이 眞我이고, 모든 곳에 遍滿하다고 주장하는 외도. .....소집능집(所執能執)인식의 대상과 인식의 주체.

 

(13) 소승외도(小乘外道) : 소승을 卑下시키는 말로 쓰기도 하고 小乘外道라는 두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대승의 敎義에 어긋난다는 점에서는 小乘이나 外道가 다 같기 때문이다.

 

(14) 성생자외도(聲生者外道) : 30외도의 하나. 은 본래 없는 것이며 으로써 하고 한 뒤에는 곧 常住한다고 생각하는 것. 30종외도

 

(15) 상정생외도(常定生外) : 三十種外道의 하나. 나는 항상 있어 파괴할 수 없고, 자연히 항상 하며, 다시 하는 일이 없다고 주장하는 외도.

 

(16) 삼종외도(三種外道) : 天台智者(天台大師 智顗晋王에게 받은 )3종의 外道를 세움.

(1) 佛法外外道. 96종의 外道와 같은 불법 밖의 外道.

(2) 附佛法外道. 소승의 犢子部와 대승의 方廣道人佛法附託邪計를 세운 것.

(3) 學佛法成外道. 부처님의 敎門謬解하여 邪計에 빠진 것. (止觀十上)

 

독자부(犢子部) : 범어 Vatsiputriya의 번역. 소승 20의 일파. 또는 跋私弗底梨與部 · 婆麁富羅部 · 可住子弟子部라 함. 萬有有爲三世無爲不可說五藏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중생에게는 實我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불교의 眞無我의 이치에 어긋나므로, 이 학파를 佛敎內 外道, 또는 附佛法外道라 한다. 석존이 세상에 계실 때에 어느 외도가 부처님께 귀의한 후 實我說을 세웠고, 門徒가 끊이지 않고 이어오다가 佛滅後 2백년경에 스스로 一切有部라 칭하였고 다시 1백년 후에 一切有部에서 갈라진 일파를 犢子部라 한다. 이들은 를 세워서 중생에게는 實我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 사상은 불교의 眞無我의 진리에 위배되므로 佛法 가운데 外道라고 규정지었다. 俱舍論 破我品에서는 통렬히 배척하였고 眞諦玄應記에는 可住子部라 하였다. 智度論一불법 가운데 또한 犢子比丘說이 있는데, 4화합의 眼法이 있고 五衆이 화합하는 人法이 있다. 犢子阿毘曇 가운데 설한 것을 보면 五衆를 떠나지 않고 五衆을 떠나지 않는다. 五衆을 설하지 못하는 것이 이며, 五衆을 떠나는 것이 이다. 五衆을 설하지 못하나 法藏 가운데서 포함하여 설하였다하였음. 實我이며, 五衆五蘊을 말한다.

 

방광도인(方廣道人) : 方廣이라 함은 方正하고 廣大하다는 뜻으로 大乘을 가리킨다. 道人이라 함은 를 닦는 사람이라는 뜻. 語意上으로 보면 大乘學者란 말이 되지만, 智度論卷一에 의하면, 大乘을 오해하여 虛無주의를 주장하는 一派를 가리킨다. 補特伽羅說을 주장하여 아를 실체적으로 인정코자 하는 小乘犢子部空思想에 집착하여(惡取空) 因果를 부인하는 大乘方廣道人은 어느 것이나 다 附佛法外道임으로 佛敎內非佛敎的 敎派로 취급한다.

 

(17) 삼외도(三外道) : 百論에서 설하는 三仙을 말함.

(1) 迦毘羅外道. 가운데 가 있다고 생각하는 외도.

(2) 漚樓僧佉外道. 가운데 가 없다고 생각하는 외도.

(3) 勒沙婆外道. 가운데 가 있다 또는 없다고 생각하는 외도. (止觀十上)

 

(18) 삼십종외도(三十種外道) : (1) 時外道. 또는 時散外道 · 時論外道라고도 함. 시간을 만물의 이라 하여 상주 불변하는 가 있다고 주장하는 것.

(2) 五大外道. · · · · 五大로써 生因을 삼는 外道.

(3) 相應外道. 을 배우기로 기획한 것이 內心에 상응하는 이치가 眞我가 된다고 하는 外道.

