ᄉ~ㅇ(시옷~이응)

삼승기(三僧祇)

근와(槿瓦) 2018. 2. 11. 00:15

삼승기(三僧祇)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菩薩成佛하려고 수행하는 시간을 말함. 阿僧祇無數, 또는 無央數라 번역한다. 아주 오랜 시간인 阿僧祇를 세 번 거듭한 것을 3僧祇라 한다. 50階位 가운데 10·10·10·10廻向40에 이르는 동안에 제1大阿僧祇劫을 지내며, 10가운데 初地로부터 제7에 이르기까지 제2大阿僧祇劫을 지내며, 8로부터 제10에 이르기까지 제3大阿僧祇劫을 지낸 다음 成佛한다고 함.

 

참고

보살(菩薩) : 菩提薩埵·菩提索多·冒地薩怛縛·扶薩이라고도 하며, 道衆生, 覺有情, 道心衆生 등이라고 번역한다. 또한 無上菩提를 구하여, 衆生을 이익케 하고, 모든 波羅蜜을 닦아서 미래에 불타의 깨달음을 열려고 하는 사람. 三乘의 하나. 十界의 하나. 보살에게는, 깨달음의 지혜를 구하는 有情(心識을 가진 자. 衆生)이라고 하는 뜻이나, 혹은 菩提(구하는 목적인 깨달음)薩埵(敎化의 대상으로서의 중생)를 대상으로 하여 자기도 이롭고 다른 사람도 이롭게 하는 것, 菩提를 얻을려고 하는 용맹한 큰 마음 등의 뜻이 있어, 聲聞이나 緣覺도 각기 菩提(覺智)를 구하는 점에서는 보살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므로, 특히 無上菩提를 구하는 大乘의 수행자를 摩訶薩埵(摩訶는 크다는 뜻摩訶薩 또는 菩薩摩訶薩·菩提薩埵摩訶薩埵·摩訶菩提質帝薩埵 등이라고 하여, 二乘으로부터 구별하여 이것을 보살이라고 한다. 보살에는 開士(보리살타大士(마하살타尊人(제일살타聖士(勝薩埵初士(最勝薩埵上人(살타無上(無上살타力士(살타無雙(無等살타無思議(不思議薩埵), 또 용맹·無上·佛子·佛持·大師·大聖·大商主·大名稱·大功德·大自在, 혹은 正士·始士·高士·大道心成衆生·法臣·法王子   많은 다른 이름이 있다. 보살에는, 在家出家, 鞞跋致(退轉)阿鞞跋致(不退), 生身(번뇌를 끊지 않은 자)法身(번뇌를 끊어서 六神通을 얻은 자), 生死肉身法性生身, 大力新發心, 頓悟漸悟, 智增悲增 등의 두 가지의 보살이 있다고 하고, 또 깨달아 아는 깊고 얕음에 의해서 五十二位 등의 階位를 세운다(보살의 階位). 智增·悲增法相宗에서 하는 바로 八地 이전의 보살에 관한 분류이며, 直往의 보살(頓悟의 보살에 대해서 말하면 初地에 있어서 俱生起의 번뇌現行을 억누르기를 다하고 곧바로 變易身을 받는 것을 智增의 보살, 七地滿心까지 다 억누르지(항복) 못하고 分段身을 받아서 중생을 구할려고 하는 것을 悲增의 보살 혹은 大悲보살이라고 하며, 廻心의 보살(漸悟의 보살)에 대해서 말하면 不還阿羅漢에서 廻心한 이는 欲界의 번뇌를 끊고 있기 때문에 智增이며, 預流一來에서 廻心한 이는 智增 또는 悲增이라고 한다. 이 밖에 智悲평등의 보살이 있다고 한다. 十身位의 보살을 새로 발심한 보살, 住前信相의 보살, 假名의 보살 등이라고 한다. 보살의 닦는 행을 보살행, 보살이 해야 할 법칙양식을 보살의 法式, 佛果에 이르게 하는 를 보살승, 그 경전을 보살이라 하는데, 梵網經 등에는 보살이 지녀야 할 보살계를 한다. 모든 경전에는 彌勒·文殊·觀世音·大勢至를 비롯 여러 보살의 이름을 들고 있다또 역사상의 인물로서는 龍樹·世親 등을 보살로 부르고 있다

 

성불(成佛) : 부처님이 되는 것. 菩薩自利·利他의 덕을 완성해서 究極的인 깨달음의 경지를 실현하는 것으로 作佛·得佛·成道·得道·成正覺·成菩提·證菩提· 現等覺이라고도 한다. 부처님이 되기까지 긴 세월에 걸쳐 여러가지 수행의 階位를 밟아야 되는데(이것을 歷劫成佛이라 함), 그 세월을 小乘에서는 三阿僧祗劫 百大劫(百大劫三十二相  八十種好를 얻기 위한 福業 相好業을 수행하는 기간)이라 한다.

