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선(坐禪,참선)

좌선(坐禪)

근와(槿瓦) 2015. 2. 8. 02:19

좌선(坐禪)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正坐한 자세로 일체의 생각을 쉬는 것. 곧 앉아서 참선한다는 말. 禪은 禪那(범어 dhyana)의 音略으로 靜慮라 번역한다. 結跏趺坐하고 思慮分別을 쉬는 수련으로 마음을 하나의 對象에 專注하는 것을 坐禪이라고 한다. 좌선은 인도에서 석존이전부터 사용됐던 수행법으로 석존이 불교적 實踐修行法으로 발전시킨 것이니 大槃涅槃經卷中에는 出家의 法에 坐禪을 제 1로 한다고 했다. 중국에서는 禪 · 三昧를 포함해서 광의의 禪法으로 일컫는 경향이 있다. 僧叡 · 慧遠 · 智顗 등은 다 坐禪에 注力했으며, 후세에 특히 禪宗이 일어나면서는 더욱 성행했다. 禪宗의 諸淸規 등에는 坐禪의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규정하고 있다.

출전 : 불교학대사전

 

좌선의(坐禪儀)

 

(1) 좌선의(坐禪儀) 의 중요성

오늘날 참선은 대개 앉아서 하는 좌선에서 부터 시작한다. 그러므로 앉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사람을 제외하고는 좌선의 법식은 좌선학도가 불가불 배워야 할 기본과정이다. 좌선법식을 주장하는 것에 대하여 혹자는 선을 형해화(形骸化)한다고 비난한다. 그렇지만 일반적 기준으로 좌선 법식은 꼭 필요한 것이다. 이를 등한히 하면 기초건축 없이 고층건물을 세우는 거와 같다. 고층건물일수록 그 기초는 땅 속 깊이 굳게 자리잡아야 하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 불교에서 참선은 그 핵심을 이룬다. 따라서 제방에서 왕성히 선이 행해지고 또한 선에 대한 일반의 관심도 높다. 그런데도 선의 사상적 측면은 고창되어도 좌선의 법식에 대하여는 사뭇 등한해 보인다. 선은 원래 이론이나 사상이 아니라 행(行)이다. 좌선에는 화두에 못지않게 좌선의가 중요한데 이 점이 등한해 보인다. 그렇게 되면 불가불 기초가 허약할 수밖에 없고 허약한 기초에는 중도에 많은 장난(障難)이 일어난다. 그러므로 좌선을 하고자 하는 자는 모름지기 좌선의에서 힘을 얻는데서 부터 출발하라고 권하는 바이다. 좌선을 뜻하는 자는 많아도 중도에 퇴실하거나 병을 얻거나 좌선에 재미를 잃게 되거나 또는 좌선에 힘을 얻는 자가 적은 것은 그 원인의 일반이 여기에 있다고 보는 바이다.

 

(2) 한국불교의 좌선의

오늘날 우리나라의 제방선원에서는 남송(南宋) 휘종(徽宗)때 자각(慈覺)선사가 지은 좌선의를 규범으로 하여 좌선하고 있다. 이 좌선의는 간략에 치우친 감이 있기는 하나 좌선방식의 골격이 고루 갖추어져 있다. 아함경 말씀과 천태지관(天台止觀)과 백장청규(百丈淸規)를 토대로 하여 좌선의 전통적인 격식을 집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자각선사의 좌선의를 근간으로 하여 풀이하면서 좌선방식의 요점을 말하고자 한다. 자각선사의 좌선의에서는 좌선의 호흡법에 대하여서는 자세하지 않다. 그러나 좌선에 있어 호흡법은 극히 중요하므로 약간의 부연을 가하기로 한다.

 

(3) 좌선의 기본방식

자각선사 좌선의를 분석해보면 좌선의 기본법식으로서 열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는 큰 원을 발하는 것이고(誓願), 둘째는 모든 인연을 놓는 것이며(捨緣), 세째는 음식을 조절하는 것이고(調食), 네째는 잠을 조절하는 것이며(調眠), 다섯째는 처소를 선택하는 것이고(擇處), 여섯째는 몸을 조정하는 것이며(調身), 일곱째는 호흡을 고르는 것이고(調息), 여덟째는 마음을 고르는 것이며(調心), 아홉째는 마장을 판단하는 것이고(辨魔), 열째는 두호하여 지켜 나가는 것이다(護持).

