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인지(八人地)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通敎 十地의 제3位. 人은 忍이니, 達忍한다는 뜻. 삼계의 見惑은 본래 空하다고 깨달아 8忍을 구족하는 지위를 말하니, 見道 15心의 지위. 8忍이라 하고 8智라 하지 않는 것은, 15심 가운데는 道類智의 하나가 모자라므로 8智를 구족하지 못한 까닭.
참고
통교십지(通敎十地) : 三乘共十地와 같음. 大智度論 78권에서 주장하고 있는 성문·연각·보살을 통하여 만들어진 十地로 천태종에서 通敎를 說하여 수행의 단계로 한다. (1) 乾慧地 곧 外凡. (2) 性地 곧 內凡. (3) 八人地 곧 見道十五心. (4) 見地 곧 初果. (5) 薄地 곧 一來果. (6) 離欲地 곧 不還果. (7) 已辦地 곧 阿羅漢果. (8) 支佛地 곧 緣覺地. (9) 菩薩地. (10) 佛地.
인(忍) : 忍辱·忍耐·安忍 등의 뜻. 다른 侮辱惱害 등을 받아도 참고 견디어 성내지 않고, 스스로의 괴로움을 만나도 마음을 움직이지 않고, 진리를 깨달아서 認證하고, 理위에 마음을 편안히 하는 것. 俱舍論光記 卷二十六에는, 忍에도 無瞋·精進·信·慧의 각 心所(마음의 작용)를 體로 하는 4種이 있다고 했다.
① 二忍.
(1) 生忍과 法忍. 智度論 卷六에는, 중생의 박해나 천대를 받더라도 그러한 違順의 境(마음에 거스리는 대상과 마음에 흡족한 대상)에 걸리지 않고 참으며, 또 중생이 본래 空한 줄을 알아 邪見에 떨어지지 않는 것을 生忍(衆生忍), 온갖 것이 空이며 實相이라고 하는 진리를 사무쳐 마음을 편안히 하여 움직이지 않는 것을 法忍(無生法忍)이라 한다. 단 同論 卷十四 이하에서는 의미를 다소 달리하여, 중생의 박해나 천대에 대해서 인내하는 것을 生忍, 心法(곧 瞋恚憂愁 등 마음에 속하는 것)·非心法(寒暑風雨나 飢渴老病死등 마음에 속하지 않는 것)에 대해 인내하는 것을 法忍이라 했다.
(2) 世間忍(초심의 보살이 世間의 苦樂違順의 일을 만나서 인내하는 有相·有漏의 安忍)과 出世間忍(큰 보살이 法性의 理에 安住하여 자재로히 가지가지의 작용을 나타내고, 특히 아무것에도 집착하는 바가 없는 無相·無漏의 安忍)[地藏十論經 권九 福田相品].
② 三忍.
(1) 忍辱波羅蜜의 3종. 耐怨害忍(다른 怨憎惱害 등을 받아도 堪忍한다)·安受苦忍(질병이나 天災 등의 괴로움에 핍박되어도 감내한다)·諦察法忍(觀察法忍이라고도 한다. 諸法이 不生不滅이라고 하는 진리를 밝게 인정하여 마음에 妄動이 없음)을 말하고, 뒤의 1은 앞의 2의 의거할 바가 된다(世親의 攝大乘論釋 권7).
(2) 三法忍. 法理를 깨달아서 認證하고, 마음을 편안히 하는 것의 3종. 音響忍(隨順音聲忍이라고도 한다. 불타의 설법 음성을 듣고 諸法의 道理를 알아서 진리에 安住하는 것)·柔順忍(思惟隨順忍이라고도 한다. 스스로 思惟를 돌리어, 諸法의 진리를 곧바로 法에 安住하는 것)·無生法忍(修習無生忍이라고도 한다. 相을 여의고 곧바로 法의 진리에 맞추어 安住하는 것)을 말한다(無量壽經 卷上, 月燈三昧經 卷二). 이 三法忍을 얻는 것을 보살의 階位에 배속함에 古來諸說이 있다. 곧 法位는 仁王經의 五忍중 前三忍을 배속하고, 慧遠은 똑같이 중간의 三忍에 배속하고, 憬興은 똑같이 第一伏忍의 三位로 하는 등이 그것. 특히 憬興은, 무량수경의 三法忍은 極樂의 見樹의 益에 대해서 說하기 때문에, 그것은 空과 다르지 않은 有, 有와 다르지 않은 空, 四句를 絶하는 것이라고 하는 세가지 法理에 安住하는 것이라고 했다.
