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론현의(三論玄義)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권. 隋나라 嘉祥寺의 吉藏이 저술함. 삼론종의 근본 경전인 中論·百論·十二門論의 大要를 적은 책. 내용은 처음에 大歸를 서술한 뒤에 여러 品을 해석함에 二門으로 나누고, 다음에 처음 문에서 破邪·顯正의 둘을 세워, 파사에서는 外道·毘曇·成實·大執의 넷을 파하고, 顯正에서는 人正·法正으로 나누어, 人正에서는 용수보살의 인격을 비판하여, 대승의 實理를 말한 一人者라고 단정하고, 法正에서는 용수가 中論에 말한 것은 정히 대승의 실리를 말한 것으로 단정하고, 맨 끝에 여러 품을 해석하는 1項에 13科를 나누어 八不中道觀의 要諦를 말하였음.
참고
삼론(三論) : 三論宗이 의지하는 論藏.
(1) 中論. 대승 中實의 이치를 거듭 밝혔으므로 中論이라 이름함. 용수보살이 저술한 5백偈(실은 446偈) 27品이 있다. 앞의 25品은 대승의 迷執을 파하고 대승의 실다운 이치를 편 것이며, 뒤의 2品은 소승의 迷執을 파하고 소승의 실다운 뜻을 펴낸 것이다. 바라문의 靑目이 해석을 하고, 秦나라의 구마라집이 刪補하였음. 번역하여 4권이 됨.
(2) 十二門論. 偈 · 頌 · 論 · 釋은 모두 용수보살이 저술하고 밝힌 법문이 12이므로 十二門論이라 함. 十二門은 모두 대승의 迷執을 파하고 대승의 실다운 이치를 펴낸 것. 구마라집의 번역에 1권이 있음.
(3) 百論. 용수보살의 제자 提婆보살이 저술한 것으로 원래 20品 百偈이었으므로 百論이라 한다. 그러나 뒤의 10品 50偈는 번역되지 않았으므로 現本은 사죄복 · 파신 · 파일 · 파이 · 파정 · 파잔 · 파인중유과 · 파인중무과 · 파상 · 파공의 10品 뿐이다. 3세기경에 提婆가 용수보살의 一切皆空論을 이어서, 죄와 복이 實有라 하며, 혹은 神을 실재한 것이라 믿고, 모든 법이 항상하다는 外道의 妄執과 만물을 내는데, 因中에 果가 있다고 하여 因果一如를 말하는 數論과 因 가운데 果가 없다고 하여 因果가 다르다고 말하는 勝論師 등을 꾸짖어 그 주장을 깨뜨린 것.
길장(吉藏) : (549~623) 중국 三論宗 스님으로 수나라 때의 金陵人이며 성은 安, 그 조상은 安息國 사람으로 安世高의 후손이다. 13세에 興王寺 法朗에게 출가하여 <百論>을 배우고, 19세에 이를 보지 않고 외웠으며 그 뒤 진망산에 가서 嘉祥寺에 머물면서 <中論> <百論> <十二門論> 등의 주석을 했다. 후세에 그를 嘉祥大師라고 함은 그가 머물던 절에서 온 것이며 606(대업 2)년 煬帝의 부름으로 揚州 慧日道場에 있다가 日嚴寺로 옮겨서 敎法을 넓히고, 한편으로는 경전을 쓰고 불상을 조성하는데 노력하고, 나중에 實際寺·定水寺 두 절에 있었다. 또 唐의 高祖의 부름으로 延興寺에 있었고, 武德 6년에 목욕재계하고 부처님의 명호를 부르면서 <死不怖論>을 짓고 나이 75세에 入寂하다. 평생에 三論을 講說을 백여 번이나 해서 三論宗再興의 시조라고 부르며, 저서로는 <三論玄義> <維摩經義疏> 등 40여 부가 있다.