 

1. 서원(誓願) : 도를 배우려는 대장부는 무엇보다 그 뜻이 커야 한다. 불보살의 서원을 자기 서원으로 삼아 수행하고 생활하는 것이 보살인 것이다. 그러므로 참선하는 자는 일체중생을 맹세코 제도하겠다는 대비심(大悲心)과 대서원(大誓願)을 일으켜야 하니, 만약 자기 일신만의 해탈을 생각한다면 이는 보살일 수 없고 따라서 바른 도는 이루지 못하는 것이다.

 

2. 사연(捨緣) : 좌선하는데는 마음에서 모든 생각과 인연을 다 놓아버려야 한다. 마음 속의 세간 잡사(雜事)나 세간의 욕망이나 원한이나 구하는 생각이나 잡념(雜念)을 가지고 있고서는 그 마음에 밝은 달(月)이 드러날 수 없는 것이다. 마땅히 마음에서 만사를 다 놓아야 한다.이와같이 마음터를 닦아야 가히 참선에 들어갈 수 있다.

 

3. 조식(調食) : 음식을 조정할 일이다. 힘을 낸다고 과식해서는 안된다. 수면을 줄이고 마음을 맑힌다고 음식을 너무 줄여도 안된다. 선은 망념을 격파하여야 한다고 음식을 함부로 먹고 육단심(肉團心)을 내려 하면 안된다. 수도인의 식기(食器)를 응량기(應量器)라 하듯이 자기 양에 맞추어서 적당히 먹어야 한다. 먹고 싶은 양의 칠부를 먹는 것이 선가식의 적량(適量)이다. 좋다고 많이 먹어서는 안된다. 거칠다고 덜 먹어서도 안된다. 음식은 이것이 몸을 부지해가는 약이다. 이 약은 도업(道業)을 이루기 위하여 먹는 것이다. 감사하는 마음으로 소중히 대하여야 한다. 오래 씹어 천천히 먹어야 한다. 먹으면서 잡념을 해서도 안된다. 생식(生食)을 하거나 담식(淡食)을 하는 것은 권할 바가 못된다. 비시식(非時食)은 하지 말아야 한다. 단식은 병을 고치기 위한 이유 외는 마땅하지 않다. 참선에서 그 양(量)을 알아서 먹는다고 한 것은 수행하는 정신 자세와 환경을 꾸며가는데 중요한 것이므로 등한히 해서는 안된다. 일즙(一汁) 일채(一菜)가 선가의 식사지만 이 식사에 무성의하면 안된다. 식사를 고루하지 않으면 필경 마음이 고르지 아니하여 공부가 한결같지 못하게 된다.

 

4. 조면(調眠) : 잠을 고르게 자야 한다. 수면을 즐기는 자는 도에 들 수 없다. 그렇다고 수면을 너무 절제하여도 공부에 지장이 된다. 수면 부족은 의식 부족과 함께 퇴타 인연이 된다. 대개 처음 선에 드는 사람들이 잠을 줄인다고 애쓰는 것을 본다. 가상한 일이나 그 방법을 알아야 한다. 우선 일정한 시간을 자는 것이다. 그리고 좌선의(坐禪儀)에 따라 정성스러이 공부해야 한다. 좌선의에 따라 좌선을 계속하면 절로 수면시간이 단축되는 법이다. 특히 좌선의 호흡법은 중요하다. 되도록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날 일이다. 저녁 참선을 오래하고 늦게 일어날 생각하면 안된다. 저녁 공부시간을 줄이더라도 아침 공부시간을 지키는 것이 좋다. 혹 피곤하다고 저녁공부를 궐하는 것은 좋지 못하다. 피곤할수록 정성들여 좌선하여야 한다. 피곤한 밤의 삼십분 참선은 다음날 심신을 가볍게 하고 두시간의 수면을 절약시켜 준다. 수면은 망념에서 온다. 결코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수행에 따라 점점 그 시간이 줄어든다. 수면시간을 지키려고 하지 말고 오히려 좌선을 성실히 하면 저절로 수면에 끄달리지 아니하고 힘찬 정진을 할 수 있다. 대개 선원에서는 연중 한두 차례는 수면을 전폐하는 용맹정진을 갖는다. 그런 때에 평소부터 좌선자세를 엄격히 한 사람이라면 일주일간의 용맹정진은 무난히 넘어갈 수 있게 된다. 수면시간이 절대적인 것이 아닌 것을 기억할 일이다. 선객중에서 눕지 아니하고 마냥 앉아 있는 용맹지사를 흔히 본다. 그리고 좌선 중에 조는 것도 흔히 본다. 졸면 좌선이 아니다. 졸면서도 좌선코자 하는 정신은 장하나 그것은 좌면(坐眠)이다. 그러므로 장좌불와(長坐不臥)한다 하여 좌면하는 것을 권할 수는 없다. 공부는 마땅히 진실하여야 한다. 잘 만큼 잤거든 오뚜기 처럼 일어나 공부를 잡두리하는 것이 구도자의 자세인 것이다.