(3) 喜·悟·信의 三忍. 阿彌陀佛을 觀하고, 혹은 本願을 믿어서 얻는 이익인 無生法忍의 三名. 善導의 觀經疏序分義에는, 經에 說한 「得無生法忍」을 풀이하여 三忍의 이름을 들고 十信位의 보살이 얻는 忍이며 解行이상의 忍은 아니라고 했다. 이에 대해서 良忠은 十信位에서 얻기 때문에 信忍, 그때 환희하여 大悟하기 때문에 喜忍·悟忍이라 한다고 했으며, 證空은 他力觀門을 領解하는 것을 無生忍이라 하고, 그것은 本願을 믿어서 얻는 이익이기 때문에 信忍이라 한다고 했다.
(4) 천태종에서는 通敎의 三乘 共히 十地의 제1乾慧地의 보살을 伏忍, 제2性地의 보살을 柔順忍, 제3八人地·제4見地의 보살을 無生忍이라 하여 이것을 三忍이라 한다.
③ 四忍. 無生法忍(諸法의 自性이 空寂하여 本來無生이라고 忍可함)·無滅忍(諸法이 본래 不生하여 無滅이라고 忍可함)·因緣忍(諸法은 因緣에 의해서 생긴 것으로 본래 無自性이라고 인가함)·無住忍(諸法은 본래 마음을 머물러 집착할 바가 아니라고 인가함)[思益梵天所問經 卷一].
④ 五忍. 보살이 法理를 알아서 마음을 편안히 하는 정도에 의해서 세운 階位. 伏忍(번뇌를 눌러서 작용 못하게 하나 아직 斷滅하지 않은 地前의 三賢位 곧 十住·十行·十廻向)·信忍(無漏의 믿음을 얻은 初·二·三地)·順忍(理를 따라 無生의 果에 향하는 四·五·六地)·無生忍(諸法不生의 理를 알아서 安住한 七·八·九地)·寂滅忍(모든 惑을 끊어서 寂靜에 安住한 第十地 및 佛果)[仁王般若經 卷上]. 특히 앞의 4忍에 각각 상·중·하, 뒤의 一忍에 상·하가 있기 때문에 十四忍이 된다.
⑤ 六忍. 六忍法이라고도 한다. 보살의 階位에 應한 6종의 法忍. 信忍(일체법의 空을 믿은 忍)·法忍(일체법의 假를 아는 忍)·修忍(中觀을 닦아서 일체법의 事와 理가 融合하는 것을 안 忍)·正忍(바르게 中道의 理를 깨달은 忍)·無垢忍(번뇌의 더러움 없는 淸淨心을 信證한 忍)·一切智忍(一切智를 얻어서 中道의 法을 忍可한 최상의 忍)[瓔珞本業經 卷上].
⑥ 十忍.
(1) 보살이 진리를 감내해서 얻는 10종의 安住心. 隨順音聲心·順忍·無生法忍·如幻忍·如焰忍·如夢忍·如響忍·如雷忍·如化忍·如虛空忍[舊譯 화엄경 卷二十八의 十忍品].
(2) 보살의 10종의 忍受行. 內忍·外忍·法忍·隨佛敎忍·無方所忍·修處處忍·非所爲忍·不逼惱忍·非心忍·誓願忍[寶雲經 卷一].
삼계(三界) : 중생이 생사에 流轉하는 迷의 세계. 곧 有情의 경계를 셋으로 나눈 것. 生死輪廻하는 迷惑의 生存界(즉 有)의 분류이므로 三有生死라고도 하고 단순이 三有라고도 한다. 즉 欲界(欲有) · 色界(色有) · 無色界(無色有)의 셋을 말한다. 그 중에서 색계 · 무색계는 욕계보다 위에 있으므로 上二界 또는 上界라 한다(단 欲界 중의 六欲天까지도 포함한 天上界 전체를 가리켜서 上界라고 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 인간계를 下界라고도 한다). 三界는 끝이 없어 大海와 같은 迷 · 苦의 영역이므로, 苦界 · 苦海라고 한다.
