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초지(初地)

근와(槿瓦) 2018. 4. 11. 00:32

초지(初地)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歡喜地(淨心地. 慧遠大乘義章 卷十四에서 해석하고 있는 자리로서, 처음으로 聖者가 되어서 크게 기쁜 마음이 일어나는 자리임). 보살이 成佛하기까지 52階位가 있는 가운데 제41. 十地 중 첫째 階位.

 

참고

십지(十地) : 는 범bhumi의 번역으로, 住處, 혹은 住持, 生成의 뜻.

그 자리()를 사는 집으로 하고, 또 그 자리에 있어서의 을 보존하고 육성하는 것에 의해서, 를 낳게 됨을 말한다.

乾慧등의 十地. 大品般若經 6, 17 등에 해 있고 三乘에 공통된 것이기 때문에 三乘共十地, 共地라 하고, 천태종에서는 通敎十地라고 한다. 대품반야경 권에는, 乾慧 내지 十地에 대해, 보살은 方便力에 의해서 六波羅蜜을 행하고, 四念處 내지 十八不共法을 차례로 행해서, 前九地를 지나 佛地에 이른다고 하여, 十地는 보살이 갖추지 않으면 안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말하는 佛地라 함은 佛果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고, 보살이 과 같이 十八不共法 등을 행하는 것을 말한다. 智度論 75에는, 十地를 각기 三乘階位에 배당하고 또 智顗法華玄義 四下, 摩訶止觀 六上에도 이 뜻을 받아서 해석하고 있다.

거기에 의하면,

(1) 乾慧地(過滅淨地 · 寂然雜見現入地 · 超淨觀地 · 見淨地 · 淨觀地). 乾慧라 함은 진리를 하려고 하는 지혜는 있더라도 아직 禪定의 물에 윤택하지 못한 것을 의미하며, 이 자리는 聲聞三賢位, 보살의 初發心에서부터 順忍을 얻기 까지의 에 해당한다.

(2) 性地(種性地 · 種地). 聲聞四善根位, 보살의 順忍을 얻은 로서, 諸法實相愛着하지만 邪見을 일으키지 않고, 지혜와 禪定이 수반하는 경지이다.

(3) 八人地(第八地 · 八地). 의 뜻으로 聲聞見道十五心(八忍七智)須陀洹向, 보살의 無生法忍에 해당한다.

(4) 見地(具見地). 聲聞四果중의 初果 須陀洹果. 보살의 阿鞞跋致(不退轉)에 해당함.

(5) 薄地(柔軟地 · 微欲地). 聲聞欲界九種의 번뇌가 1, 끊어진 정도로, 須陀洹果 혹은 斯陀含果, 또 보살이 모든 번뇌를 끊어서 餘氣가 엷어()진 정도로, 阿鞞跋致 이후 아직 成佛 못한 사이의 이다.

(6) 離欲地(離貪地 · 滅婬怒癡地). 聲聞欲界의 번뇌가 없어진 로서 阿那含果, 보살은 욕심을 여의어서 五神通을 얻은 이다.

(7) 已作地(所作辨地 · 已辨地). 聲聞盡智 · 無生智를 얻은 阿羅漢果. 보살은 佛地를 성취한 이다.

(8) 辟支佛地. 因緣하여 成道한 것. 緣覺이라고도 한다.

(9) 菩薩地. 앞에 말한 乾慧地에서 離欲地까지를 가리키고, 혹은 後述하는 歡喜地에서 法雲地까지를 가리킨다고 보기도 하며, 初發心에서 金剛三昧까지, 곧 보살로서의 맨 처음에서 成道直前까지의 자리를 말하다고도 풀이한다.

(10) 佛地. 一切種智 등의 諸佛이 완전히 구비한 자리. 智度論 75에는 이 三乘共位의 보살이 無漏智에 의해서 을 다 없애고 깨달음을 여는데 대하여, 燈心初焰에 타거나 後焰에 타거나 정해지지 않은 것과 같이, 十地의 어디서 斷惑하더라도 固定적으로 정하여지지 않고, 十地가 다 서로 도와서 佛果에 이르게 한다고 하고, 이 비유를 燋炷十地라 한다.