 

5. 택처(擇處) : 장소를 가려야 한다. 자각선사는 한적하고 고요한 곳을 말하였다. 고래로 좌선은 깊은 산중이나 세간을 떠난 한적한 곳이나 세속과 경계를 달리한 사찰을 적당한 곳으로 일러왔다. 처음 좌선공부하는 사람에게는 소란스런 환경은 좋지 않다. 되도록 조용한 곳이 좋다. 그러나 조금만 좌선에 힘써본 사람이면 무리하여 고요한 곳을 찾을 것이 없는 것을 알게 된다. 중요한 것은 간절한 발심과 착실한 좌선기초의 수업이다. 스스로 좌선의가 바로 서고 뜻이 간절하면 웬만한 장소면 다 상관이 없게 된다. 좌선에는 사찰의 선방이 제일 좋다. 모든 환경이 제도적으로 보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비록 깊은 산중 절이나 선원이 아니더라도 좌선하는데는 서로 환경을 만들어주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주변에서 큰 소리나 작은 소리를 없이 하여야 한다. 좌선 중 부질없이 출입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좌선자 이외는 출입을 삼가하게 한다. 비록 일정한 시간만이라도 이렇게 고요한 환경을 가질 수 있다면 좌선장소는 어느 곳이라도 좋다. 상설선원이라면 항상 이런 여건이 보장되어 있다. 그래서 선원에 들어서면 언제나 적정(寂靜)한 분위기에 젖게 된다. 처음 참선하는 사람은 소수인이 모이는 곳보다 되도록 많은 선중(禪衆)이 법다이 수행하는 곳을 택하여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당에 여러 대중이 엄숙하게 공부하는데 참여하면 부지불식간에 많은 힘을 얻게 되고 장난 없이 공부를 몸에 익힐 수 있다. 설사 약간의 힘을 얻었다 하더라도 될 수 있는 한 회중(會衆)에 머물기를 권한다. 토굴이나 기개인의 선원보다는 회중에서 얻는 것이 참으로 많다. 무엇보다 선지식 회하에 있다는 것이 어떠한 훌륭한 환경보다 나은 것이다. 참선한다고 처소를 찾아 헤매는 사람을 흔히 보지만 처소는 처처에 있는 것이다. 산수경치나 산세지리를 관심에 두고 공부처를 찾는 자는 진정한 공부인이라 할 수 없다.

