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타(佛陀,부처님)

구존(九尊)

근와(槿瓦) 2018. 2. 12. 00:07

구존(九尊)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태장계 만다라의 中臺八葉院에 있는 大日如來를 비롯한 四佛 · 四菩薩을 말함.

(1) 寶幢如來(동방).

(2) 開敷華王如來(남방).

(3) 鼓音如來(북방).

(4) 無量壽如來(서방).

(5) 普賢菩薩(동남방).

(6) 觀自在菩薩(동북방).

(7) 妙吉祥童子(서남방).

(8) 慈氏菩薩(서북방).

(9) 大日如來(중앙) 등의 九尊을 말함.

 

참고

태장계(胎藏界) : 범어 garbha-kosa(dhatu). 孽波矩奢駄都라 음역. 혹은 蘗縛俱舍라 음역. 밀교의 2大法門(금강계 · 태장계)의 하나. 태장계에는 含攝의 뜻과 攝持의 뜻이 있다. 어머니의 태 안에 56부 등 몸의 중요한 기관이 있는 밖에 태안의 아이를 잘 보호하여 키우는 기능이 있는 것같이, 일체 중생에게는 本然的으로 평등하게 대일여래의 理性을 함장하여 섭지하고 있음을 비유해서 태장계라 한다. 이것은 대일여래의 理性的 부문이다. 곧 본래부터 있는 영원한 깨달음.

 

만다라(曼茶羅) : 범어 mandala의 음역. 曼陀羅 · 曼吒羅 · 漫茶羅 · 蔓陀羅 · 曼拏羅 · 曼拏· 滿茶邏 · 滿拏囉라고도 표기하며, · 壇場 · 輪圓具足 등이라고 번역한다. 輪圓의 뜻으로 印度에서 秘法을 닦을 때, 魔衆의 침입을 막기 위해 圓形을 그려 놓는 것. 일반적으로 圓形, 方形 등으로 구획한 지역을 曼茶羅라 하며, 에는 不淨을 피하기 위해 여러 가지 경우에 曼茶羅를 만들게 됨을 말한다.

密敎에선 大日經疏卷四曼茶羅에는 여러 가지 뜻이 있다고 하고, 輪圓具足을 뜻한다고 했다. 諸尊普門大日如來, 둥근고리()로 에워싸 大日을 도와 중생을 普門에 가게 하는 뜻이 있다고 한다. 또 발생의 뜻이 있다 하여 佛種을 길러 佛樹王(佛果)을 나오게 하는 뜻이 있다고 한다. 혹은 범어 manda는 우유를 精製醍醐의 뜻이다. 따라서 曼茶羅佛果醇淨融妙한 것을 나타내어 極無比味, 無過上味의 뜻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후세 密敎에서는 주로 聚集의 뜻을 취하여 諸佛 · 菩薩 등의 聖衆이 모이는 곳을 말한다고 했다. 인도에선 土壇을 쌓고 그 위에다 諸尊을 그려 놓고 행사가 끝나면 부수어 버렸다. 중국에서는 주로 紙帛에 그려 놓고 東密에서는 金剛界를 그린 金剛界曼茶羅, 胎藏界를 그린 胎藏界曼茶羅兩部曼茶羅(兩界曼茶羅)를 사용하고, 台密에선 그 밖에 蘇悉地法에 의한 雜曼茶羅를 사용했다. 더구나 兩部曼茶羅圖樣儀軌에 따라 같지 않고 현재 流布되고 있는 그림으로 나타낸 曼茶羅現圖曼茶羅라 했다. 曼茶羅를 네 종류로 나눈 四種曼茶羅를 약하여 四曼이라 한다.

