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각승(緣覺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2因緣을 觀하여 眞空의 원리를 깨닫는 緣覺의 法. 또 그런 사람. 乘은 탈 것으로 여기서 敎法이란 뜻. 보살·獨覺과 함께 三乘의 하나. 또 獨覺과 함께 二乘의 하나.
참고
십이인연(十二因緣) : 凡夫로서의 有情의 生存이 12의 조건에 의해서 성립되어 있는 것. 또는 12支緣紀 · 12因緣 · 12因緣起 · 12因生 · 12緣生 · 12緣門이라고도 한다.
① 근본불교의 가장 기초적인 敎義로서, 원래 아함경전에 설해진 것. 12라 함은 無明 · 行 · 識 · 名色 · 六處(六入) · 觸 · 受 · 愛 · 取 · 有 · 生 · 老死이고, 이것들은 凡夫로서의 有情의 生存을 구성하는 12의 요소(곧 十二有支)이며, 이것들이「이것이 있을 때에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김으로 하여 저것이 생기며, 이것이 없을 때 저것이 없고, 이것이 멸함으로 하여 저것이 멸한다」라고 하는 相依相對的인 관계를 설하는 것이 12연기이다. 여기에 두 가지 면이 있는 것 같다.
곧 모든 것은 因과 緣에 의해서 성립되어 있는 相依的인 것이기 때문에 無常 · 苦 · 無我라고 하는 면과, 또 하나는, 凡夫로서의 인간의 괴로운 생존은 어떻게 성립되었는가(流轉門), 또 어떻게 해서 그것을 否定하고 깨달음에 이르는가(還滅門)라고 하는 것을 說하여, 有情의 生存의 가치와 意義를 문제로 하는 쪽이다. 阿含經典에서는, 12支의 緣起說 외에, 10支 · 9支 · 8支 · 7支 등의 緣起까지도 說하는데, 넓은 의미에서는 이들도 12緣起의 說에 수용해도 좋다. 雜阿含經 권12에는, 연기의 법은 부처가 세상에 나오거나 나오지 않거나를 불구하고 영원히 변하지 않는 진리로, 부처는 이것을 관하여 깨달음을 열고, 또 중생을 위하여 이 법을 開示한다고 說하고 있다. 前述한 제2의 면에 있어서의 12緣起說의 원래의 의미는 다음과 같은 것이다.
곧 自覺的인 인간의 생존(有)은 정신의 주체인 識의 활동에서 비롯되는 것이지만, 그 識의 활동은 생활경험(行)이 되어서, 도리어 그 활동의 축적에 의한 識의 내용이다. 그런데 識의 활동이라 함은, 識이 感覺器官(또는 그 기능)인 眼 · 耳 · 鼻 · 舌 · 身 · 意의 6處를 통하여 인식의 대상인 모든 心이나 物(名色)과 접촉(觸)하여, 이것을 主觀上에 感受(受)하는데 의한다. 범부에 있어서는, 識은 無明(불교진리에 대한 無自覺)을 內相으로 하고, 渴愛(구하여 마지 않는 我欲)를 外相으로 하는 것이어서, 객관적 대상에 작용하는 식의 根基的인 상은 이 渴愛에 불과하며, 또 渴愛는 발전하여 모든 것을 나의 것으로 하여 取하려고 하는 執著(取)으로 된다. 그런 까닭에 이와 같은 染汚인 識의 활동(行)에 의해서 내용지어진 識은, 그것에 相應하는 生 · 老死 등에 의해서 대표격이 된 人間苦, 無常苦를 경험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에 반하여 聖者에 있어서는, 無明 및 渴愛가 없어졌기 때문에 따라서 人間苦도 없어진다.
연각(緣覺) : 범어 pratyeka-buddha(各自가 깨닫다는 뜻)의 번역. 獨覺이라고도 번역하고, 또 辟支佛로 音譯. 불타의 가르침에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道를 깨달은 이로, 寂靜한 고독을 좋아할 뿐 說法敎化하지 않는다고 하는 일종의 聖者. 聲聞과 같이 二乘의 하나. 또 聲聞 · 보살과 같이 三乘의 하나.
진공(眞空) : ① 小乘의 열반을 가리키는 말. 眞은 僞假가 아니란 뜻이며 空은 相을 여의었음을 일컫는 말. 또 中道를 모르고 空에 깨우친 空이므로 偏眞單空이라 한다. ② 非有의 有인 妙有에 대해 非空의 空을 眞空이라 하며 이것은 大乘至極의 眞空을 뜻한다. ③ 起信論의 空眞如, 또 唯識論의 二空眞如, 또 華嚴宗에서 세운 三觀 가운데 眞空觀을 가리킨다. 眞如의 實性은 중생의 迷妄의 소견으로 보는 一切相(現象)을 여읜 자리이므로 眞空이라 한다.