大乘에선 ·혹은 三十三阿僧祗劫의 수행기간을 말한다. 授決集 卷下에는, 藏敎(小乘敎)菩薩(1) 四弘誓願을 일으키고 (2) 三阿僧祗劫有相六波羅蜜을 닦고, (3) 百劫相好業을 수행하고 (4) 六波羅蜜을 완성하고 (5) 補處菩薩이 된다. (6) 兜率天에 태어난다. (7) 下生하여 成道한다고 하는 7階位를 거쳐 成佛한다고 했다. 이것을 藏敎菩薩  七階位成佛(七階成道)이라 한다. 소승은 물론이며 대승에서도 三乘敎五姓各別을 주장한다. 聲聞이나 緣覺成佛할 수 없다고 하는데 대해 一乘敎에서는 二乘作佛을 말하고 있으며, 謗法·闡提에 이르기까지 모든 중생이 성불한다고 한다. 女人(轉女成男)이나 非情(草木國土悉皆成佛)까지도 成佛한다고 한다. 小乘敎에서는 成佛은 오직 수행을 쌓아야 될 수 있다(修得)고 하는데 반해 大乘敎에서는 중생은 본래부터 成佛을 갖추고 있다(性得)고 그 가능성을 주장한다

占察經 卷下에는, 보살수행階位의 각 단계가 그대로 이라고 하여 十信滿位경지를 信滿成佛(화엄종에서 이를 주장), 十住滿位경지를 解滿成佛, 十地滿位로 보살수행이 완성된 경지를 行滿成佛, 완전히 佛果에 도달한 경지를 證滿成佛이라 하고 이 넷을 四滿成佛이라 했다.

天台宗, 別敎에서는 점진적으로 오랜 세월이 지나서 成佛한다고 하며 圓敎에서는 十住 初住位에서 成佛한다고도 했다.(法華玄義 卷五下)  

화엄종에서는 勝身·見聞·一時·一念· 無念의 다섯가지에 따르는 五種疾得成佛說(孔目章   ), 約位(十解 十住初位에서 成佛하는 것. 信滿成佛과의 同異約行(階位에 따르지 않고 하나하나의 행의 완성이 成佛이다約理(로서 모든 중생은 본래의 이다)3成佛說(화엄경 探玄記 ), 見聞生(見聞하고 믿는 階位解行生(智慧를 얻어 수행하는 階位證入生(최고의 佛果를 믿는 階位)三生을 거쳐 成佛한다고 하는 三生成佛說(五敎章 )등이 있다

蜜敎에서는 3가지의 卽身成佛을 주장한다

禪宗에선 直指人心見性成佛이라 하여 坐禪에 의해, 현실의 자기 마음을 徹見함으로 깨달을 때 분명히 成佛한다고 한다.

淨土宗에서는 往生成佛을 주장하며 阿彌陀佛淨土에 태어남으로 成佛한다고 한다.

 

수행(修行) : 敎法을 몸에 지녀 갈고 닦아 실천하는 일. 불교에서는 깨달음을 찾는 마음을 발하여(發心), 願望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하고, 그 결과로서 깨달음을 펼친다고 한다. 수행이란 특히 頭陀苦行 또는 廻國巡禮란 뜻으로 쓰고 이를 행하는 사람을 修行者, 또는 行者라 부르기도 한다. 성문·연각·보살이 각각 究極의 경지에 이르기까지의 세월에 대하여 성문은 三生六十劫, 연각은 四生百劫, 보살은 三祇百劫을 요한다고 한다.