(4) 建立淨外道. 일체의 법을 세우고 이에 의하여 수행하여 이것을 청정하다고 하는 것.

(5) 不建立無淨外道. 위와 相反된다. 一法을 건립하지 않고 所修淨法이 없다고 하는 것.

(6) 自在天外道. 自在天으로 生因이 된다고 하는 것.

(7) 流出外道. 建立外道와 비슷하다. 建立은 마음이 일체법을 한다고 하지만, 流出外道는 손으로 일체의 법이 나온다고 하는 것.

(8) 尊貴外道. 나라연천이 生因이 된다고 하는 것.

(9) 自然外道. 萬物이 자연의 법이 된다고 하는 것.

(10) 內我外道. 몸 가운데 별다른 가 있어서 이 몸을 운전한다고 생각하는 것.

(11) 人量外道. · 이 혹은 크고 혹은 적어서 사람 몸과 대등하다고 생각하는 것.

(12) 遍嚴外道. 가 비록 모든 을 만드나, 世間尊勝 · 遍嚴한 일이 있는데 이것을 所爲라고 하는 것.

(13) 壽者外道. 일체의 에서 초목 四大에 이르기까지 모두 壽命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

(14) 識外道. 이 일체의 곳에 편만해 있어서 지 · · · 풍의 이 편만하다고 생각하는 것.

(15) 阿賴耶外道. 아뢰야식이 이 몸을 가지고 萬像含藏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

(16) 知者外道. 몸 가운데 知者가 있어서 능히 苦樂 등의 일을 안다고 생각하는 것.

(17) 見者外道. 몸 가운데 보는 가 있어서 이것이 眞我라고 생각하는 것.

(18) 能執外道. 몸 가운데 따로 能執者가 있어서 이것을 眞我라고 생각하는 것.

(19) 所執外道. 能執者識心이고, 所執하는 경계는 이것이 眞我라고 생각하는 것.

(20) 內知外道. 몸 가운데 따로 內知者가 있어서 이것이 眞我라고 생각하는것.

(21) 外知外道. 外知者가 있어 外塵의 경계를 알며 이것이 眞我라고 생각하는 것.

(22) 社怛梵外道. 社怛梵은 범어이다. 이것은 知者外道宗計大同한 것.

(23) 摩奴闍外道. 마나사는 번역하여 사람이라 한다. 사람은 사람으로 인하여 출생한다고 생각하는 것.

(24) 摩納婆外道. 마납바는 번역하여 勝我라고 한다. 는 몸과 마음 가운데 가장 勝妙하다고 생각하는 것.

(25) 常定生外道. 는 이에 상주하여 가히 파괴할 수 없고 자연히 常生하며 更生함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

(26) 聲顯者外道. 으로 나타나며 本有가 되어 常住한다고 생각하는 것.

(27) 聲生者外道. 은 본래 없는 것이며 으로써 하고 한 뒤에는 곧 常住한다고 생각하는 것.

(28) 非聲外道. 소리의 가 없다고 하는 것.

(29) 時外道. 또는 時散外道. 진실한 時體가 있다고 집착하여 이것이 일체 만물을 생한다고 하는 外道를 말함. 이상 29종의 外道에 하나의 總我를 더하여 30종의 外道라 부른다. (大日經疏十二, 十住心廣名目一)

 

(19) 사화외도(事火外道) : 불을 섬기는 외도. .....사화(事火)→① 性火에 대하여 事火라 함 외도의 이름. 三迦葉은 본래 불을 섬기는 이와 같은 외도였음. .....사화바라문(事火婆羅門)事火外道와 같음. 불을 섬기는 외도. 불은 일체의 것을 깨끗하게 하는 덕이 있다고 하여 불을 숭배하는 일파.

 

(20) 사명외도(邪命外道) : 부정한 생활을 하는 외도.

 

(21) 사마외도(邪魔外道) : 사악한 마귀와 佛法 밖의 수행자를 말하는 것.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釋)  (0) 2018.05.08
십현문(十玄門)  (0) 2018.05.08
사구(四句)  (0) 2018.05.08
사집(四執)  (0) 2018.05.08
선문(禪門)  (0) 2018.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