삼계는 다시 여러 세계로 각각 세분되며 그 가운데 욕계는 지옥 · 아귀 · 축생의 3惡趣(아수라를 더한 4惡趣)와 天 · 人의 五(六)趣로 분류된다. 欲界의 하늘은 여섯이 있으므로 六欲天이라 한다. 색계는 初禪天에서 제 3禪天까지는 각각 3天이 있고 제四禪天은 九天(無想天을 제하고 八天이라고도 한다)이므로 色界 18天이라고 한다. 그 제四禪天 가운데 제5淨居天을 하나로 하고, 거기에 4洲의 4, 4惡趣(지옥 · 아귀 · 축생 · 아수라)의 4, 6欲天의 6, 梵天의 1, 無想天의 1, 四禪天의 4, 四無色天의 4를 합하여 二十五有라 한다. 여기에 淨居天을 5天(無煩 · 無熱 · 善現 · 善見 · 色究竟)으로 나누어 二十九有라고도 한다. 또한 欲界를 합하여 1地,
色界는 初禪天에서 제4禪天까지 4地, 無色界는 空無邊處天에서 非想非非想處天까지 4地로 하여 이것을 三界 九地라 한다.
견혹(見惑) : 惑은 마음의 迷惑, 곧 번뇌의 별명이며, 또한 見惑이란 것은 見道에 의해 消滅되는 惑이란 뜻이고, 修惑(思惑이라고도 한다)은 修道에 의해 消滅해 없어지는 惑이다. 俱舍宗에서는 四諦의 진리(즉, 佛敎의 진리)를 알지 못함으로 眞理를 모르는 惑을 見惑, 現象的인 사물에 집착하고 迷한 迷事의 惑을 修惑이라 했으며, 唯識宗에서는 邪道의 이단자가 邪敎 등의 誘導에 의해, 또는 마음으로 생각하고 분별함을 따라 일으키는 후천적인 번뇌(分別起)를 見惑, 태어남과 동시에 저절로 생기는 선천적인 번뇌(俱生起)를 修惑이라 한다고 했다. 또한 天台宗에서는 見 · 思의 二惑은 空觀에 의해 끊어지는 번뇌이므로 塵沙惑 · 無明惑과 구별했으며 합해서 三惑이라 했다. 그 가운데 見 · 思의 惑은 모두 三界안의 사물에 의해 상대적으로 일어나고,
三界의 生死(즉, 迷的 生存)를 초래하는 것이므로 界內의 惑이라 했고, 三乘이 공통으로 끊지 않으면 안되는 惑이므로 通惑이라 한다.
① 俱舍宗에서는 見惑에 八十八이 있다고 하여 見惑 八十八使(使 : 번뇌의 다른 이름)라 한다. 즉, 見道함으로 없어지는 근본번뇌는, 五利使(身見 · 邊見 · 邪見 · 見取見 · 戒禁取見)와 五鈍使(貪 · 瞋 · 癡 · 慢 · 疑)이지만, 이것을 각각 四諦에 맞춰, 三界에 해당시킬 때 欲界에 三十二, 色界 · 無色界에 各 二十八이 되므로 합하여 八十八이 된다. 또한 修惑에 八十一이 있다고 하여, 修惑 八十一品이라 했으니, 곧 修道에 의해 없어질 근본번뇌로, 欲界에서는 貪 · 瞋 · 癡 · 慢, 色界 · 無色界에서는 각각 貪 · 癡 · 慢의 十種이지만 이것들을 각각 일괄하여, 九地에 配對하고, 다시 각각 번뇌의 강약에 따라 上上品에서 下下品까지의 九種으로 나누어 八十一品으로 한 것이다. 見惑의 八十八使와 修惑의 十種을 합하여 九十八隨眠이라 한다.
② 唯識宗에서는 見惑을 百十二, 修惑을 十六으로 나누고 합하여 百二十八의 근본번뇌를 세운다.
본래공(本來空) : 萬有의 諸法은 본래부터 그 實體가 없는 것으로 空하다는 원리.