(1) 三生六十劫이란, 성문이 아라한과에 이르기까지 가장 빠른 것은 세번 태어나는 기간을 지내고, 가장 늦는 것은 60(刀兵등의 1小劫)을 지낸다고 한다. 一生 또는 처음 20에는 順解脫分을 일으키고, 二生 또는 다음의 二十劫에는 未至定에 의하여 順決擇分를 일으키고, 三生 또는 마지막 20에는 根本定에 의하여 다시  順決擇分 를 일으켜 見道에 들고 마침내는 無學果를 증명한다고 한다. 그러나 제三生에서 처음으로  順決擇分 를 일으킨다고 하는 도 있다. 또한 빠른 것은 利根, 늦은 것을 鈍根이라 하나, 거꾸로 늦은 것은 오랜 鍛鍊을 참아낼 수 있는 練根으로서의 利根이라고 할 수도 있다.

(2) 四生百劫이란 연각이 辟支佛果에 이른는데 가장 빠른 것은 四生, 가장 늦은 것은 百劫을 요한다는 뜻으로 한 말이다. <俱舍論> 十二에는, 麟角喩獨覺(緣覺)은 반드시 百大劫 기간에 깨달음의 바탕을 닦는다고 설명하고, 四生을 설명하지 않는다.

(3) 三祇百劫이란, 三祇3아승지겁(三僧劫, 三祇劫이라고도 함), 百劫百大劫의 약어로서 三僧劫百大劫이라고도 하고, 보살은 3아승지겁에 걸쳐 波羅蜜을 닦고 그후의 百大劫에 있어서 부처가 갖출 수 있는 뛰어난 姿形(32·80種好)의 씨앗이 되는 相好業을 심는다고 하고 이들 수행을 三祇修行, 이 수행을 거쳐 성불하는 것을 三祇成佛이라 한다.

<大毘婆沙論> 百七十八에는, 보살이 아승지겁에 75, 아승지겁에 76, 아승지겁에 77이라는 수많은 부처님을 섬겨 깨달음에 이르는 근본으로 삼고, 계속하여 916을 섬겨 異熟業을 닦아 왕궁에 태어난 후, 34心斷結成道를 설하였고, <智度論> 二十七 같은 데에도 三祇百劫이 있으며, <攝大乘論> 에서는 三祇만을 설하고 百劫을 별도로 하지 않고 있다.

法相宗에서는 아승지겁은 五位 중의 資量·加行二位이며, 여기에서는 一行 속에서 一行을 닦고, 아승지겁은 通達位 修習位1, 初地에서 7까지이며, 여기에서는 一行 속에서 一切行을 닦고, 아승지겁은 修習位의 나머지 즉 8에서 10滿心까지이며, 여기에서는 一切行 속에서 一切行을 닦는다. 그리하여 10滿心에 있어서 等覺에 올라 여기에서 비로소 成佛을 위한 方便을 닦는 것이 百劫에 해당된다. 또한 三祇의 수행중에 열심히 노력하여 뛰어난 사람은 중간 단계를 뛰어 넘어 높은 修行階位에 도달할 수가 있다고 하여 이것을 超劫이라고 하는데 初地 이상에서는 超劫이 없다고 하는 도 있다.

화엄종이나 천태종에서는, 三祇百劫, 小乘 下根인 사람을 위한 方便的로서 말하는 것이라고 하고, 兩宗이 각각 圓敎라고 하는 최고의 차원에서 본다면, 중생은 본래적으로 부처이므로 三祇라는 시간의 길이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眞言宗에서는 三劫妄執(三妄執)一念으로 초월할 것을 설하고, 淨土敎에서는 本願의 힘에 의해 왕생하여 成佛이 되는 것이므로 三祇修行을 설하지 않는다.

 

아승기(阿僧祇) : 범어 asamkhya의 음역으로 無央數 등으로 번역. 화엄경 阿僧祇品에서는 124大數중 제105, 大毘婆沙論 177, 大智度論 4, 華嚴經探玄記 15에 여러 가지 명칭과 설명이 있다. 범어의 原音은 아승캬이지만 예부터 아승지로 불러 왔다. 보통 아승기를 아승지라고 부른다.

 

아승지 : 셀 수 없이 많은 수란 뜻.