삼론종(三論宗) : 中論 등의 三論(中論,十二門論,百論)에 의하여 宗을 세운 까닭에 三論이라 이름한다. 일명 性宗·空宗·破相宗이라 함. 인도 대승불교의 中觀系·瑜伽系 중의 중관계에서 시작되어 중국에서 크게 번성한 종파. 용수보살이 지은 <中論> <十二門論> 과 提婆가 저술한 <百論>의 3부를 주요 경전으로 하고, 성립한 宗旨로서 이를 相承한 것을 말하면 문수·마명·용수에까지 이르러 2파로 갈리다. 그 중 1파는 용수·제바·라후라·청목·사거왕자수리야소마·수리야발타·구마라집이고, 다른 1파는 용수·용지·청변·지광·사자광에 전하다. 또한 구마라집 문하에서 승조·승예·도생의 英俊들이 나오고, 다시 도생·담제·도당·승전·법당·길장으로 차례로 이어왔는데 승전에서 길장까지의 敎義가 크게 이루었다. 길장 이전을 古三論, 이후를 新三論이라 구별함. 특히 중국에서는 구마라집이 中論·百論·十二門論·智度論을 번역하고, 그 제자들이 모두 三論 大義를 품수하고 嘉祥에 이르러 크게 번성하다가 禪宗이 들어오면서부터 점점 쇠퇴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는 신라 때 원효대사가 三論의 宗要를 짓고, 백제의 慧顯이 三論을 강설했으며, 고구려의 慧灌이 일본에 이 宗을 전하다.
중론(中論) : 中觀論의 약칭. ...중관론→ 4권. 용수보살이 저술하고, 구마라집이 번역함. 구마라집은 여기에 梵志 靑目의 해석을 붙이다. 十二門論 · 百論과 함께 三論宗의 所依論. 그 내용은 가장 철저한 中道를 주장하여 空과 假를 破하고 다시 中道에 집착하는 견해도 破하여 八不中道 곧 無所得의 中道를 말하다. 주석서로 碩법사가 저술한 疏 12권, 元康이 저술한 疏 6권이 있음.
백론(百論) : 범어 Sata-sastra. 3세기 무렵의 인도 中觀派 승려 가나제바(Kana-deva)의 저술. 산스크리트본이나 티벳본은 전해지지 않으나 구마라집의 漢譯만이 현존한다. 인도에서의 유포에 대해서는 아무런 자료도 없지만 중국에서는 中論 · 十二門論 · 百論이 三論이라 불리어지면서 三論宗의 근본 성전으로 중요시되었다. 또한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도 삼론종의 유입과 함께 중시되었다. 대승불교의 空 · 無我說에 대하여 나가르쥬나의 中道說만을 채택하고 다른 철학과 종교의 說을 물리친 책이다. 원래 20품 100偈이었으므로 백론이라 한다. 그러나 후에 10품 50게는 번역되지 않았으므로 현재는 (1) 捨罪福, (2) 破神(atman을 파함), (3) 破一, (4) 破異, (5) 破情(감각기관을 현함), (6) 破塵(감관의 대상을 파함), (7) 破因中有果, (8) 破因中無果, (9) 破常, (10) 破空의 10품으로 구성되었다. 각 품에 가나제바 자신이 지은 본문과 바수(Vasu) 의 주석이 있다. 본서는 샹카라 학파와 바이세시카학파의 나야수트라의 본문을 소개하고 있기 때문에 3세기 무렵의 인도 제학파의 학설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준다. 주석서로는 疏 2권(길장), 疏 2권(도빙), 疏 3권(원강), 義疏 2권 등이 있다.
십이문론(十二門論) : 1권. 三論 가운데 하나. 용수보살이 저술하고 秦나라의 羅什이 번역함. 因緣門 내지 觀生門의 12門을 觀하고, 12章段을 베풀어 온갖 것이 다 空하다는 사상을 말한 책. 吉藏疏 2권, 略疏 1권, 元康疏 2권, 法藏疏 1권이 있음.
파사현정(破邪顯正) : 잘못된 견해에 사로잡힌 것을 타파하고 옳은 진리를 나타내는 것. 삼론종의 근본교의로 邪를 버리고 다른 正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깨뜨린 邪는 그 생각을 변경시킴으로서 그대로 正이 될 수 있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것. 破邪即顯正이다.
