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受)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痛·覺이라고도 번역함. 心所(마음의 작용)의 이름. 五蘊의 하나. 俱舍宗에서는, 모든 마음을 따라 일어나는 心所(十大地法)의 하나로서, 唯識宗에서는 五遍行의 하나. 받아들인다(領納)는 뜻으로, 外界의 대상을 받아들여서, 거기에서 感受하는 苦樂, 快不快 등의 印象感覺을 말함.
根(感官)과 境(對象)과 識(認識主觀)이 和合(접촉)한 觸 곧 접촉감각에서 생긴다고 한다. 眼識 내지 身識의 前五識으로 느끼는 受는 육체적 受이기 때문에 이것을 身受라고 하며, 제六意識으로 느끼는 受는 정신적 受이기 때문에 이것을 心受라고 하고, 합하여 二受라고 한다.
또 樂受(可愛의 境에 대한 受)·苦受(不可愛의 境에 대한 受)·捨受(不苦不樂受·非苦樂受라고도 하고, 可愛도 不可愛도 아닌 境에 대한 受)의 三受로 나누고, 삼수를 열어서 樂受(즐거운 身受)·喜受(즐거운 心受)·苦受(괴로운 身受)·憂受(괴로운 心受)·捨受(身受와 心受를 포함한다)의 五受라고도 한다. 五受는 五受根이라고도 하고, 樂根 내지 捨根이라고 한다. 또 欲界繫受·色界繫受·無色界繫受·不繫受의 四受로도 나누고, 또 六根을 통하여 六識이 六境을 各知하는 경우에, 이 根·境·識의 和合인 六觸에서 眼觸所生의 受 내지 意觸所生의 受의 六受(六受身·六受法. 이 경우의 몸은 複數를 나타내는 말)가 생긴다고 한다.
十二緣起의 제 6번째의 支分을 受라고 하고, 有部에서는 비로소 苦樂 등을 各知하는 幼少年期의 五蘊이라고 하고, 唯識宗에서는 識·名色·六處·觸과 같이, 無明·行에 의해서 阿賴耶識에 심어진 種子라고 한다.
② 取의 舊譯.
참고
십대지법(十大地法) : 善·惡·無記 등 心識이 일어날 적에 따라 일어나는 心所의 명칭이다. 受·想·思·觸·欲·慧·念·作意·勝解·三摩地 이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念) (0) | 2018.02.12 |
---|---|
상(想) (0) | 2018.02.12 |
색(色) (0) | 2018.02.12 |
실상반야(實相般若) (0) | 2018.02.11 |
원증회고(怨憎會苦) (0) | 2018.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