 

6. 조신(調身) : 몸을 바르게 고르어야 한다. 좌선할 때에는 우선 두꺼운 방석을 준비하고 허리띠를 늦추어 몸과 호흡을 자유스럽도록 한다. 그 다음에 방석 위에 가부좌(跏趺坐)를 한다. 가부좌는 먼저 오른쪽 발을 왼쪽 무릎 위에 겹친다. 그리고 왼쪽 발을 오른쪽 무릎 위에 포개는 것이다. 이것이 가부좌이고 또한 반가부좌도 무방하다. 반가부좌는 다만 왼발을 오른쪽발 위에 놓는 것이다. 그 다음에 바른 손을 왼 발 위에 놓고 왼손을 바른 손바닥 위에 겹치며 양쪽 엄지손가락 끝을 서로 둥글게 맞댄다. 이것이 대삼마야인(大三摩耶印) 또는 법계정인(法界定印)이다. 그 다음에 몸을 서서히 바로 일으키며 허리를 반듯이 편다. 이때에 몸을 전후로 약간 움직여서 허리를 단정히 세우고 또한 좌우로도 반복 흔들어 몸을 자연스럽고 단정하게 한다. 몸이 기울어지면 안된다. 앞으로 굽거나 뒤로 제쳐도 안된다. 어깨에 힘을 주어도 안된다. 턱은 당기고 눈은 반쯤 떠서 코끝을 보는 상태로 한다. 귀와 어깨가 서로 대하고 코와 배꼽이 서로 대하도록 반듯이 한다. 혀는 입천정에 대고 입을 가볍게 다문다. 이것이 좌선하는 자세다. 가부좌나 반가부좌일 때 익숙할 때까지는 다리가 쉬 아프다. 그럴때는 너무 참지 말고 다리를 바꿔가며 앉도록 한다. 혹 다리가 저릴 때가 있다. 이런 때는 몸을 좌우로 약간 흔들면 가벼워진다. 또한 허리에 힘을 주었을 때는 잠시 힘을 늦춘다. 공부가 순숙하여지면 어느덧 몸이 있는 줄을 모르는 경지에 이르게 되는 것이니 혹 다리나 어깨가 아파오더라도 이것은 좌선이 익을 동안 잠시 지나가는 것으로 알면 된다. 대삼마야인은 등한히 하기 쉬운데 마음을 안정시켜 정신을 집중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니 등한히 여겨서는 안된다. 손에 힘을 주지 말고 자연스럽게 인을 맺어야 한다. 참선 초학자는 눈을 감기 쉽다. 그러나 반드시 떠야 한다.옛 조사는 눈감고 참선하는 자를 흑산귀굴(黑山鬼窟)이라 하였다. 눈을 감으면 마음이 고요하고 정신집중이 되는 듯하지만 어느덧 혼침에 떨어지기 쉽다. 특히 오후나 새벽 좌선시에 눈을 감는다는 것은 잠을 청하는 거와 같다. 그러므로 좌선 중 수면에 시달릴 때는 눈을 크게 뜨도록 하는 것이 좋다. 특히 심하게 수마(睡魔)가 밀어닥쳐 오거든 어금니를 굳게 물고 두 눈을 부릅뜨며 심호흡을 깊고 느리게 십여차례 반복한다. 그리고 들이쉰 호흡을 한참동안 단전부위에 가두고 견디다가 아주 천천히 토해낸다. 이렇게 하면 대개 졸음은 사라진다. 좌선 중에 결코 졸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앉아서 졸음이 쫒아지지 않거든 일어서서 온 몸에 힘껏 힘을 주고 나서 앞서와 같이 호흡하여 보라. 사라지지 않는 잠은 없을 것이다. 좌선은 수시 포행과 겸행하는 것이 좋다. 오늘날의 우리 한국선원에서는 오십분 좌선하고 오분 내지 십분간 선방 내를 포행하는 것이 관례이지만 포행시간은 좀 더 늘여도 좋다. 포행할 때는 금강권(金剛拳)을 하고 두 손을 곧게 드리우고 서서히 걸음을 옮긴다. 이때도 앉았을 때와 같이 호흡을 한다. 걸을 때 발끝과 온 몸에 힘을 반복 주면서 서서히 걷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이 때에 좌우를 쳐다보지 말아야 한다. 오직 뚫어지게 앞만 보고 앉을 때와 같은 자세로 걷는 것이다. 포행은 바로 행선(行禪)이다. 앉았을 때와 같은 마음이 흐트러지지 않아야 한다. 포행은 피로가 풀리고 맑은정신이 돌며 몸에 활기를 준다. 따라서 용맹정진 때나 야간좌선시는 더욱 활기 있게 포행할 필요가 있다.