파사즉현정(破邪即顯正) : 사교를 깨뜨리는 것이 곧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라는 말. 이것이 삼론종의 주장이며, 邪道·邪見·邪執을 깨뜨리는 것이 그대로 中道實相의 진리를 나타내는 것이라 하여 파사 밖에 따로 현정이 있음을 부인하다. 만일 파사 밖에 현정이 있다고 하면, 도리어 그 현정에 집착될 것이므로, 다른 이의 사견을 깨뜨리는 동시에 자기가 도리어 사견에 떨어짐을 면치 못할 것이니, 결국에는 진정한 파사현정이 될 수 없다는 것.
사교(邪敎) : ① 부정하고 요사한 가르침. 곧 外道의 가르침을 말한다. ② 악한 것을 가르치는 것.
사견(邪見) : 五見의 하나며, 十惡의 하나. 因果의 道理를 무시하는 옳지 못한 見解. 온갖 妄見은 모두 正理에 어긋나는 것이므로 邪見이라 함. .....오견→다섯가지의 見. 見은 생각·見解·思想의 뜻인데, 여기서는 나쁜(惡) 생각, 그릇된 견해를 의미한다. 근본번뇌 가운데 見(惡見)을 다섯가지로 나눈 것. 곧, (1) 薩迦耶見. 번역해서 有身見. 略하여 身見이라고도 하고, 또 僞身見 · 壞身見이라고도 번역한다. 我가 있다고 하는 我見과, 나에 속하는 것이라고 하는 我所見이 그것. (2) 邊執見. 邊見이라고도 한다. 편벽된 극단을 집착하는 見解란 뜻. 나는 死後 常住(永久不變)라고 하는 常見(有見)과, 나는 死後 斷絶한다고 하는 斷見(無見)이 그것. (3) 邪見. 因果의 도리를 부정하는 견해. (4) 見取見. 잘못된 見解에 집착하여 진실한 견해라고 하는 것. (5) 戒禁取見. 戒取見·戒盜見이라고도 한다. 바르지 않은 戒律이나, 禁制 등을 涅槃(깨달음)에 인도하는 바른 戒行이라고 고집하는 것. .....십악→열 가지 죄악. 身3[殺生(斷生命)·偸盜(不與取·劫盜)·邪婬(欲邪行·婬妷·邪欲)]·口4[妄語(虛誑語·虛妄·속임)·兩舌(離間語·破語)·惡口(麤惡語·惡語·惡罵)·綺語(雜穢語·非應語·散語·無義語)]·意3[貪欲(貪·貪愛·貪取·慳貪)·瞋恚(瞋·恚·害)·邪見(愚癡)].
인과(因果) : ① 원인과 결과를 말함. 결과를 낳게 하는 것이 因이고 그 因에 의해 생기는 것이 果이다. 시간적인 因果 관계로 볼 때 因은 앞에 있고 果는 뒤에 있으므로 因果異時라 한다. 그러나 묶은 갈대를 서로 의지해서 세우는 것은 넓은 의미의 인과관계이니 이와같은 인과관계에서 보면 因果同時이다. 唯識派에선 種子에서 종자가 생기는 관계는 因果異時이고 종자에서 現行이 생기고 現行에 의해 종자를 熏하는 관계는 因果同時라 한다. 六因·五果 중에서 異熟因과 異熟果와의 관계 및 同類因·遍行因과 等流果와의 관계는 어느 것이나 因果異時로 俱有因·相應因과 士用果와의 관계는 因果同時이다. 能作因과 增上果와의 관계는 양쪽에 다 통한다. 또 同類因과 等類果와의 관계는 前生의 자기가 因이 되어 後世의 자기를 낳게되는 관계임으로 이것을 自類因果라 한다. ② 우리의 行爲(業에 대해서 異時의 因果를 세울 때 善의 業因에는 반드시 善의 果報가 있고 惡의 業因에는 반드시 惡의 果報가 있다. 이것을 善因善果·惡因惡果라고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善因樂果·惡因苦果라고 해야 될 것으로 본다. 善한 業을 因으로 善한 業이 생겨 善業이 계속할 경우도 있다. 이는 바로 善因善果이다. 善惡의 業因이 있으면 반드시 그것에 相應하는 苦樂의 果報가 있다. 因果의 이치가 엄연해서 조금도 흩어지지 않는 것을 因果應報라고 한다. 因果의 이치를 무시해서 인정치 않고 邪見에 빠지는 것을 因果를 撥無한다고 한다.
