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성은 어디에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만약 불성(佛性)이 이 몸에 있다고 한다면, 이미 몸 가운데 있으면서 범부를 벗어나지 못한 것이니, 저는 어째서 지금 불성을 보지 못합니까?」
「네 몸 안에 있는데도 네가 스스로 보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면 배고프고 목마른 줄 알며, 차고 더운 줄 알며, 성내고 기뻐하는 것이 무슨 물건인가? 또 이 육신은 지(地) · 수(水) · 화(火) · 풍(風)의 네 가지 요소(四大)가 모인 것이므로, 그 바탕이 미련해 식정(識情)이 없는데 어떻게 보고 듣고 깨달아 알겠는가. 보고 듣고 깨달아 아는 그것이 바로 너의 불성이다.
그러므로 임제(臨濟)스님이 말씀하기를 「사대(四大)는 법을 說할 줄도 모르고 허공도 또한 그런데, 다만 네 눈앞에 뚜렷이 홀로 밝은 형상 없는 것이라야 비로소 법을 설하고 들을 줄 안다」고 하였다. 여기에서 말한 <형상 없는 것>이란 모든 부처님의 법인(法印)이며 너의 본래 마음이다. 즉 불성이 네 안에 버젓이 있는데 어찌 그것을 밖에서 찾느냐. 네가 믿지 못하겠다면 옛 성인들의 도(道)에 든 인연 몇 가지를 들어 의심을 풀어 줄 테니 진실인 줄 믿어라.
옛날 이견왕(異見王)이 바라제 존자께 물었다.
「어떤 것이 부처님입니까?」
존자는 이렇게 대답했다.
「성품을 보는 것이 부처입니다.」
「스님은 성품을 보았습니까?」
「그렇습니다. 나는 불성을 보았습니다.」
「성품이 어느 곳에 있습니까?」
「성품은 작용(作用)하는 데에 있습니다.」
「그 무슨 작용이기에 나는 지금 보지 못합니까?」
「지금 버젓이 작용하는데도 왕이 스스로 보지 못합니다.」
「내게 있단 말입니까?」
「왕이 작용한다면 볼 수 있지만, 작용하지 않는다면 그 체(體)도 보기 어렵습니다.」
「만일 작용할 때에는 몇 군데로 출현합니까?」
「출현할 때에는 여덟 군데로 합니다.」
왕이 그 여덟 군데를 말해 달라고 하자 존자는 다음과 같이 가르쳐 주었다.
「태 안에 있으면 몸이라 하고, 세상에 나오면 사람이라고 하며, 눈에 있으면 보고, 귀에 있으면 듣고, 코에 있으면 냄새를 맡으며, 혀에 있으면 말을 하고, 손에 있으면 붙잡고, 발에 있으면 걸어다니며, 두루 나타나서는 온 누리를 다 싸고, 거두어들이면 한 티끌에 있습니다. 아는 사람은 이것이 불성인 줄 알고, 모르는 사람은 정혼(精魂)이라 부릅니다.」
왕이 이 말을 듣고 곧 마음이 열리었다.
또 어떤 스님이 귀종(歸宗)화상께 물은 일이 있었다.
「어떤 것이 부처입니까?」
화상은 이렇게 말했다.
「내 이제 그대에게 일러주고 싶지만 그대가 믿지 않을까 걱정이다.」
「큰스님의 지극한 말씀을 어찌 감히 믿지 않겠습니까.」
「그것은 곧 너니라!」
「어떻게 닦아가야(保任) 합니까?」
「한 꺼풀 가리는 것이 눈에 있으니 헛꽃(空華)이 어지러이 지는구나.」
그 스님은 이 말 끝에 알아차린 것이 있었다. 옛 성인의 도에 드신 인연이 이와 같이 명백하고 간단하여 힘들지 않았다. 이 법문으로 말미암아 알아차린 것이 있다면, 그는 옛 성인과 더불어 손을 마주잡고 함께 갈 것이다.」
참고
임제(臨濟) : 법명은 의현(義玄), 당대(唐代) 임제종의 개조(開祖). 황벽 희운(黃檗希運)의 법을 이어 「덕산의 방(棒), 임제의 할(喝)」이라 불려질 만큼 참선 수행자에게는 신랄했다. 그의 언행(言行)을 제자들이 엮어 <임제록>이라 하다.