 

7. 조기(調氣) : 호흡을 고르게 하여야 한다. 선에는 원래로 좌법도 호흡법도 필요 없지만 좌선하는 데는 반드시 좌선의 기초법을 따라야 한다. 그렇지 아니할 때 상기(上氣) 기타 신체상의 장애가 생겨 공부에 지장을 받을 때가 많다. 먼저 몸을 3, 4회 전후좌우로 흔들어 자세를 바르게 한다. 처음에 호흡을 한번 크게 내쉰다(깊게). 다음에 서서히 호흡을 들이쉰다. 이때 생각으로 호흡이 코에서 가슴을 거쳐 배로, 다시 아랫배(배꼽 아래) 단전 부위에 이르는 것을 관한다. 호흡과 생각과 함께 힘이 단전으로 모아지게 한다. 이때에 너무 단전에로 힘을 모으려고 무리하게 힘쓸 것은 없다. 다만 요긴한 것은 생각과 힘이 호흡에서 떠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숨을 들이쉴 때에는 비교적 가볍게 하고 토할 때는 되도록 정밀하게 서서히 하도록 한다. 호흡이 단전에 이르러서는 잠시 머문다. 그리고는 다시 서서히 밖으로 내쉰다. 역시 생각은 빈틈 없이 호흡을 추적하되 단전에서 가슴으로 다시 코로 내쉬는 것을 관하여야 한다. 이렇게 한번 호흡하였을 때 「하나」하고 생각으로 센다. 한 호흡이 끝나면 다시 반복하여 열까지 세고 그 다음에는 다시 하나부터 반복한다. 호흡은 들이쉴 때보다 토할 때에 더 정성을 드리도록 한다. 호흡은 항상 코로 한다. 속도는 평상시보다 천천히 그리고 깊게 하되 무리하지 않도록 한다. 호흡이 순숙해지면 자연히 미세하고 깊은 호흡이 되는 법이다. 호흡은 거칠면 안된다. 서두르면 안된다. 모든 생각을 놓아버리고 하여야 한다. 몸에서 기운을 풀고 바른자세(특히 허리를 펼 것)와 편안한 마음으로 정성스럽게 하여야 한다.이상이 수식관(數息觀)의 기본 요령이다. 수식관이 익숙해지면 수는 헤아리지 말고 다만 호흡과정만을 관하도록 한다. 호흡 기초가 다져지면 공부에 큰 조도가 된다. 몸에서 병을 물리치고 수면이 단축되고 심신이 경쾌하여지며 정신 집중력이 강해지고 의지에 의한 심신 통제력이 강화된다. 그리고 삼매력을 키우는 터전이 굳어진다. 수식관은 반드시 참선한 선각자의 지도하에서 행하여야 할 것을 거듭 말해둔다. 좌선기초가 익어지면 반드시 화두를 배워야 하므로 더욱 그렇다.

 

호흡하는데 주의할 몇가지

 

① 호흡하는 속도

호흡속도를 처음부터 느리게 하려고 힘쓸 것 없다. 처음에는 다만 자연스러운 호흡에서 의식적 호흡을 하면서 평상시보다 약간 깊고 느리고 미세하게 하면 된다.

 

호흡이 익어감에 따라 더욱 미세하여지고 깊어지며 따라서 속도도 느려지게 마련이다. 들이쉴때는 가볍게 내쉴때는 비교적 느리게 한다. 참선 이외의 호흡법에서는 느리고 미세한 호흡을 강조하나 참선에서는 그보다 자연스러운 호흡에서 서서히 의식적 호흡으로 향하도록 하고 성급하게 느린 호흡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속도는 사람마다 다르게 된다.

 

② 호흡을 들이쉬고 머무는 정도

호흡을 가볍게 들이쉬고 잠시 머무는데 이 머무는 시간을 오래 하려고 힘쓰는 사람이 흔히 있다. 또한 그런 호흡법도 있는 것이다. 이것도 무리하지 않도록 짧은 시간에서 시작하여 자연스럽게 서서히 시간이 늘어나게 하는 것이 좋다. 무리하게 긴 시간 머무르면 호흡이 도리어 거칠어지기 쉽다. 오래 머무는 것을 주장하는

호흡법은 좌선에서는 취하지 않는다.