사집(邪執) : 不正한 見解에 사로 잡히는 것. 佛敎 이외의 見解 및 불교내에 있어서도 고정적으로 생각하는 有나 無의 입장에 치우치거나 聖典에 나타난 敎說에 따르지 않고, 혹은 그것을 曲解한 자신의 見解에 사로잡히는 입장을 널리 가리킨다.
정도(正道) : ① 正眞의 師道, 三乘所行의 無漏道란 뜻. 一切法의 根本體性은 차별을 뛰어 넘어 一味平等한 絶對無爲의 경지이며 이것을 體達한 無漏智로 마침내 菩提涅槃을 證得하고 佛果에 이르게 하므로 이것을 正道라 한다. ② 八正道分을 가리킴.
파사(破邪) : 잘못된 집착을 타파하는 것을 破邪, 옳은 도리를 나타내는 것을 顯正이라고 한다. 합해서 破邪顯正·破邪申正·除邪顯正·摧邪顯正 등이라 일컫는다. 약하여 破顯·破申이라고 한다. 諸論은 대개 파사현정을 목적으로 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이에 대해 삼론종에선 다른 여러 이론은 邪執을 피하고 다른 正理를 세워서 설하고 있으므로 正理에 집착하므로 有所得의 心을 증가시키지만 용수의 中論과 十二門論 및 提婆의 百論 등의 三論은 破邪卽顯正·立破同時의 法門으로 집착하는 마음을 깨는 것 외에는 다른 正을 세우지 않는다. 破情 그것에 대해 결국에는 破顯을 넘어서 절대적인 空의 理에 도달하는 것이라고 한다. 吉藏의 三論玄義에선 破邪顯正을 破不收·收不破·亦破亦收·不破不收의 넷으로 나누어서 설명하고 제 4의 不破不收를 破顯의 극치라고 했다.
외도(外道) : 범어 tirthaka. 인도에 있어서 불교이외의 敎. 불교를 內道라고 하는데 대한 對稱. 外敎 · 外法 · 外學이라고도 하고, 後世에는 邪法 · 邪義의 의미를 갖는 貶稱으로 쓰인다. 인도의 外道로 알려지고 있는 것에 六師外道, 六派哲學派(數論 · 瑜伽 · 勝論 · 正理 · 聲論 · 吠檀多)가 있는데, 이 밖에 다음과 같은 분류가 있다.
[1] 外道四執. 또 外道四見 · 外道四計 · 外道四宗 · 四種外道라고도 한다. ①(1) 一切法은 同一하다고 하는 說(數論外道). (2) 一切法은 別異하다고 하는 說(勝論外道). (3) 一切法은 同一하고도 또 別異하다고 하는 說(尼犍子外道). (4) 一切法은 同一하지도 않고 別異하지도 않다고 하는 說(若提子外道, 또는 邪名外道)[外道小乘四宗論] · ②(1) 世間은 항상하다는 說. (2) 世間은 無常하다는 說. (3) 世間은 常하고 또 無常하다고 하는 說. (4) 世間은 常도 아니고 無常도 아니라고 하는 說(智度論 卷七) · ③(1) 邪因邪果(大自在天外道). (2) 無因有果(常見外道). (3) 有因無果(斷見外道). (4) 無因無果(因果의 도리를 否定하는 外道).[三論玄義 卷上]. ④ 기타. 瑜伽論 권65에는 我와 蘊의 卽離라고 하는 점에서 또 中觀論疏 卷七에는 苦의 自作 · 他作 등의 점에서 四執을 나누고 있다.
[2] 六苦行外道. 自餓外道 · 投淵外道 · 赴火外道 · 自坐外道 · 寂黙外道 · 牛狗外道(소나 개의 흉내를 냄으로 生天을 원하는 외도)[涅槃經 卷十六].
[3] 外道十六宗. 또 十六異論 · 十六外道 · 十六計라고도 한다.