 

보살계위(菩薩階位) : 보살이 처음에 菩提心을 일으켜서부터, 수행의 공을 쌓아, 佛果에 이르기까지의 階位. 모든 經論에서 보는 바는 한결같지 않고, 또 예컨대 發心 十住은 옛적에는 단독으로 그것만으로 보살의 모든 階位를 나타내 보인 것 같지만 후세에 와서는 地前三賢初位에 해당하는 것처럼 階位說에 역사적인 발전이 있었음이 보인다. 고래로 瓔珞本業經五十二位說이 그 名義도 정비되고, 位次에도 결함이 없다고 하여 널리 인용되고 있다.

唯識宗에서는 四十一位說을 취하여, 十信初住, 等覺第十地滿心(最終時)에 포함시킨다. 第十廻向後心四善根를 열어서, 地前三十心(十住·十行·十廻向) 第三十心(第十廻向)少分까지를 大乘順解脫分(三賢), 第三十心少分大乘順決擇分(四善根)이라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 高僧 圓測十信에 관해서 다른 을 세워, 位地十信(初住에 들어가기까지의 十順名字의 보살이 행하는 十心)行解十信(初住이상의 보살이 다 닦는 十心)이 있다고 한다.

화엄종의 . 大乘 始敎廻心敎(愚法二乘을 대승으로 인도하여 들이는 )에서는 小乘位次準用하고 또 三乘, 공히 十地(乾慧地一佛地)에 의거한다. 이와 같이 直進敎(곧바로 大乘으로 나가게 하는 )에서는 十信階位에 포함시켜 五十一位를 세우고, 十廻向이상을 不退位로 한다(소질능력의 차이에 따라 上根第七住, 中根十廻向, 下根初地에서 不退位로 들어간다고 한다). 終敎에서는 十信은 아직 不退位를 얻지 못하는 까닭에 단지 이라고 하여 로서 인정하지 않고, 四十一位를 세워, 初住不退位로 한다. 頓敎一念不生이 곧 이기 때문에 位次를 세우지 않는다. 圓敎에서는 同敎一乘에는 특별한 位次를 세우지 않고, 前四敎階位含攝하고, 別敎一乘에서는 行布門階位의 차례를 세우지만, 圓融門에서는 한 一切位를 갖추었다고 하며, 특히 十信滿位가 되면 成佛한다(信滿成佛)한다.

천태종에서는 三乘 공히 十地通敎位次로 하고, 五十二位別敎位次로 한다. 別敎五十二位에는 十信外凡(三惑 界內見思를 항복시키는데 그친다), 十住·十行·十廻向內凡(界外無明을 항복시키는 데까지 이른다), 初地이후를 聖位로 한다. 圓敎에서는 모든 존재가 본래적으로 三千의 모든 법(온갖 事物)을 부족함이 없이 갖추고 있다고 하기 때문에, 本體로 말하면 佛陀도 중생도 동등하다고 간주되지만, 그러나 現象으로서는 迷悟의 차이가 엄연히 있기 때문에 수행의 階位가 있게 된다고 하여 六即位次를 정하여, 수행자로 하여금 卑下上慢心을 함께 떠나게 한다. 더구나 別敎五十二位의 이름을 빌려서 圓敎位次하는 수도 있어, 이런 경우는 十信位(六根淸淨位) 앞에 五品弟子位를 두며, 圓敎十住位別敎十地位에 상당한다고 한다. 圓敎의 보살의 階位鐵輪(十信銅輪(十住銀輪(十行金輪(十廻向瑠璃輪(十地摩尼輪(等覺)六輪(轉輪聖王輪寶가 모든 것을 쳐부수는 것처럼 모든 에서 번뇌를 끊는 것을 말한다)에 배속시키는 수도 있다.

十信位의 보살이라고 하더라도 이름뿐이기 때문에 이것을 名字의 보살 住前信相의 보살이라고 하는 수가 있고 또 初地이후는 信根을 성취하여 退失하지 않기 때문에 地前三十心(十住·十行·十廻向)信相應地라고 하기도 한다. 모든 중생을 자식처럼 귀여워하는 보살의 지위를 一子地라 하고 이것을 乾慧 등의 十地第二性地 혹은 歡喜十地第八不動地 이상 또는 初歡喜地에 해당시킨다. 淨土宗에서는 一子地初歡喜地에 대하여 信心現益(이 세상에의 이익)이면서 겸하여 當益(未來世에서의 이익)이기도 하다고 한다. 世親淨土論敎化地란 말이 있는데 이것을 보살이 교화하는 장소의 뜻으로도 보살의 階位로도 풀이하고 階位로 볼 때에는 第八地 이상에 해당시킨다.