 

③ 무리하게 배에 힘주지 마라

호흡을 하복부 단전으로 하려고 하면 저절로 호흡을 시작하는 순간부터 아랫배에 힘이 가게 마련이다. 생각이 호흡을 추적하면서 단전으로 진행함을 따라 배에 힘도 서서히 더해 간다. 호흡이 단전에 이르러서 호흡을 잠시 동안 멈추게 되면 배에 힘이 가중된다. 이와같이 자연스러운 호흡에서 배에 모아지는 힘은 좋은 것

이다. 그러나 호흡을 무리하게 오래 머물게 하고자 하여 배에 힘을 주거나 또는 단전의 힘을 기른다 하여 의식적으로 과하게 힘을 주면 여러가지 위험이 따른다.참선에서는 무리하게 배에 힘주는 것을 취하지 않는다.

 

④ 호흡은 앉아서만 하는가

호흡은 앉아서 시작한다. 앉아서 하여야 힘을 얻기 쉽다. 그러나 차차 익어감에 따라 서서 하기도 하고 좀더 익숙하여지면 걸어다니면서도 하고 누워서도 할 수 있게 된다. 호흡은 앉아서 시작하여 걷고 눕고 하는 어느 동작에서도 한결같이 되도록 확충하여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⑤ 삼매가 현전하기를 기다리지 마라

좌선에 있어 호흡법은 이것이 선을 하는데 조도로서 하는 것뿐이다. 그런데 개중에는 호흡으로 어떤 삼매의 힘이나 신기한 현상을 바라는 사람이 있다. 삼매에 들고 망념이 끊어져 의식차원이 높아지는 것은 공부에 따른 자연적 결과이다. 그런데 호흡하면서 이러한 현상을 기다린다는 것은 도리어 공부의 근본을 망각한 것

이 되고 망념을 일으키거나 속효심을 내고 치구심을 내어 참선하는 기본자세가 어긋나게 된다. 주의할 일이다. 참선에 있어 호흡은 언제까지나 조도 방편이다. 호흡을 목적으로 삼고 다시 구하는 것이 있다면 외도의 소견이다.

 

⑥ 호흡하는 마음상태

앞서 말하여 온 바에 따라 여법하게 자세를 바로하고 호흡을 바로하여 나아가면 저절로 마음이 고루어 진다. 번뇌가 쉬고, 마음이 밝고, 경쾌하게 된다. 수식관을 하는 중 호흡하는 수효를 세는 것을 멈추고 오직 생각으로 호흡을 함께 하여가는 경우에 이르러서는 그 마음은 사뭇 맑고 담담해 간다. 이런 때 담담하다는 생각이나, 맑다 하는 생각이나, 고요하다는 생각이 든다면 이것은 바로 망념이다. 오직 호흡을 정밀히 관하여 망념이 쉬게 하여야 한다. 고요하고 말끔한 정신끼 있는 마음상태, 이것이 좌선하는 마음상태다. 좌선규식이 자리가 잡히면 반드시 선지식의 지도를 받아야 한다. 화두를 들어 마음을 잡두리해 나아가면 자성을 깨치게 될 것이며, 설사 화두가 아니더라도 선지식의 바른 지도를 받아 말끔한 정신끼(惺)와 고요(寂)를 함께 닦아가면(等持) 대도의 문이 열리게 된다.

 

⑦ 좌선에서 일어날 때

자각선사의 좌선의에 이르기를 「만약 좌선하다가 일어나고자 하면 몸을 천천히 움직여서 평온하게 일어나라. 결코 갑작스레 움직이지 마라. 정에서 나온 뒤에는 항상 방편을 지어서 정력을 호지하기를 어린 아기를 다루듯이 하라. 그러면 정력을 쉽게 이룰 것이다.」하였는데 이것을 올바로 행하자면 무엇보다 호흡을 정밀히 하는 기본적 좌법이 몸에 배어야 하는 것이다. 좌선에서 일어날 때는 먼저 수인(手印)을 풀어 무릎 위에 놓고 호흡을 크게 3, 4회 토한 다음 몸을 좌우로 서서히 움직인다. 그리고 가부좌한 다리를 일으켜 세워 몸 자세를 편하게 하고 조용히 일어선다.