법인(法印) : 불교의 표치. 인(印)은 진실해서 부동 불변하고 왕인(王印)처럼 어디서나 통용되어 증명이 된다는 뜻.
불성(佛性) : 범어 buddha-dhatu. 또는 gotra의 번역으로 如來性, 覺性이라고도 한다. 佛陀의 本性이란 뜻. 佛陀가 될 가능성 · 因性 · 종자, 혹은 迷·悟에 의하여 변하는 일이 없어 본래 갖추어진 性品. 如來藏의 다른 명칭이라고도 한다.
사대(四大) : 地 · 水 · 火 · 風을 말함. 大(범어 maha-bhuta)는 元素란 뜻. 네 가지 원소. 萬有의 물질을 구성하는 4대원소. 地大(견고한 것을 본질로 하고 그 본질을 보존하여 유지하는 작용을 가진 원소) · 水大(濕性을 본질로 하는 작용을 가진 원소) · 火大(열을 본질로 하고 태우는 작용을 하는 원소) · 風大(움직이는 성질이 있고 만물의 성장작용을 하는 원소). 이상의 4가지 요소를 能造의 色이라 함.
식정(識情) : 識은 外境을 識別 · 了別 · 인식하는 작용. 곧 마음의 작용을 가리켜 붙인 이름이며 外境에 대해 內識이라고도 한다. 情은 ① 느끼어 일어나는 마음. 친절하고 사랑하는 마음. ② 혼탁한 망념. ③ 有情이란 것. ④ 인식의 機官. ⑤ 性이 일어나는 곳.
보임(保任) : 保護任持의 준말. 흔히 “보림”이라고 하며, 禪宗에서 견성(見性)하여 진아(眞我)를 발견한 뒤에 이를 잘 보호하고 지켜 나가는 일.
보조(普照) : 고려 중기의 고승으로, 이름은 知訥. 호는 牧牛子. 시호 佛日보조국사. 탑호 甘露. 저서에는 定慧結社文, 眞心直說, 修心訣, 誡初心學人文 등이 있다.
수심결(修心訣) : 고려 보조국사 지음. 참선하여 마음 닦는데 필요한 것을 말한 책.
정혼(精魂) : 精氣(만물이 생성하는 원기, 인간의 精神氣力을 말함)와 魂魄[心身의 다른 이름. 魂(혼)은 心識으로 靈用은 있고 형체가 없는 것. 魄(백)은 형체가 있어 心識의 의지처가 되는 것. 禮記郊特性에 “魂氣는 하늘로 돌아가고 形魄은 땅으로 돌아간다”하였고, 註에 “魂은 神이며, 陽이며, 氣다. 또한 魄은 精이며, 陰이며, 形이다”하였음]을 말함.
공화(空華) : 본래 실체가 없는 對象界를 妄見에 사로잡혀 실체가 있는 것처럼 錯覺 · 偏執하는 것을 眼疾을 앓고 있는 사람이 때로는 아무 것도 없는 허공에 마치 꽃이 있는 것처럼 잘못 보는 일에 비유한 것.
망견(妄見) : 虛妄不實한 分別. 我見 · 邊見 등을 말함.
아견(我見) : 五見의 하나로 身見이라고도 한다. 五蘊의 假和合的 존재가 心身을 常一實體로 생각하는 妄見을 말함.
변견(邊見) : 五見의 하나. 邊執見이라고도 한다. 편벽된 극단에 집착하는 견해. 我는 死後에도 常住한다고 생각하는 常見과 아는 死後에는 단절된다고 생각하는 斷見에 고집하는 見解를 말함.