② 歡喜 등의 十地. 舊譯의 화엄경 권二十三 이하, 新譯의 화엄경 권三十四 이하, 仁王般若經 , 合部金光明經 등에 해 있고, 보살이 수행과정에서 겪지 않으면 안되는 52중 제41에서 제50까지의 이다. 보살은 이 에 오를 적에 비로소 無漏智를 내어 佛性을 보고, 聖者가 되어 佛智를 길러 보존함과 아울러 널리 중생을 지키고 육성하기 때문에 이 地位, 十聖이라 하고, 地位에 있는 보살을 地上의 보살, 初地(初歡喜地)에 오른 보살을 登地의 보살, 그 이전의 보살을 地前의 보살, 十住 · 十行 · 十廻向地前三十心이라고 한다. 더욱 十住毘婆沙論에서는 住處의 뜻으로 삼아서, 十地十住라고 번역한다. 十地의 명칭을 新譯의 화엄경 권三十四에 의해 열거하면,

(1) 歡喜地(極喜地 · 喜地 · 悅豫地)

(2) 離垢地(無垢地 · 淨地)

(3) 發光地(明地 · 有光地 · 興光地)

(4) 焰慧地(焰地 · 增曜地 · 暉曜地)

(5) 難勝地(極難勝地)

(6) 現前地(現在地 · 目見地 · 目前地)

(7) 遠行地(深行地 · 深入地 · 深遠地 · 玄妙地)

(8) 不動地.

(9) 善慧地(善哉意地 · 善根地)

(10) 法雲地(法雨地)이고,

瓔珞本業經 에는,

(1) 鳩摩羅伽(逆流歡喜地).

(2) 須阿伽一波(道流離垢地).

(3) 須那迦(流照明地).

(4) 須陀洹(觀明炎地).

(5) 斯陀含(度障難勝地).

(6) 阿那含(薄流現前地).

(7) 阿羅漢(過三有遠行地).

(8) 阿尼羅漢(變化生不動地).

(9) 阿那訶(慧光妙善地).

(10) 阿訶羅弗(明行足法雲地)라 하고,

梵文大事에는 또 다른 十地. 十地의 해석은 한결같지는 않은데 慧遠大乘義章 十四에는,

(1) 歡喜地. 처음으로 聖者가 되어서 크게 기쁜 마음이 일어나는 자리로, 淨心地 · 聖地 · 無我地 · 證地 · 見地 · 堪忍地라고도 한다.

(2) 離垢地. 잘못을 일으켜 하고, 번뇌를 더하는 마음을 여읜 자리로, 具戒地 · 增上戒地라고도 한다.

(3) 明地. 禪定에 의해서 지혜의 빛을 얻어, 聞 · 思 · 三慧를 닦아, 진리가 밝혀지는 자리.

(4) 炎地. 前三地의 조처에 의한 見解를 여의고 지혜의 불이 번뇌의 섶()을 태우는 불꽃으로 하여, 지혜의 본체를 깨닫는 . 곧 그 깨달음에 의해서 일으키는 阿含光이 구슬의 光炎과 같은 란 뜻.

(5) 難勝地. 확실한 지혜를 얻어서 그 이상을 넘어서 올라가기가 곤란하다는 . 出世間의 지혜를 얻어서 自由自在한 방편을 가지고 구하기 어려운 중생을 구원하는 자리라고도 한다.

(6) 現前地. 般若波羅蜜을 듣고서 大智가 눈앞에 나타나는 자리.

(7) 遠行地. 無相行을 닦아서 마음의 작용이 世間을 뛰어 넘은 자리로, 方便具足地(無相方便地), 有行有開發無相住라고도 한다. 이 자리에서는 위로 구해야 할 菩提도 없고 아래로 구원할 중생도 없다고 보아, 無相寂滅에 잠겨, 수행을 할 수 없게 될 걱정이 있다. 이것을 七地沈空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이때 十方諸佛7종의 을 가지고 勸勵하기 때문에 다시 수행의 용기를 분발시켜 第八地에 나간다고 하여 이것을 七勸이라고 한다.

(8) 不動地. 無相의 지혜가 간단없이 일어나서 번뇌에 결코 움직이지 않는 로서, 色自在地 · 決定地 · 無行無開發無相住라고 한다.

(9) 善慧地. 보살이 거리낌 없는 힘으로 설법하여 利他行을 완성하므로 지혜의 작용이 자재한 , 心自在地 · 決定行地 · 無礙住라고도 한다.