곧 因中有果宗(雨衆外道라고도 雨際外道라고도 일컬어지는 數論의 說) ·
從緣顯了宗(聲論 · 數論一派의 說) ·
去來實有宗(勝論 · 時論外道의 說) ·
計我實有宗(數論 · 勝論 · 離繫 등의 일체의 外道 및 小乘犢子部의 說) ·
諸法皆常宗(數論外道 등의 說) ·
諸因宿作宗(宿作外道라고도 宿作因論師라고도 하는 離繫外道 곧 耆那敎의 說) ·
自在等因宗(大自在天外道의 說) ·
害爲正法宗(肉食하기 때문에 殺生까지도 正法이라고 하는 說) ·
邊無邊等宗(세계의 有限 · 無限 등을 주장하는 說) ·
不死矯亂宗(Sanjaya의 詭辯論) ·
諸法無因宗(無因外道) ·
七事斷滅宗(斷見外道) ·
因果皆空宗(空見外道 · 邪見外道) ·
妄計最勝宗(婆羅門은 最勝이라는 說) ·
妄計淸淨宗(現法涅槃外道 등의 說) ·
妄計吉祥宗(日月星宿 등 祭祀하는 것을 吉祥이라고 하는 曆算外道의 說)[義林章 권一, 瑜伽論 권六 · 七의 說].
[4] 二十外道. 外道小乘涅槃論의 說로 이중에는 小乘불교도 포함된다. 小乘外道論師 · 方論師 · 風論師 · 韋陀論師 · 伊賖那論師 · 裸形外道論師 · 毘世師論師 · 苦行論師 · 女人眷屬論師 · 行苦行論師 · 淨眼論師 · 摩陀羅論師 · 尼犍子論師 · 僧佉論師 · 摩醯首羅論師 · 無因論師 · 時論師 · 服水論師 · 口力論師 · 本生安茶論師.
[5] 30종外道. 時 · 地等變化 · 瑜伽我 · 建立淨 · 不建立無淨 · 自在天 · 流出 · 尊貴 · 自然 · 內我 · 人量 · 遍嚴 · 壽 · 補特伽羅 · 識 · 아賴耶 · 智者 · 見者 · 能執 · 所執 · 內知 · 外知 · 社怛梵 · 意生 · 儒童 · 常定生 · 聲顯 · 聲生 · 非聲 및 總我의 各外道(大日經 권一의 說).
[6] 기타. 順世外道 · 出家外道(出家한 外道를 말함. 在俗外道의 對稱) · 塗灰外道(獸主外道) · 附佛法外道(불교에 依託하여 있으면서 邪義를 주장하는 자) · 迦婆離(結鬘)外道 등이 있다.
[7] 六十二見. 梵網經의 說에서는 다음과 같은 外道의 邪見이 있는 것으로 說하고 있다.
過去에 관한 說(本劫本見) 18종
自我와 세계의 常住論 4종
自我와 세계의 一分常住論 4종
世界의 邊 · 無邊論 4종
詭辯論(異問異答論) 4종
自我와 세계의 無因論 2종
未來에 관한 說(末劫末見) 44종
死後有想論 16종
死後無想論 8종
死後非有想非無想論 8종
斷滅論 7종
現在生涅槃論 5종
他에 大品般若經의 說, 涅槃經의 說, 法華文句記의 說 등 數種의 세는 방법이 있다.
[8] 95종 外道. 96종 外道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六師外道에 각 15인의 제자가 있기 때문에 90인이 되고, 여기에 六師를 보태어 96종으로 하는 등, 그 셈하는 방법에 異說이 많다.
비담(毘曇) : 阿毘曇의 준말로 無比法·對法이라 번역한다. 3藏 가운데 論藏의 총칭으로, 보통으로는 小乘薩婆多部의 論藏인 <發智論> <六足論> <波沙論> <俱舍論> 등을 말한다.
성실(成實) : 성실론, 성실종, 또는 성실사를 말함.
성실론(成實論) : 16권(혹은 20권). 인도의 訶梨跋摩가 저술하고, 姚秦의 구마라집이 번역함. 성실종의 근본 성전. 1부 5편 202장으로 되었음. 우주의 모든 현상은 假로 존재한 것이므로 결국 空에 돌아가는 것이라고 論定하고, 이 觀으로 말미암아 四諦의 실다운 이치를 체달한다 하며, 八聖道에 의하여 온갖 번뇌를 멸하고 無餘涅槃의 경지에 이른다고 말함. 양나라의 法雲·智藏·慧敏의 3대법사는 대승론이라 하고, 智義·吉藏은 소승론이라 하고, 道璿·元照는 分通大乘論이라 함.