 

십지(十地) : 는 범어 bhumi의 번역으로, 住處, 혹은 住持, 生成의 뜻.

그 자리()를 사는 집으로 하고, 또 그 자리에 있어서의 을 보존하고 육성하는 것에 의해서, 를 낳게 됨을 말한다.

乾慧등의 十地. 大品般若經 6, 17 등에 해 있고 三乘에 공통된 것이기 때문에 三乘共十地, 共地라 하고, 천태종에서는 通敎十地라고 한다. 대품반야경 권에는, 乾慧 내지 十地에 대해, 보살은 方便力에 의해서 六波羅蜜을 행하고, 四念處 내지 十八不共法을 차례로 행해서, 前九地를 지나 佛地에 이른다고 하여, 十地는 보살이 갖추지 않으면 안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말하는 佛地라 함은 佛果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고, 보살이 과 같이 十八不共法 등을 행하는 것을 말한다. 智度論 75에는, 十地를 각기 三乘階位에 배당하고 또 智顗法華玄義 四下, 摩訶止觀 六上에도 이 뜻을 받아서 해석하고 있다.

거기에 의하면,

(1) 乾慧地(過滅淨地·寂然雜見現入地·超淨觀地·見淨地·淨觀地). 乾慧라 함은 진리를 하려고 하는 지혜는 있더라도 아직 禪定의 물에 윤택하지 못한 것을 의미하며, 이 자리는 聲聞三賢位, 보살의 初發心에서부터 順忍을 얻기 까지의 에 해당한다.

(2) 性地(種性地·種地). 聲聞四善根位, 보살의 順忍을 얻은 로서, 諸法實相愛着하지만 邪見을 일으키지 않고, 지혜와 禪定이 수반하는 경지이다.

(3) 八人地(第八地·八地). 의 뜻으로 聲聞見道十五心(八忍七智)須陀洹向, 보살의 無生法忍에 해당한다.

(4) 見地(具見地). 聲聞四果중의 初果 須陀洹果. 보살의 阿鞞跋致(不退轉)에 해당함.

(5) 薄地(柔軟地·微欲地). 聲聞欲界九種의 번뇌가 1, 끊어진 정도로, 須陀洹果 혹은 斯陀含果, 또 보살이 모든 번뇌를 끊어서 餘氣가 엷어()진 정도로, 阿鞞跋致 이후 아직 成佛 못한 사이의 이다.

(6) 離欲地(離貪地·滅婬怒癡地). 聲聞欲界의 번뇌가 없어진 로서 阿那含果, 보살은 욕심을 여의어서 五神通을 얻은 이다.

(7) 已作地(所作辨地·已辨地). 聲聞盡智·無生智를 얻은 阿羅漢果. 보살은 佛地를 성취한 이다.

(8) 辟支佛地. 因緣하여 成道한 것. 緣覺이라고도 한다.

(9) 菩薩地. 앞에 말한 乾慧地에서 離欲地까지를 가리키고, 혹은 後述하는 歡喜地에서 法雲地까지를 가리킨다고 보기도 하며, 初發心에서 金剛三昧까지, 곧 보살로서의 맨 처음에서 成道直前까지의 자리를 말하다고도 풀이한다.

(10) 佛地. 一切種智 등의 諸佛이 완전히 구비한 자리. 智度論 75에는 이 三乘共位의 보살이 無漏智에 의해서 을 다 없애고 깨달음을 여는데 대하여, 燈心初焰에 타거나 後焰에 타거나 정해지지 않은 것과 같이, 十地의 어디서 斷惑하더라도 固定적으로 정하여지지 않고, 十地가 다 서로 도와서 佛果에 이르게 한다고 하고, 이 비유를 燋炷十地라 한다.

 

() : 범어 kalpa音略. 劫波·갈랍파(羯臘波)라 음역하며 長時라 번역한다.

··일이나 어떤 시간의 단위로도 계산할 수 없는 무한히 긴 시간을 말한다. 시간을 曠劫·永劫이라 하고 兆載永劫이라고도 한다. 도 지극히 많은 수의 이름이다.

智度論 卷五에 의하면四方 40리 성안에 芥子를 가득 채우고 백년마다 한 알씩 집어내어 그 개자가 다 없어져도 은 다하지 않는다.고 했는데, 이 비유를 芥子劫이라 일컫는다. 여기에 다수의 異說이 있다.