 

⑧ 조심(調心)

마음을 고른다. 이미 몸이 안정되고 호흡이 고르게 되면 저절로 번뇌가 끊어져 맑은 마음이 드러나게 된다. 이때에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일체 생각을 하면 안된다. 도 깨치기를 바란다거나, 성현이 감응하기를 기다린다거나, 또는 이것이 좋은 공부다 하는 분별심을 내어서는 안된다. 도무지 일체 생각을 말고 오직 공부

를 지어갈 줄만 알아야 한다. 이것이 좌선의에 있어 마지막 과정이다. 마땅히 선지식의 지시를 받아 공부를 지어가되 결코 그밖에 생각이 있어서는 안된다. 자각선사는 말하기를 「이와 같이 오래오래 지어가 모든 반연을 잊으면 저절로 한쪽(一片)을 이룰 것이니 이것이 좌선의 요긴한 기술이다. 생각컨대 좌선은 이 것이

안락법문(安樂法門)인데 사람들이 도리어 병을 얻는 것을 흔히 보니 그 원인은 대개가 마음을 잘 못쓰는 탓이다.」하였다.

 

⑨ 변마(辯魔)

공부하는데 마군의 장난이나 공부가 바로 되고 잘못 됨을 가릴 줄 알아야 한다. 도가 높아지면 마(魔)가 성한다. 마음이 밝아지고 삼매를 이루게 되면 스스로 가지 가지 경계가 나타난다. 경계는 대체로 두가지다. 하나는 공부를 방해하고 마음을 흔들리게 하는 마군의 장난이나 삼매력에 상응하는 기이한 경계가 나타나는 것이고, 또 하나는 마음에 구하는 것이 있거나 망념이 잠복되어 있을 때, 혹은 경계를 대하여 마음에서 희한한 생각을 갖거나 그 경계를 인정하고 추구하고자 하는 생각의 나타남이다. 밖으로 마의 장난이 온다든가, 정력(定力)에 상응하는 기이하고 수승한 경계가 나타나는 데에 관하여는 능엄경에 상세하다. 이러한 경계를 집착하면 공부가 퇴실한다. 경계가 나타나는 이유를 알아야 그에 대한 분명한 대책도 서는 것이니 공부인은 마(魔)를 잘 분별하고 대책하는 방법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선경계나 악경계는 그에 대한 마음에 있다.

 

첫째, 마음이 어느 정도의 정(定)을 이루었을 때 그에 상응한 경계가 벌어진다. 정을 이루었을 때 정의 핵심인 공부가(화두) 분명치 않고 촛점을 잃었을 때 경계가 벌어지는 것이므로 오로지 공부만 면밀하게 지어가면 일체 경계가 나타날 틈이 없는 것이다.

 

둘째는 공부인이 마음에 구하는 생각이 없어야 한다. 또 깨치기를 구하거나 불조 만나기를 바라거나 도가 현전하기를 기다리거나 하는 마음이 마를 부르는 초청장인 줄 알아야 한다.

 

세째는 마음이 본래로 형상이 없는 것을 요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만법은 마음에서 일어남이요, 일심이 본래로 형상이 없거늘 도문(道門)에 어찌 가히 나타날 경계가 있을 것인가.」하는 이 도리를 잘 알아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경계가 나타났다는 자는 공부인의 마음자세에 허점이 있거나 공부에 대한 바른 이해가 없기 때문이라는 것을 일단 알아두어야 한다. 경계가 벌어지거든 공부가 곁길로 나간 것을 곧 깨닫고 오직 본참공부를 향하여 마음을 돌려 면밀하게 지어가야 한다. 그러면 온갖 경계는 제하려 하지 않아도 저절로 없어지고 공부는 더욱 깊게 나아가게 된다. 공부는 오직 지어갈 줄만 아는 이것이 요긴한 것이다. 대체로 공부를 방해하는 선악경계는 세 통로로 나타난다.