대집(大執) : 대승의 포로가 됨.
현정(顯正) : 올바른 法理를 나타내어 보임. 또는 申正·立正이라 함.
인정(人正) : 인(人)→범어 manusya의 번역. 摩㝹沙 · 末奴沙 · 摩奴闍 · 摩㝹史也라 音譯한다. 五趣의 하나. 六道의 하나. 十界의 하나. 人間 · 人趣 · 人道 · 人界라고도 한다. 이 地上에 있어서 인간으로서의 有情의 생존, 혹은 인간으로서 생존하고 있는 有情, 혹은 人間으로서의 有情의 세계를 말한다.
법정(法正) : 법(法)→범어 dharma의 번역. 達磨 · 䭾摩 · 曇摩 · 曇無 · 曇은 그 음역이다. 任持(또는 能持)自性 · 軌生物解의 두 뜻을 갖는다고 한다. 곧 그 자체의 自性(獨自의 本性)을 간직하여 改變하지 않고 軌範이 되어서, 사람으로 하여금 일정한 事物의 이해를 낳게 하는 근거로 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法은 任持自性의 의미로 본다면 自性으로 존재하고 있는 일체의「存在」를 가리키고, 軌生物解의 의미에서 말하면 認識의 표준이 되는 규범 · 法 · 方則 · 道理 · 敎理 · 敎說 · 眞理 · 善(行)을 가리키는 것으로 된다.
① 色法 · 心法 · 一切諸法 · 萬法 등이라고 하는 法은 모든 존재를 의미한다. 또 諸法을 有爲 · 無爲, 色 · 心, 染 · 淨 등의 二法으로 나누고, 혹은 三法 · 四法 등으로 나누는 경우의 法語도 존재를 의미한다. ........
용수(龍樹) : 인도의 대승불교를 연구하여 그 기초를 확립하여 놓아 대승불교를 크게 선양하였다. 인도 제 14조이며, 空宗의 시조이다. 불멸 후 6~7 백년경(B.C. 2~세기)의 남인도(혹은 서인도)사람. 龍猛· 龍勝이라 번역.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일찍이 4베다·천문·지리 등 모든 학문에 능통했다. 처음에는 인생의 향락은 정욕을 만족하는 데 있다 하고, 두 벗과 함께 주색에 몸을 맡겼다. 그리고 왕궁에 출입하면서 궁녀들과 통하다가 일이 탄로되어 두 친구는 사형되고, 그는 위험을 간신히 면하였다. 욕락은 괴로움의 근본이 되는 것을 깨닫고 절에 가서 가비마라에게서 소승 3藏을 배우다가 만족하지 못하여 설산지방으로 갔다. 거기서 늙은 비구를 만나 대승 경전을 구하여 깊은 뜻을 잘 통달하였다. 그의 주요저서에는 中論 4권, 大智度論 100권, 十住毘婆沙論 17권, 十二門論 1권, 廻諍論, 라트나바리 등이 있다. 특히 中論에서 확립된 空의 사상은 그 이후의 모든 불교사상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 즉, 實體(自性)을 세우고, 실체적인 원리를 想定하기 위한 바람직한 자세를 그는 철두철미한 비판을 가하면서, 일체의 것이 다른 것과의 의존·相對·相關·相依의 관계(緣起) 위에서만이 비로소 성립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그 상관 관계는 긍정적·부정적·모순적 상태의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며, 어느 것에서도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으며 空의 상태에 이를 수 없는 반면, 궁극의 절대적 입장(眞諦·第一義諦)은 우리들의 일상적 진리(俗諦·世俗諦)에 의해서만이 성립할 수 있으며, 이를 초월해서는 논의의 대상이나 표현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空의 입장에서 본다면 어느 한쪽에 치우침이 없는 중도적 입장에 있었기 때문에 후세에 그의 학파를 中觀派라고 불렀다. 용수는 또 용궁에 들어가 화엄경을 가져 왔다고 하며, 남천축의 철탑을 열고 금강정경을 얻었다 한다. 그는 馬鳴의 뒤에 출세하여 대승법문을 성대히 선양하니, 대승불교가 그로부터 발흥하였으므로 후세에는 그를 제 2의 석가, 8宗의 조사 등으로 일컬었다.