金剛頂經에 따르면, (1) 諸尊相好를 갖춘 모습, 또 이것을 그리는 것을 大曼茶羅(尊形曼茶羅)라 하고, 金剛界曼茶羅成身會가 여기에 해당한다. (2) 諸尊三昧耶 本誓를 나타내는 器杖 · 刀劍 등의 所持品을 그리고 손에 印契를 맺는 것을 三昧耶曼茶羅라 하고 三昧耶會가 이에 해당한다. (3) 諸尊種子眞言, 또 그 種子梵字諸尊本位에 쓴 것. 法身三摩地나 모든 經論文義 등을 法曼茶羅(種子曼茶羅)라 하여 微細會가 이에 해당한다. (4) 諸尊威儀事業, 捏鑄刻造하는 것을 羯磨曼茶羅라 하고, 供養會가 이에 해당한다. 大日經에 따르면 三種秘密身을 넣어 (1)法曼茶羅 (2)三昧耶曼茶羅 (3)大曼茶羅 (4)三身이 각각 威儀事業을 갖추는 것을 羯磨曼茶羅라 한다.

四曼에 대해 萬德을 원만하게 갖추지만 하나로 묶어 넣어서 상대를 여의는 것을 體大曼茶羅, 衆相의 차별을 갖추는 것을 相大曼茶羅라 한다. 四曼은 모든 존재의 을 다하므로 六大體大 · 三密用大에 대하여 四曼相大라 한다. 종의 四曼이 있다. (1) 過去世에 맺는 法身大日如來가 설법하는 會上에 모인 聖衆自性會四曼. (2) 未來世에 맺는 影像이나 書畵世間住持四曼. (3) 現在世에 맺는 瑜伽行者行者修成四曼이라 한다. 大智印 · 三昧耶智印 · 法智印 · 羯磨智印四智印(四印)四曼과의 異同에 대하여 同一하지만 이들은 틀린다고도, 四曼有情 · 非情에 통하고 四印有情에 한한다고도, 四曼本有라 하고 四印修生이라고도 한다.

金剛界曼茶羅(金剛界는 범어 vajra-dhatu의 번역). 大日智法身을 나타낸 것으로 果曼茶羅 · 智曼茶羅 · 西曼茶羅 · 月輪曼茶羅라고도 한다. 金剛頂經 등에 의하여 그린 것이다. 東密에서는 九會로 된 金剛界九會曼茶羅를 사용하며 이에 대해 台密에서는 成身一會曼茶羅를 사용한다. 九會曼茶羅는 인도 隨宜이라고 한다. 九會曼茶羅는 앞의 도면과 같으니, 이것이 곧 東密의 그것이다. 現圖曼茶羅에는 1461을 수용한 羯磨會이하의 六會金剛頂經金剛界品에서 하고 있는 金剛界大曼茶羅 · 陀羅尼曼茶羅 · 微細金剛曼茶羅 · 一切如來廣大供養羯磨曼茶羅 · 四印曼茶羅 · 一印曼茶羅6曼茶羅에 해당하지만 나머지 三會에 대한 확증이 없다. 金剛界曼茶羅는 원래가 成身一會로서 99종의 曼茶羅를 합친 것 같다. 그 그림은 金剛이란 깨달음의 지혜의 가 견고하여 절대로 부서지지 않고 그 작용은 능히 다른 모든 물건을 파괴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림에서 羯磨會이하 降三世三昧耶會 등의 차례가 있는 것은 如來가 중생을 인도해 제도하는 작용으로서 從果向因下轉門을 나타낸다. 羯磨會이하 供養會까지는 四曼에 각각 표시하고 四印會四曼의 떨어지지 않음을 나타내며, 1印會四曼이 절대적인 하나의 實相으로 六大에 들어가는 것을 나타낸다. 이상 6三輪身중의 自性輪身曼茶羅이다. 理趣會正法輪身金剛薩埵曼茶羅· · · 에 해당하는 을 나타낸다. 降三世羯磨會降三世三昧耶會는 이상의 2輪身에 의하여 교화하기 어려운 중생에게 敎令輪身降三世明王의 분노의 모습을 나타내어 折伏시키는 작용을 보인다. 降三世三昧耶會이하 羯磨會次序가 역으로 되는 것은 菩薩修生順位를 보이는 從因向果上轉門인데, 降三世三昧耶회는 大悲의 화살로 無明의 원수를 쏘아 上求菩提 · 下化衆生誓願을 일으키는 것, 내지 羯磨會威儀를 구족하는 大日如來 磨身을 완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 밖에 앞의 그림에서 · · · · · · · · 을 차례로 自證으로부터 化他에 나아가서 化他 또는 自證에 돌아가는 自證化他折伏攝受不二曼茶羅라고 하는 등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9羯磨會(成身會)에 관한 그림을 표시하면 중앙에 大圓輪을 그리고 그 안에 다섯 月輪을 두는데, 중앙의 月輪에는 大日如來四波羅蜜菩薩, 四方月輪에는 四佛과 그 四親近16大菩薩(각각 4菩薩)安置하며, 그 밖의 8供養(內四供養 · 外四供養) · 四攝 · 賢劫千佛 · 外金剛部二十天 · 4大神, 이렇게 해서 161을 그린다. 金剛界曼茶羅佛部(理智具足 覺道圓滿) · 金剛部() · 寶部(福德) · 蓮華部() · 羯磨部(化他의 작용)5로 나누고 大日 · 阿閦 · 寶生 · 阿彌陀 · 不空成就5을 그의 部主, 大日이외의 4大日4親近4波羅蜜菩薩로부터 나왔으므로 이 4菩薩部母로 하고 있다.