오견(五見) : 다섯가지의 見. 見은 생각 · 見解 · 思想의 뜻인데, 여기서는 나쁜(惡)생각, 그릇된 견해를 의미한다. 근본번뇌 가운데 見(惡見)을 다섯가지로 나눈 것. (1) 薩迦耶見(有身見 또는 身見이라고도 하고, 我가 있다고 하는 我見과 나에 속하는 것이라고 하는 我所見을 말함), (2) 邊執見[邊見이라고도 하고, 편벽된 극단을 집착하는 견해란 뜻으로 常見(有見)과 斷見(無見)을 말함], (3) 邪見(因果의 도리를 부정하는 견해), (4) 見取見(잘못된 견해에 집착하여 진실한 견해라고 하는 것), (5) 戒禁取見(바르지 않은 戒律이나 禁制 등을 열반(깨달음)에 인도하는 바른 戒行이라고 고집하는 것).
오온(五蘊) : 五陰이라고도 한다. 蘊은 범어 skandha의 번역. 塞建陀라 音譯하며 모인다는 뜻. 가지가지의 종류를 일괄해서 聚說한다는 뜻. 五蘊이라 함은 色蘊(물질) · 受蘊(印象感覺) · 想蘊(知覺·表象) · 行蘊(意志 기타의 마음 작용 등) · 識蘊(心)의 총칭. 受 · 想 · 行은 대체로 마음의 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五蘊은 물질계와 정신계의 양면에 걸치는 일체의 有爲法(인연에 의해서 생긴 것)을 가리킨다. 그러나 五蘊이 有情의 個體를 형성하는 面을 강조한 말로 보면, 五蘊은 心身環境을 가리킨다.
육신은 구체적인 하나하나의 事物이 모두 인연(온갖 조건)에 의해서 五蘊이 잠정적으로 모여서 이루어진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것을 五蘊假和合이라 하고, 특히 有情의 개체에 대해서 말한다면 나라고 하여 집착할 實體가 없는 것을 나타낸다.
有漏인 五蘊을 또 五取蘊(五受陰)이라고도 한다. 取(受)는 煩惱의 異名이다. 또 이와 같은 五蘊은 중생에게 종종의 잘못된 생각을 일으키기 때문에 五妄想이라고도 불리운다. 五分法身[無學(최고의 깨달음)의 자리에 이른 사람이 구비해야 할 다섯 가지 功德. 곧 戒蘊(戒身·戒品이라고도 부른다) · 定蘊 · 慧蘊 · 解脫蘊 · 解脫知見蘊의 총칭. 解脫과 解脫知見을 모아서 解知見이라고도 한다. 小乘佛敎해석에 따르면 身業과 語業이 無漏淸淨이 되어(戒), 空 · 無相 · 無願의 三三昧를 성취하고(定), 正見 · 正知(慧) · 盡知 · 無生知 및 正見과 상응하는 勝解를 얻고(解脫), 盡知 · 無生知를 얻는다(解脫知見)고 되어 있으나 근본은 불교교단에 들어가 육체적 · 정신적 욕망을 억제하고 마음을 寂靜하게 하여 智慧를 닦고 일체의 속박에서 해방되고 그 해방된 마음으로 말미암아 편안함을 스스로 의식하는 開悟의 境地로 깊숙이 들어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을 無漏의 五蘊이라고도 한다.
부처 : 불교의 교조 석가모니. 범어 Buddha. 意譯하면 깨달은 사람(覺者)이라 하고 줄여서 佛이라고 함.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부처라고 하여 왔다. 특히 불교인들의 완전한 용어로는 「부처님」이다.
출전 : 불교성전(普照·修心訣)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ᄇ(비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신체성(法身體性) (0) | 2018.05.07 |
---|---|
방편보리(方便菩提) (0) | 2018.05.05 |
범성(凡聖) (0) | 2018.05.04 |
법안(法眼) (0) | 2018.05.03 |
부처란 마음이다 (0) | 2018.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