대승(大乘) : 摩訶衍那·摩訶衍이라 음역하며, 上衍, 上乘이라고도 한다. 乘은 타는 것이란 뜻이며, 迷惑의 此岸으로부터 깨달음의 彼岸에 이르는 敎法을 가리킨다.
① 阿含經에서는 불타의 가르침을 존중하여 大乘이라 했다.
② 대승·소승이란 말은 釋尊의 入滅 후 그 言行의 傳承을 중심으로 불교(原始佛敎)로부터 그 註釋的 硏究의 불교(部派불교)가 전개되는 것과 동시에 따로 보살도를 說하는 불교(대승불교)가 또한 발달되었는데, 이때에 후자의 敎徒가 자신들이 받들고 있는 敎를 殊勝한 것으로 규정하여 대승이라 불렀으며, 전자를 낮추어서 小乘이라 이름하게 된데서 비롯되었다. 그리고 전자의 敎徒로부터는 대승은 부처님이 말씀한 敎가 아니라고 非難하는 이른바 大乘非佛說이 주장되었다. 그러나 思想史的으로 보면 小乘은 大乘敎學의 기초 내지 前驅라고 하는 의미를 갖는다.
③ 소승은 자신의 解脫만을 목적으로 하는 自調自度(調는 번뇌를 制伏하여 없애는 것. 度는 깨달음에 이르는 것)의 聲聞·緣覺의 道이며, 대승은 涅槃의 적극적인 의미를 인정하여 自利·利他의 兩面을 다 갖춘 보살의 도라 할 수 있다.
④ 小乘에는 반야경·四分律·五分律 등의 律, 婆沙論·六足論·發智論·俱舍論·成實論 등이 있고, 대승에는 般若經·法華經·華嚴經 등의 經과 中論·攝大乘論·大乘起信論 등의 論이 있다.
⑤ 대승이 殊勝한 이유로서, 菩薩善戒經 卷七등에서는 七을, 世親의 攝大乘論釋 卷六에서는 十一을 들고 있는데, 보살선계경에서 말하는 七大乘이란 十二部經 가운데 最上의 경인 毘佛略의 敎에 기초를 두고(法大), 菩提心을 일으켜서(心大), 그 교를 이해하고(解大), 청정한 마음으로(淨大), 보살의 복덕과 지혜가 몸에 나타나며(莊嚴大), 三大阿僧祗劫의 수행을 쌓아(時大), 마침내 相好를 갖추며 無上菩提를 얻는것(具足大)이라고 했다.
⑥ 印度의 대승에는 대략 中觀·瑜伽의 2系統과 밀교가 있다. .....
실리(實理) : 권리(權理)의 반대. 中道의 이(理). 현상 그대로가 본래 中道라고 하는 진리.
팔부중도(八不中道) : 八不正觀 · 八不中觀이라고도 함. 삼론종에서 生 · 滅 · 去 · 來 · 一 · 異 · 斷 · 常 등 8종의 미한 고집을 부정하는 데서 나타나는 不可得한 중도의 이치. 중도를 말함에 있어 중생들의 미하고 삿된 견해를 없애고, 다시 따로 중도라는 어떤 법이 있다고 하는 다른 이의 주장에 대하여, 삼론종에서는 삿된 것을 파하는 외에 정법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미하고 삿된 견해를 끝까지 없애는 그것(8不)이 곧 무어라 말할 수 없는 팔불중도의 이치라 하며, 따라서 팔불중도의 참뜻을 알면 일체의 미하고 삿된 견해가 없어질 뿐만 아니라, 팔불중도라는 생각까지도 있지 않다는 것.
요체(要諦) : ① 중요한 점. ② 중요한 깨달음.(국어사전)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도(成道) (0) | 2018.04.22 |
---|---|
숙세(宿世) (0) | 2018.04.22 |
소승불교(小乘佛敎)-6 (0) | 2018.04.22 |
소승불교(小乘佛敎)-5 (0) | 2018.04.22 |
소승불교(小乘佛敎)-4 (0) | 2018.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