(10) 法雲地. 大法身을 얻어서 自在力을 갖춘 자리로, 究竟地 · 最上住라고도 한다. 菩薩地持經 12, 3歡喜地 내지 제12最上菩薩住十地에 해당하고, 同卷十種性 등의 七地說에서는 初地第三淨心地, 2 내지 第七地가 제4行跡地, 8가 제5決定地, 9가 제6決定行地, 10佛地가 제7畢竟地에 해당한다. 初地見道(通達位), 2이상을 修道(修習位), 혹은 7및 그 이전을 有功用地, 8이상을 無功用地, 혹은 初 · 2 · 3信忍, 4 · 5 · 6順忍, 7 · 8 · 9無生忍, 10寂滅忍, 혹은 5無相修, 6 · 7無相修淨, 8 · 9無相修果, 10無相修果成. 혹은 初地願淨, 2戒淨, 3定淨, 4 · 5 · 6增上慧, 7이상은 上上出生淨이라 하고, 地前信地라고 하는데 대해서 10전체를 證地라고 하는 수도 있다.

10의 각지에 入 · 住 · 三心이 있어서 그 에 들어가서 아직 침착하지못한 때가 入心, 오래 머물러서 그 자리가 성한 때가 住心, 구경에 가까워져서 다음 자리에 접근하는 때를 出心이라고 한다. 成唯識論 에는, 十地에 있어서 순차로 施 · 戒 · 忍 · 精進 · 靜慮 · 般若 · 方便善巧 · 願 · 力 · 十波羅蜜(十勝行)을 닦아서 각기 異生性障 · 邪行障 · 闇鈍障 · 微細煩惱現行障 · 於下乘般涅槃障 · 麤相現行障 · 細相現行障 · 無相中作加行障 · 利他中不欲行障 · 於諸法中未得自在障10重障을 버리고, 각기 遍行眞如 · 最勝眞如 · 勝流眞如 · 無攝受眞如 · 類無別眞如 · 無染淨眞如 · 法無別眞如 · 不增減眞如 · 智自在所依眞如 · 業自在等所依眞如10眞如를 깨달아, 이에 의해서 번뇌 · 所知2을 굴려서 菩提 · 涅槃2를 얻는다고 하는 것 가운데 7까지의 보살은, 有漏心無漏心이 섞여 있기 때문에 分段生死 또는 變易生死를 받고, 8이상은 無漏心만이기 때문에 變易生死를 받는다고 한다. 천태종에서는 別敎 · 圓敎에 각기 10階位가 있는데, 別敎初地에 이르는 자는 1無明을 끊고 있는 점에 있어서 圓敎初住證智同等하다고 하고 이것을 初地初住證道同圓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別敎初地 이상의 보살은 다 圓敎行人이 되기 때문에, 別敎10하여 있지만, 실제로 닦는 자는 없다고 한다.

화엄종에서는 화엄경探玄記 에는 10를 해석하여, 근본으로부터 말하면, 果海不可說의 성질이고, 깨달아지는 내용으로부터 말하면 離垢眞如이며, 깨닫는 지혜로부터 말하면 根本 · 後得 · 加行三智이고 끊는 쪽으로부터 말하자면 二障을 여의는 것이고, 닦아야 할 으로부터 말하자면 修願行 내지 受位行이고, 무엇을 닦아 이루겠느냐 하면, 初地信樂行, 2戒行, 3定行, 4이상은 慧行이고, 에서 말하면, 證位阿含位이고, 에서 말하면, 初 · 2 · 3人天乘, 4 · 5 · 6 · 73, 8이상은 一乘으로, 에 붙여서 을 보이면, 10波羅蜜의 하나 하나에 해당하고, 현실의 에 붙여서 말하면, 閻淨提王 내지 摩醯首羅天王이 되어 統攝하고, 三寶하여 중생을 인도한다고 한다.

眞言宗에서는, 秘密十地한다. 大日經에는 제8와 제10, 金剛頂經에는 初地와 제10할 뿐이라고 하고, 一往顯敎에 준해서 10을 세우더라도, 密敎實義에서 말하면, 初地10高下가 없고, 初地 極果이기 때문에 初地에서 極果를 깨달아 2이상은 初地總德을 나눠서 나타낸 것이라 하여 淺略深秘2종의 해석을 더하고, 大日如來果德을 나타낸 四佛四親近16大菩薩10에 배당한다. 本有修生二面에서 풀이해서, 本有無垢10라 함은, 모든 중생이 본래 가지고 있는 菩提心의 헤아릴 수 없는 것을 暗示하는 것으로, 거기에는 高下의 차별은 없으나, 修生顯得10라 함은, 三密의 행에 의해서 三妄執을 끊고서 本有10를 나타내는 것으로 佛果에 이르기에는 아직도 一障을 끊지 않으면 안된다고 한다. 眞宗에서는 他力信心을 얻으면 반드시 부처될 것이 정해져, 기쁨이 많기 때문에 이것을 歡喜地라고 한다고 했다.