교법(敎法) : 부처님이 說하신 一生一代의 敎說. 곧 三藏十二部. 大 · 小乘의 大藏經 一切를 일컫는 말.
보살(菩薩) : 菩提薩埵 · 菩提索多 · 冒地薩怛縛 · 扶薩이라고도 하며, 道衆生, 覺有情, 道心衆生 등이라고 번역한다. 또한 無上菩提를 구하여, 衆生을 이익케 하고, 모든 波羅蜜의 行을 닦아서 미래에 불타의 깨달음을 열려고 하는 사람. 三乘의 하나. 十界의 하나. 보살에게는, 깨달음의 지혜를 구하는 有情(心識을 가진 자. 衆生)이라고 하는 뜻이나, 혹은 菩提(구하는 목적인 깨달음)와 薩埵(敎化의 대상으로서의 중생)를 대상으로 하여 자기도 이롭고 다른 사람도 이롭게 하는 것, 菩提를 얻을려고 하는 용맹한 큰 마음 등의 뜻이 있어, 聲聞이나 緣覺도 각기 菩提(覺智)를 구하는 점에서는 보살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므로, 특히 無上菩提를 구하는 大乘의 수행자를 摩訶薩埵(摩訶는 크다는 뜻) · 摩訶薩 또는 菩薩摩訶薩 · 菩提薩埵摩訶薩埵 · 摩訶菩提質帝薩埵 등이라고 하여, 二乘으로부터 구별하여 이것을 보살이라고 한다. 보살에는 開士(보리살타) · 大士(마하살타) · 尊人(제일살타) · 聖士(勝薩埵) · 初士(最勝薩埵) · 上人(上살타) · 無上(無上살타) · 力士(力살타) · 無雙(無等살타) · 無思議(不思議薩埵), 또 용맹 · 無上 · 佛子 · 佛持 · 大師 · 大聖 · 大商主 · 大名稱 · 大功德 · 大自在, 혹은 正士 · 始士 · 高士 · 大道心成衆生 · 法臣 · 法王子 등 많은 다른 이름이 있다. 보살에는, 在家와 出家, 鞞跋致(退轉)와 阿鞞跋致(不退), 生身(번뇌를 끊지 않은 자)과 法身(번뇌를 끊어서 六神通을 얻은 자), 生死肉身과 法性生身, 大力과 新發心, 頓悟와 漸悟, 智增과 悲增 등의 두 가지의 보살이 있다고 하고, 도 깨달아 아는 깊고 얕음에 의해서 五十二位 등의 階位를 세운다(보살의 階位).
독각(獨覺) : 범어 pratyeka-buddha의 번역으로 鉢刺醫伽佛陀라 음역한다. 홀로 수행해서 깨달음을 열려고 하는 사람. 他人의 가르침을 듣지 않고 자기독자의 방법으로 깨닫는 이. 辟支佛 · 緣覺이라고도 한다. 獨覺은 원래 佛陀가「스승에 의지하지 않고 홀로 깨달음을 얻었다」는 것을 의미한 말이기는 하지만,「緣起의 이치를 깨달은 자」라는 뜻으로 緣覺이라고도 한역한다. 또 成道하고 난 다음 베나레스에서 說法을 시작하기까지의 사이의 釋尊을 가리킨다고 한다. 大乘에서는 이 말을「他人을 위해 敎를 說하지 않는, 이기적인 者」라는 뜻으로 쓴다.
삼승(三乘) : 聲聞 · 緣覺 · 菩薩에 대한 세 가지 敎法을 말하는 것으로 乘은 짐을 실어 나르는 수레를 말한다. (1) 聲聞乘. 4諦法, 곧 佛說의 소리를 듣고, 이를 觀하여 해탈을 얻음. (2) 緣覺乘. 12因緣이니, 스승에 의하지 않고, 스스로 잎이 피고, 꽃이 지는 이치를 觀하여 깨닫는 것. (3) 菩薩乘. 6波羅蜜이니, 菩薩이 이 法에 의하여 스스로 解脫하고, 다른 이도 해탈케 하여 부처가 되는 것.
이승(二乘) : 聲聞乘(三乘의 하나. 성문 지위에 있는 이가 證果에 이르기 위하여 닦는 교법. 곧 苦·集·滅·道의 四諦法. 뒤에는 변해져서 성문의 機類도 성문승이라 하다). 緣覺乘(12因緣을 觀하여 眞空의 원리를 깨닫는 緣覺의 法. 또 그런 사람. 乘은 탈 것으로 여기서 敎法이란 뜻. 보살·獨覺과 함께 三乘의 하나. 또 獨覺과 함께 二乘의 하나).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백사병(四百四病) (0) | 2018.03.07 |
---|---|
사등(四等) (0) | 2018.03.07 |
앙굴마라(央掘魔羅) (0) | 2018.03.06 |
육식대처(肉食帶妻) (0) | 2018.03.06 |
염법(染法) (0) | 2018.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