그 하나는 눈에 보이는 것이요,

둘째는 귀에 들리는 것이고,

세째는 마음에 알려오는 것이다.

공부인이 이런 경계를 만나거든 모두가 다 아니라고 관하여야 한다. 아무리 경계가 수승하고 미묘법문을 설해 오더라도 모두가 마경계인 것을 알아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계가 벌어지는 원인이 자신의 마음에 샘(漏) 즉 망념의 뿌리가 남아 있어서 그런 줄 알고 마음을 크게 돌이켜 오직 공부에만 면밀하고 힘있게 파고 들어야 한다. 이런 때가 가히 지혜와 용맹심을 시험해 볼 만한 호시절이다.

 

⑩ 호지(護持)

좌선할 때의 마음상태를 어느 때나 끊임이 없도록 잘 지켜가야 한다. 좌선에서 일어서 포행할 때와 같이 선실에서 나와 밖을 거닐더라도 항상 좌선하는 마음상태를 지켜가야 하는 것이다. 좌선에서 일어서 나올 때는 조용히 몸을 움직이도록 하고 갑작스레 일어서면 안된다. 자각선사는 「어린아기를 다루듯이 하라.」고 하

였다. 또 자각선사는 정력(定力)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원각경에도 「걸림이 없는 청정한 지혜는 모두가 선정(禪定)에서 생긴다.」하였다. 그런데 여기 정력이라 한 것에 대하여 한갓 마음을 움직이지 아니하고 생각을 끊은 상태로 알아서는 큰 잘못이다. 여기의 정력은 좌선시의 고요하고도 말끔하고 또렷한 마음상태

를 말하는 것이다. 그러한 마음상태에서 지혜의 눈이 열리고 자성의 도를 보게 된다. 원래 참선법문은 습정(習定)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고 견성(見性)을 말하고 철견(徹見)을 요구한다.

 

여기에는 원래로 습정이나 좌법이나 호흡법이라는 것이 논할 여지가 없다. 다만 말끔한 바른 눈초리에서 비로소 자성을 매(眛)하지 않는 것이므로 초참자에게 바른 눈을 열도록 좌선의의 문을 열어놓은 것이다. 선실에서는 공부하다가 선실에서 나오면 망상과 잡사에 내맡기고 또 잠시 좌선하다가 다시 혼침산란에 빠져든다면 이런 공부로는 횃불을 눈에 들어대도 마침내 불을 못 볼 것이다.

 

옛 조사가 이르기를 참선은 「닭이 알을 품듯이, 고양이가 쥐굴을 노리듯이, 늙은 쥐가 궤짝을 썰듯이 하라.」고 하였으니 미루어 호지의 뜻을 알아야 한다. 여기에서 말한 좌선의는 좌선의 초참학도를 위한 것이다. 우리 한국선방에 전하여 내려오는 관례와 체험을 통하여 일반화할 수 있는 범위를 기록하였다. 그러므로 이미 참선에 힘을 얻은 구참들이 이에 걸림없이 방편을 베푸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선이 앉는데 있다기 보다 오히려 일상(日常)의 동용(動用)중에 있는 것이므로 선을 뜻하는 분은 활동선 또는 선의 활용에서 선의 진미(眞味)를 체득하고 공부를 증진시키기를 바란다. 그리고 여기에 좌선의가 절대적이 아닌 것도 말해 둔다. 천마(天馬)와 같은 장부아(丈夫兒)에게 무슨 굴레가 당하겠는가! 끝으로 공부인은 반드시 선지식에 의지하라고 거듭 권하겠다. 원래 불조의 말씀은 귀로 알아들을 수는 없는 것이다.

출전 : 이것이 선의 길이다.(佛光)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좌선(坐禪,참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좌선해서 안주하여 고요히 사유한다(安禪靜慮)  (0) 2016.08.14
참선의 열세 고개(전심법요)  (0) 2015.12.29
참선곡   (0) 2015.12.23
좌선의 뜻과 형식  (0) 2015.12.12
반가부좌(半跏趺坐)  (0) 2015.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