智度論 卷五에 의하면,둘레 사방 40리 되는 바위를 백년마다 한 번씩 엷은 옷으로 스쳐서 마침내 그 바위가 닳아 없어지더라도 은 다하지 않는다.고 했으므로 이 비유에 근거하여 磐石劫이란 이름이 있게 되었다. 여기에도 異說이 많다.

2종의 塵點劫이 있다. 三千大千世界를 먹으로 삼아 그 먹이 다 닳도록 갈아서 만든 먹물로 一千國土(세계)를 지날 때마다 한 방울씩 떨어뜨린다고 하고, 그 먹물이 다 없어질 때까지 지나온 모든 세계를 부수어 만든 수없는 먼지 하나 하나를 一劫으로 한 그 모든 三千塵點劫이라고 한다. 五百千萬億那由他阿僧祇(아주 많은 수의 단위)三千大千世界를 부수어 먼지를 만들어 五百千萬億那由他阿僧祇)의 세계(國土)를 지날 때마다 그 먼지를 하나씩 떨어뜨려 그 먼지가 다 없어질 때까지 지나온 모든 세계를 다시 먼지로 부수어서 그중 한 먼지를 一劫으로 셈한다고 할 때, 저 모든 먼지수의 五百塵點劫 또는 五百億塵點劫이라 한다. 法華經에 나와 있는 塵點久遠劫이란 말은 여기에 유래한다. 五百塵點劫微塵劫 혹은 大地微塵劫이라고도 한다.

俱舍論 卷十二에 의하면의 사람의 수명이 무량한 때를 지나서 住劫의 처음에 이르러서 수명이 점점 줄어 열 살에 이르는 동안을 이름하여 처음의 一住中劫이라 한다. 이 뒤의 十八()은 다 增減이 있다. , 10세에서 늘어나 만세에 이르러, 다시 8만세로부터 줄어서 10세에 이르는데 이를 이름하여 第二住中劫이라고 하며 이 뒤의 十七住中劫도 이와 같다. 第二十住中劫10살부터 늘어서 8만세에 이르게 된다. 일체의 劫增8만을 지남이 없고 일체의 劫減은 오직 10세가 그 끝이다.라고 했다. 이에 의할 것 같으면 住劫 二十劫중 처음의 第一劫減劫, 뒤의 第二十劫增劫, 중간의 十八劫增減劫임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수명이 한량없이 긴 때로부터 차차 줄어서(後世에는 人壽 84천 살로부터 백년마다 한 살씩 준다고 해석했다.) 열 살이 되는 동안을 減劫이라 하고 人壽 열 살로부터 백년마다 한 살씩 다시 늘어나서 84천살이 되는 기간을 一增劫이라 하며 이렇게 한 번 줄었다가 늘어나는 기간의 一增減劫一小劫이라 한다. 增劫중에는 수명·중생·생활도구(資具善品(心性善良하고 총명한 것)4종이 증가한다고 하여 이것을 四增盛이라 하고, 減劫중에는 이 네 가지가 衰退한다고 한다. 또 이 세계는 일정기간 동안에 이루어지고(成劫), 일정기간 동안에 이루어진 모습 그대로 유지하며(住劫), 일정기간 동안에 무너지게 되고(壞劫), 일정기간 동안은 아무 형체도 없는 공간상태로 있게 되는데(空劫), 이것을 ···四劫이라고 한다. 이 세계가 이루어져 가는 동안인 成劫의 처음을 劫初라 한다. ···四中劫을 합하여 一大劫이라 하는데 四中劫의 길이는 각각 二十小劫이므로 一大劫八十小劫이 된다. 禪宗에서는 천지개벽 이전이란 의미로 空劫以前이란 말을 쓴다.

보살이 發心한 뒤 부처가 될 때까지의 수행의 기간을 三阿僧祇(無數라 번역하며, 극히 큰 수의 이름) 百大劫이라 하며, 三僧祇百大劫·三祇百劫이라고도 한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상반야(實相般若)  (0) 2018.02.11
원증회고(怨憎會苦)   (0) 2018.02.11
위음왕이전(威音王已前)  (0) 2018.02.10
생사(生死)   (0) 2018.02.10
의정이보(依正二報)  (0) 2018.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