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和尙)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upadhyaya. 교우 鄔波駄耶라 음역. 烏社 · 殟社 · 和社 · 和上이라고도 한다. 親敎師 · 力生 · 依學 · 近誦이라 번역함. 본래는 아사리와 함께 수계사인 스님을 말하는 것이나, 후세에는 덕이 높은 스님을 가리키는 말이 되다.
제자를 둘 수 있는 자격이 있는 사람. 제자에게 구족계를 줄 수 있는 師를 말함. 선종에서는 수행경력이 10년 이상의 승려를 화상이라 한다.
참고
아사리(阿闍梨) : 범어 acarya의 음역. 阿舍梨 · 阿祇利 · 阿祇黎 · 阿遮利夜 · 阿遮利耶라고도 쓰고, 약하여 闍梨라고 한다. 軌範師 · 正行이라고 번역한다. 제자를 敎授하고 제자의 행위를 바르게 하여, 그 軌範이 될 수 있는 스승을 말함
① 원래 波羅門에서 제자에게 儀則을 가르치는 자를 말하고, 후에 불교 교단에서도 이것을 썼다.
아사리의 종류로서 四分律行事鈔 권上之三에는,
(1) 出家아사리(出家得度 때에 十戒를 주는 스승으로 十戒아사리라고도 한다).
(2) 受戒아사리(具足戒를 받을 때에 羯磨를 하는 스승으로 羯磨아사리라고도 한다).
(3) 敎授아사리(具足戒를 받을 때에 威儀를 敎授하는 스승으로 威儀아사리라고도 한다).
(4) 受經아사리(경전의 읽는 방법이나 意義를 가르치는 스승).
(5) 依止아사리(比丘가 師事하고 起居를 함께 해서 지도를 받는 스승)의 5종 아사리(四分律羯磨疏卷上에서는 剃髮아사리를 더하여 6종)를 든다.
慧苑音義 卷上에는 羯磨 · 威儀 · 依止 · 受經 · 十戒의 5종을 들고, 따로 西域에는 君持아사리가 있다고 하는데 君持를 범어 kundika(水甁)의 音譯으로 간주하면 密敎의 灌頂아사리를 가리키는 것 같다.
具足戒를 받으려면 三師와 七證師의 十師가 있어야 하는데, 三師라 함은 戒和尙과 羯磨아사리와 敎授아사리이며, 小乘의 受戒作法에서는 현재 受戒場에 참석하는 사람이 아니면 안된다고 하는데 대해서,
大乘 圓頓式에서는 觀普賢經에 의거하여 釋尊과 文殊와 彌勒으로서 하였다.
智度論 卷十三에는 在家者가 沙彌 · 沙彌尼가 될 때에는 和尙과 아사리를 구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고, 이 兩者를 出家의 부모에 비유한다.
또 禪宗에서는 沙彌의 得度式에 戒師와 作梵闍梨(梵唄를 외우는 아사리의 뜻)와 引請闍梨(得度하는 자의 坐作進退를 가르쳐 인도하고, 戒師를 請하여 受戒시키는 아사리의 뜻)가 參列한다.
密敎에서는 曼茶羅 및 諸尊의 印明에 통하여 傳法灌頂을 받은 자를 아사리라고 하고, 또 佛 · 菩薩을 다 아사리라고 하는 수도 있다. 특히 大日經 卷一 具緣品에는 眞言乘의 아사리가 갖추지 않으면 안되는 十三德을 說하고 있다.
② 아사리를 시중들어 공양하면 福德利益을 얻는 것이 마치 논 밭의 곡식을 내는 것과 같으므로, 아사리를 칭송하여 阿闍梨田이라 하고, 八福田의 하나로 한다.
사(師) : ① 설법하는 사람 · 가르치는 사람 · 道를 전하는 사람(俱舍論 卷一). ② 불교 이전에 덕망이 있어 제자를 지도하는 사람을 범어로 upad=hyaya라 한다. 이것을 불교에서 받아들여서 和尙이라 했다. ③ 諸天과 사람의 스승이 되는 사람. 如來의 同義語. ④ 軍師(景德傳燈錄 二十一권).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