聲聞十地. 聲聞修行階位에서, 受三歸地 · 信地 · 信法地 · 內凡夫地 · 學信戒地 · 八人地 · 須陀洹地 · 斯陀含地 · 阿那含地 · 阿羅漢地10.

緣覺十地. 辟支佛十地, 支佛十地, 獨覺十地라고도 하고, 緣覺修行階位昔行具足地 · 自覺甚深十二因緣地 · 覺了四聖諦地 · 甚深利智地 · 八聖道地 · 覺了法界虛空界衆生界地 · 證寂滅地 · 六通地 ·  徹秘密地 · 習氣慚薄地10.

十地. 10의 방면으로 예찬한 것으로서, 甚深難知廣明智德地 · 淸淨身分威嚴不思議明德地 · 善明月幢寶相海藏地 · 精妙金光功德神通智德地 · 火輪威藏明德地 · 虛空內淸淨無垢焰光開相地 · 廣勝法界藏明界地 · 最淨普覺智藏能淨無垢遍無礙智通地 · 無邊億莊嚴廻向能照明地 · 毘盧遮那智海藏地10. 이상의 ③④⑤는 모두가 大乘同性經 , 여기에 의 보살의 10를 더하여 四乘十地라고도 한다.

 

보살의 52계위(菩薩五十二階位)아 래

 

십신위(十信位) : 보살의 修行階位 52가운데 처음의 十信位를 말함. 불법의 진리를 믿어 의심이 없는 지위. 信心 · 念心 · 精進心 · 慧心 · 定心 · 不退心 · 護法心 · 廻向心 · 戒心 · 願心.

  

십주(十住) : 보살의 수행 階位 52중 제11에서 제20까지를 일컬음. 10信位를 지나서 眞諦의 경지, 佛地安住할 수 있게 됐다는 뜻으로 十住라 한다.

(1) 發心住. 從假入空觀觀法을 완성하여 眞無漏智에 들어가며, 眞方便으로 十住心을 일으키며, 十信하는 圓成一心를 말한다.

(2) 治地住. 항상 空觀을 닦아서 마음이 밝고 깨끗하기가 마치 유리 속에 순금을 담은 것처럼 잘 보이는 지위, 곧 앞의 에서 닦은 妙心을 가지고 실천수행하고 다스리는 地位라는 뜻.

(3) 修行住. 前地涉知하여 두루 밝아져서 十方의 어느 곳이고 遊離接化하는데 걸림이 없으므로 萬善萬行을 만족하게 닦는 지위.

(4) 生貴住. 과 같이 의 기운을 받아 彼此冥通하므로 如來種에 들어가는 를 일컫는다.

(5) 具足方便住. 自利利他方便을 구족하는 地位로 그 相貌에 결함이 없는 .

(6) 正心住. 相貌뿐 아니라 마음 씀씀이까지 부처님과 같이 바른 .

(7) 不退住. 身心合成하는 경계에 들어 갔으므로 修行이 날마다 增長하는 地位.

(8) 童眞住. 그릇된 소견을 영원히 斷絶하고 菩提心을 길이 깨뜨리지 않으므로 佛陀十身靈相을 일시에 갖추는 지위.

(9) 法王子住. 初發心住로부터 제4生貴住에 이르기까지를 入聖胎라 하고 제5로부터 제8에 이르기까지를 長養聖胎라고 하며 이 제9住位相形을 구족하여 出胎하는 것을 일컫는다. 곧 성인의 智解가 생겨 聖位에 나아간다는 뜻.

(10) 灌頂住. 보살이 이미 佛子가 되어 佛事를 감당할만 하므로 이 지혜의 물(智水)로 정수리에 붓는 것이 마치 인도의 옛 풍속에 王子가 자라면 국왕이 손수 바닷물을 정수리에 부어 世子位에 오르게 하는 것과 같으므로 灌頂住라 한다. 十地十住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십행(十行) : 보살이 수행하는 52階位10· 10다음의 인 제21로부터 제30까지의 보살위.

10住位의 마지막인 灌頂住에서 진정한 佛子임을 印可받아 확인한 뒤 더 나아가 利他行을 완수하고자 중생교화의 실천을 위해 정진하는 地位. 歡喜行 · 饒益行 · 無瞋恨行 · 無盡行 · 離癡亂行 · 善現行 · 無着行 · 尊重行 · 善法行 · 眞實行10을 말함.