胎藏界曼茶羅(胎藏界는 범어 garbha-dhatu의 번역), 大日如來理法身을 나타낸 것으로 因曼茶羅 · 理曼茶羅 · 東曼茶羅 · 大悲曼茶羅 등이라고도 한다. 佛陀大悲胎藏에 비유하여 이 胎藏으로부터 생긴 曼茶羅란 뜻이며, 大日經에 의해 圖像된 것이다. 그 그림은 한결같지 않으며, 經疏曼茶羅 · 阿闍梨 所傳曼茶羅, 胎藏의 옛그림, 胎藏圖像 · 現圖曼茶羅 등이고 部院廢立이나 諸尊의 배치가 다르다. 중국의 惠果으로 전하는 現圖曼茶羅에는 13大院을 세웠으며, 일본의 空海秘藏記에는 4大護院을 약하여 12大院으로 했으며 이 밖에 蘇悉地院도 약하여 11大院으로 하기도 한다.

雜曼茶羅. 台密에서 兩部大日如來이외의 다른 모든 諸尊中尊으로 하는 曼茶羅(金剛 · 胎藏兩界曼茶羅 이외의 만다라)를 말한다. 그래서 諸尊曼茶羅 · 別尊曼茶羅라고도 일컬으며, 여기에 如來 · 佛頂 · 諸經 · 觀音 · 菩薩 · 忿怒 · 등의 구별이 있다.

台密에서, 胎藏界曼茶羅처럼 諸尊本位에 두고 모두 모여있는 것을 都會壇曼茶羅 · 普門曼茶羅라 한다. 이에 대해 藥師 · 彌陀 · 觀音 등의 諸尊을 중심에 두는 曼茶羅都外別壇 · 別尊曼茶羅 · 一門曼茶羅라고 한다.

尊勝法을 닦을 때 畵作하는 것을 尊勝曼茶羅, 不動明王本尊으로 하는 曼茶羅不動曼茶羅, 彌陀 · 觀音通種子紇利俱字開敷蓮華(벌어진 연꽃)中台八葉에 두는 만다라를 九字曼茶羅라 한다. 또 법화경 등의 會上聖衆을 그린 것을 經法曼茶羅, 석가삼존과 俱舍論을 전한 諸祖를 그린 것을 俱舍論曼茶羅라 한다.

修法할 때, 다만 觀想하는 것을 통해 諸尊相好形像하는 것을 道場觀曼茶羅라 하며, 觀想을 통해 자신을 만다라로 생각하여 四肢五體 위에 만다라의 諸尊布列한 것을 하는 것을 支分生曼茶羅(支分上의 만다라)라고 한다. 支分生曼茶羅胎藏界中台八葉院頭部, 第一重內眷屬(목구멍)에서 심장까지 第二重諸大보살을 심장에서 배꼽까지, 第三重生身釋迦 등을 (배꼽)이하의 部位에 배치하는 三重流現의 만다라와 · · · · 五輪(무릎) · () · (가슴) · (얼굴) · (이마)에 배치하는 五輪成身曼茶羅가 있다. 金剛界九會肢體 위에 배치하는 경우도 있다. 灌頂할 때, 壇上에 펴놓고 行者에게 投華得佛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을 敷曼茶羅라 한다. 또 일반적으로 만다라를 예배공양하는 것을 曼茶羅供이라 하고 약하여 曼供이라 한다. 諸堂 신축때 落慶供養 등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잘 행해지지 않고 있다.

