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행(正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正行이란 佛陀의 가르침에 바탕한 바른 행위란 뜻으로 邪行의 對語. 또 직접 원인이 되는 行을 正行이라 하고, 간접 원인이 되는 行을 助行이라 한다.
① 正行은 八聖道나 六度行 혹은 經典을 읽으며 佛을 관찰하는 등을 내용으로 한다.
② 淨土敎에서는 善導의 觀經疏散善義에 의해 淨土의 經典을 읽고(讀誦), 아미타불의 像을 떠올리며(觀察·觀像), 아미타불께 절하고(禮拜), 아미타불의 이름을 부르며(稱名), 아미타불의 德을 찬양하고 공양하는 것(讚歎供養)을 五正行이라고 하고 아미타불 이외의 불·보살·신중을 대상으로 하는 雜行에 대한 對語로, 또 五正行 가운데 稱名을 正定業(正業·正行)이라 하고 다른 四正行(이것을 助業·助行이라 함)에 對稱으로 하고 있다. 稱名만을 오로지하는 것을 專修念佛이라 하는데 대해 다른 四正行을 겸해서 닦는 것을 助正兼行 이라 한다.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정진(正精進) (0) | 2018.03.02 |
---|---|
중생은(衆生恩) (0) | 2018.03.02 |
점안(點眼) (0) | 2018.03.02 |
정진바라밀(精進波羅蜜) (0) | 2018.03.02 |
전식(轉識) (0) | 2018.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