팔인(八忍) : 忍은 忍可의 뜻이며 智가 생기는 因. 見道位에 들어가서 생기는 智의 앞자리. 그 理法을 확실히 인정하고 안 無漏心을 말한다. 苦法忍·苦類忍·集法忍·集類忍·滅法忍·滅類忍·道法忍·道類忍을 칭한다. 8智는 번뇌를 끊어버린 자리이다. 「구사론」의 교학에서는 見道位에서 無漏의 8忍을 얻는다고 하며 四諦에 대해서 말한다. (1) 苦法忍. 욕계의 苦諦를 觀하여 생기는 무루심. (2) 苦類忍. 색계·무색계의 苦諦를 관하여 생기는 무루심. (3) 集法忍. 욕계의 集諦를 관하여 생긴 것. (4) 集類忍. 색계·무색계의 集諦를 관하여 생긴 것. (5) 滅法忍. 욕계의 滅諦를 관하여 생긴 것. (6) 滅類忍. 색계·무색계의 멸제를 관하여 생긴 것. (7) 道法忍. 욕계의 道諦를 관하여 생긴 것. (8) 道類忍. 색계·무색계의 道諦를 관하여 생긴 것.
구족(具足) : 빠짐없이 두루 갖춤.(다음,한국어)
견도(見道) : 修行의 한 階位. 합하여 三道라고 한다. 見道는 見諦道, 見諦라고도 말하고, 비로소 無漏道를 얻어 四諦(佛敎의 眞理)를 現觀하는(明了하게 본다) 位. 따라서 見道에 도달하기 이전은 凡夫(異生)이고, 見道에 들어간 뒤는 聖者이다. 修道는 見道 뒤에 다시 구체적인 事象에 대처하여 몇 번이고 되풀이 해서 修鍊·修習하는 位. 見道와 修道를 합하여 有學道라고 하며, 이에 대해 無學道는 無學位· 無學果·無學地라고도 하고, 궁극적 최고의 깨달음에 들어가서, 이미 배울 것이 없는 位를 말한다.
小乘에서는 三賢·四善根 등의 준비적 修行(七方便)을 닦은 사람이 비로소 無漏智를 얻어 見道에 들어간다고 하며, 大乘에서는 初地 入見道라 하여 보살의 初地를 見道, 第二地 이상을 修道, 第十地와 佛果를 無學道라 하고, 密敎에서도 淨菩提心이 처음으로 생기는 자리를 見道라고 한다. 無漏智에서 道理를 명확히 가려내는 것(決斷簡擇한다)을 決擇이라 하며 見道는 決擇의 일부분이므로 決擇分이라 하고, 또 열반의 깨달음 혹은 그에 이르기 위한 聖道는 邪가 아니므로 正性이라고 하지만, 특히 見道를 正性이라 한다. 모든 聖道는 번뇌를 여의게 하므로 離生이라 하지만, 특히 見道는 異生(곧 凡夫)의 生을 여의게 하므로 離生이라 한다. 따라서 見道를 正性離生·正性決定(決定이란 반드시 열반으로 나아간다는 뜻)이라고도 한다. 見道에서 끊는 번뇌를 見道所斷(또는 見道斷, 見所斷)의 번뇌, 약하여 見惑이라고 하며, 修道에서 끊는 번뇌를 修道所斷(또는 修道斷, 修所斷)의 번뇌, 약하여 修惑이라 한다.
① 有部에서는, 見道에서 苦·集·滅·道의 四諦를 現觀하는 無漏智로써 틀림없이 見惑을 끊는다고 한다. ......
팔지(八智) : 欲界 및 上二界의 四諦를 관하는 眞智이다. 欲界의 四諦를 관하는데 네 가지인 四法智를 말하고 上二界의 四諦를 관하는데 네 가지인 四類智인 것에 여덟 가지.
(1) 苦法智는 욕계의 苦諦를 관하여 생기는 무루지.
(2) 苦類智는 색계·무색계의 고제를 관하여 고제를 관하여 무루지.
(3) 集法智는 색계·무색계의 집제를 관하여 생기는 무루지.
(4) 集類智는 색계·무색계의 집제를 관하여 생기는 무루지.
(5) 滅法智는 욕계의 멸제를 관하여 생기는 무루지.
(6) 滅類智는 색계·무색계의 멸제를 관하여 생기는 무루지.
(7) 道法智는 욕계의 도제를 관하여 생기는 무루지.
(8) 道類智는 색계·무색계의 도제를 관하여 생기는 무루지.
도류지(道類智) : 色·無色 二界의 道諦를 觀하여 얻는 지혜. 上二界의 道諦에 迷한 見惑을 끊는 지혜. 唯識說의 敎義에서는, 見道를 智로 하고, 小乘(有部) 아비달마의 敎義에서는 修道에 속한다고 한다.
八智·十六心의 하나.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