미타의 淨土나 미륵의 도솔천 등의 모양을 그린 것을 淨土曼茶羅 · 兜率曼茶羅 등이라고 부를 때도 있으니, 이것을 變相이라고 할 수 있다.

 

중대팔엽원(中臺八葉院) : 胎藏界曼茶羅 중앙의 八葉花臺大日如來를 중심으로 東方1에는 寶幢, 南方開敷華王, 西方 無量壽, 北方 天鼓雷音, 東南方 普賢, 西南方 文殊, 西北方 觀世音, 東北方 彌勒을 안치한 圖像曼茶羅를 가리킴.

 

대일여래(大日如來) : 범어 Mahavairocana(摩訶毘盧遮那)의 번역된 말. 密敎本尊. 摩訶는 크다()의 뜻. 毘盧遮那別名. 그러므로 번역하여 大日이라 한다. 또한 비로자나는 光明遍照의 뜻으로 遍照如來라 함.

 

보당여래(寶幢如來) : 범어 Ratnaketu. 囉怛曩計覩라 음역. 태장계 만다라의 中臺 8葉院 가운데 東方에 있는 부처님. 얼굴의 색은 赤白色으로 해가 처음 뜰 때의 빛이다. 보당은 보리심으로 萬行을 통솔하여 4魔軍衆을 항복받는 것이며, 密號福聚金剛이다. 이는 여래가 제8식으로써 大圓鏡智의 성취로 얻은 것이며, 鏡智는 일체의 智德을 포함하였으므로 福壽라 한다. 금강계에서는 阿閦如來라 하고 밀호도 같으며 4法身 가운데 自受用身이다.

 

개부화왕여래(開敷華王如來) : 범어 Samkusumita-raja. 三矩蘇弭()多羅闍라 음역하고 줄여서 華開敷 · 開華敷라 함. 태장계 만다라 中臺八葉院 남쪽에 그리는 부처님.

 

고음여래(鼓音如來) : 태장계오불의 한분. 中臺八葉院 북쪽에 있는 부처님.

 

무량수여래(無量壽如來) : 범어 Amitayus-buddha. 아미타불의 義譯으로 淨土敎의 주존불. 수명이 한없는 불타의 덕을 찬양하여 이르는 말. 아미타불은 중생구제의 48가지 本願을 가지고 오랫동안 수행하여, 十劫 이전에 그 원을 성취하여 성불하였으며, 현재 극락세계에 머물러 설법하고 있다고 한다. 아미타불의 범어 원어는 amitayus(無量壽)amitabha(無量光)의 두 가지가 있어, 그 기원은 다르나 정토사상의 경전에서는 동일한 부처로 취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량수경이 amitabha를 중심으로 하는 입장에서 ami=tabha와 동일시하여 설한다. 그러나 후의 밀교에서는 태장계의 불로서는 아미타불로 구분하기도 하였다.

 