 

십회향(十廻向) : 보살이 수행하는 계위인 52중에서, 31에서 제40까지, 10행위(행위)를 마치고, 다시 지금까지 닦은 自利 · 利他의 여러 가지 행을 일체 중생을 위하여 돌려주는 동시에 이 공덕으로 佛果를 향해 나아가 오경(悟境)에 도달하려는 지위. 救護一切衆生離衆生相廻向 · 不壞廻向 · 等一切諸佛廻向 · 至一切處廻向 · 無盡功德藏廻向 · 入一切平等善根廻向 · 等隨順一切衆生廻向 · 眞如相廻向 · 無縛無着解脫廻向 · 入法界無量廻向.

 

삼현위(三賢位) : 修行階位.

小乘三賢. 열반의 證果(해탈)를 가져오는(순응)작용이 있는 有漏善根(順解脫分)修證하는 단계로서, 外凡의 자리라고도 한다. , 五停心()· 別相念住位(別相念處位) · 總相念住位(總相念處位)의 셋이 그것이다. 여기에 四善根位(內凡位)를 더하며 7方便位라 하고 見道에 들어가기 위한 준비적인 수행의 階位라고도 한다. 五停心()이란 五停心觀에 의해 · · · 我見 · 散亂心5종의 마음을 눌러서 견제하는 . 別相念住位· · · 을 개별적으로 순서있게 不淨 · · 非常 · 非我라는 自相(獨自인 모습)하고, 또한 그 어느 것도 非常 · · · 非我라는 그 共相(인 모습)하는 四念住를 닦는 . 總相念住位, 四念住의 전체가 그대로 非常 · · · 非我라고 하는 共相하는 이다. 이 중 五停心位奢摩地(마음을 가라앉히는 것. )를 성취하고 다음의 2에서는 毘鉢舍那()를 성취한다.

大乘三賢. 十地이전의 보살의 階位330의 구별이 있는 것. 또한 三十心이라고도 한다. 보통으로 瓔珞本業經 등에 기준하여 十住 · 十行 · 十廻向三階位를 여기에 해당시켜, 十信外凡位라고 하는데 대하여 內凡位라고도 한다.

 

십지(十地) : 위 십지(十地) 참조하십시오.


등각(等覺) : 51.

等正覺(두루하고 바른 보편타당성 있는 이란 뜻)을 말함. 불타를 말함. 널리 진리를 깨달아 諸佛의 깨달음의 내용이 동등하다는 뜻.

내용적으로는 불타의 깨달음과 동등하고, 실제로는 불타의 한 발 앞에 있는 자. 보살 수행의 階位 五十二位 가운데의 제51, 六種性의 제5. 等正覺(正覺과 동등한 ) · 有上士(妙覺의 불타를 無上士라고 하는데 대해, 等正覺은 아직 上位가 있기 때문) · 一生補處(현재의 一生 뒤에는 불타가 될 補處佛) · 金剛心(金剛처럼 견고한 마음으로 온갖 번뇌를 쳐부순다는 뜻)이라고도 한다. 等覺의 보살이 불타가 되기 전에, 다시 거듭하여 범부의 에 내려가서 닦는, 진리에 비추어 닦는 수행을 入重玄門이라고 한다.

淨土宗에서는, 他力信心을 얻은 이는 반드시 往生해서 불타가 될 수가 있기 때문에, 信心彌勒보살이 일으키는 等覺金剛心(불타가 되기 직전에 최후의 미혹을 소멸하는 굳은 마음)에 견주어 橫超金剛心이라고 하며, 이 세상에서 미륵과 동등한(便同彌勒) 等覺의 지위에 들어간다고 한다.

 

묘각(妙覺) : 佛陀不可思議絶妙無上正覺. 究極佛陀의 자리(天台四敎儀). 보살52. 41의 하나. 곧 보살수행 최후의 자리로 번뇌를 끊고 지혜가 원만하게 갖춰진 자리를 말함. ..........41보살이 수행하여 佛果에 이르는 동안의 階位. 10· 10· 10廻向 · 10· 妙覺.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법안장(正法眼藏)  (0) 2018.04.11
편공(偏空)  (0) 2018.04.11
칠진여(七眞如)  (0) 2018.04.11
환생(還生)  (0) 2018.04.11
진속불이(眞俗不二)  (0) 2018.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