보현보살(普賢菩薩) : 범어 Samantabhadra · Vis=vabhadra. 三曼多跋捺羅 · 邲輸跋陀라 음역. 遍吉이라 번역. 문수보살과 함께 석가여래의 脇士로 유명한 보살. 문수보살이 여래의 왼편에 모시고 여러 부처님네의 智德 · 體德을 맡음에 대하여, 이 보살은 오른쪽에 모시고 · · 을 맡았다. 또 문수보살과 같이 모든 보살의 으뜸이 되어 언제나 여래의 중생 제도하는 일을 돕고 드날린다. 또 중생들의 목숨을 길게 하는 덕을 가졌으므로 보현연명보살 혹은 延命菩薩이라고도 한다. 형상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크게 나누면 흰 코끼리를 탄 모양과 연화대에 앉은 모양의 2종이 있다. 흰 코끼리에 탄 모양을 많이 그렸으며 그 모습은 6개의 어금니가 있는 코끼리 등에 앉아서 손을 합장하고 있다. 석가여래를 협시하는 경우에는 오른손을 如意, 왼손을 與印으로 結印한다. 연화대에 앉은 모양은 진언밀교에서 만든다. 밀교에서는 금강살타와 같이 생각하여, 태장계만다라의 中臺八葉院 남동 끝에 두며, 왼손에는 연꽃을 들고 그 위에 칼을 세웠다. 오른손은 三葉妙善을 가지고 있다.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 : 관자재(觀自在)관세음의 異稱. .....관자재보살觀在菩薩. .....관재살타(觀在薩埵)관자재보리살타의 약칭. 곧 관음보살.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觀自在, 光世音, 觀世自在, 觀世音自在, 觀音이라 번역함. 大慈大悲를 근본 誓願으로 하는 보살의 各號. 無量壽經에 의하면 이 보살은 彌陀三尊의 하나로 아미타불의 왼쪽 補處로서 부처의 교화를 돕고 있다. 觀世音이란 "세간의 음성을 하는 이"란 뜻으로 사바세계의 중생이 괴로울 때 그 이름을 일심으로 부르면 그 음성을 듣고 곧 구제한다고 한다. 觀自在(관세음의 異稱)라 함은 지혜로 觀照하므로 自在妙果를 증득한 이란 뜻이다. 또 중생에게 일체의 두려움이 없는 無畏心을 베푼다는 뜻으로 施無畏者라 하고, 慈悲를 위주하는 뜻으로 大悲聖者라 하여, 세상을 구제하므로 救世大士라고도 한다. 이 보살이 세상을 교화함에는 중생의 根機에 맞추어 여러가지 형체로 나타나므로, 이를 普門示現이라 하며, 三十三身이 있다고 한다. 왼손에 든 연꽃은 중생이 본래 갖춘 佛性을 표시하고, 그 꽃이 핀 것은 佛性이 드러나서 성불한 뜻을 나타내며, 그 봉오리는 불성이 번뇌에 물들지 않고 장차 필 것을 나타낸다. 그 종류로는 六觀音(, 千手, 馬頭, 十一面, 準提, 如意輪)이 보통이다. 그 중 聖觀音本身이고, 기타의 것은 普門示現變化身이다.

 

묘길상동자(妙吉祥童子) : 묘길상보살(妙吉祥菩薩)文殊師利 · 曼殊室利라고도 함. 는 부처님의 無上를 나타내며 吉祥은 여러 가지 을 갖추고 있는 것. 大慈悲力에 의하여 을 설하며 모든 사람들에게 들려주는 보살의 뜻. 금강산 摩訶衍 위의 磨崖로 조각한 묘길상의 상이 있음.

 

자씨보살(慈氏菩薩) : 미륵보살을 달리 일컫는 말. .....미륵보살(彌勒菩薩)범어 Maitreya. 대승보살. 梅呾麗耶 · 昧怛隸野 · 彌帝隸 · 梅低梨 · 迷諦隸 · 梅恒麗 · 每怛哩 · 梅怛麗藥이라고도 한다. 미륵은 보살의 이다. 慈氏로 번역하며, 이름은 阿逸多(범어 Ajita)無勝 · 莫勝이라 번역함. 혹은 이름은 아일다 성은 미륵이라고도 한다. 인도 바라내국의 바라문집에 태어나 석존의 교화를 받고,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를 받아 석존보다 먼저 입멸하여 도솔천에 올라가 하늘에서 천인들을 敎化하고, 석존 입멸후 567천 만년을 지나면 다시 사바세계에 출현한다 한다. 그때 華林園 안의 龍華樹 아래서 성도하여, 3회의 설법으로서 석존의 교화에서 빠진 모든 중생을 제도한다고 한다. 석존의 업적을 돕는다는 뜻으로 補處의 미륵이라 하며, 賢劫 천불의 제5. 法會龍華三會라 한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불타(佛陀,부처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佛,950)-뉴사전  (0) 2020.05.06
대승십팔불공법(大乘十八不共法)  (0) 2018.05.15
칠불팔보살(七佛八菩薩)  (0) 2018.01.24
법왕(法王)  (0) 2017.09.23
무상존(無上尊)  (0) 2017.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