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복(罪福)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죄와 복. 樂의 果報를 부르는 五戒 · 十善 · 보시 등의 善行을 福, 또는 福德이라고 하는데 대해, 苦의 果報를 부르는 五逆 · 十惡 등의 惡業(惡行)을 罪 또는 罪惡이라고 한다.
참고
죄(罪) : 道理를 거슬려서 禁斷의 윤리적 실천규범을 어김으로 말미암아 苦의 報를 부르는 나쁜 행위로서 허물 · 죄악을 일컫는다. 번뇌도 죄라고 일컫는 경우도 있지만 그러나 그 중심은 신체 · 언어 · 의지(身 · 口 · 意)의 세가지 행위(業)이므로 罪業이라고도 한다. 그 행위가 惡이므로 罪惡이라 하고, 聖道를 행하는 것을 또 樂報를 부르는 것을 방해하므로 罪障이라고 하며, 더러운 행위이므로 罪垢라 한다. 그 행위에 의해서 받게 되는 苦의 果報가 罪報이며, 그 행위는 그 행위가 罪報를 부르는 根本이므로 이것을 罪根이라고도 한다. 罪에는 五逆罪 · 十惡罪 등을 말하게 되는 이것을 大別해서 二罪로 할 때는 본질적으로 죄악의 행위인 性罪와 본질적으로는 죄악이 아니지만 계율에 의해 금지된 사항을 위반하게 되는 죄, 또는 그 행위가 마침내 性罪를 불러오게 되는 요인을 안고 있기 때문에 계율로 금하고 있는 사항을 범한 遮罪의 罪를 든다.
복(福) : 범어 punya의 번역으로 복덕이라고도 번역한다. 세간적인 행복을 가져오는 행위(業)를 가리키는데 세간 출세간에 통털어 널리 말할 때도 있다. 阿含經에는, 착한 행위를 출세간적인 無漏의 梵行(淸淨行)과 世間的 有漏의 福德으로 나누어 복덕이라 함은 布施 등의 행위라고 했으며, 生天의 원인이 되는 在家의 행으로 삼았다. 部派불교에서는 중생을 三界(世間)에 매어두는 業을 福 · 非福 · 不動의 三業으로 나누고 福業은 欲界의 善果를 부르는 因으로 삼았다. 이상은 福을 世間에 限定시키는 예이다. 大乘에서는 六度의 행을 福智二業으로 나누어 지혜를 體로 하는 행위 밖의 모든 것을 福業이라고 하여 成佛의 因으로 했으나 이것은 福은 出世間에 통하는 예이다. 觀無量壽經에는, 淨土에 태어나는 因이 되는 행을 定善(마음을 한 일에 집중하여 散亂시키지 않고 닦는 善)과 散善(일상적인 마음으로 닦는 善)과의 둘로 나누고 散善을 또 三福으로 나누어 이것을 十六觀 중 최후의 三觀으로 說하고 九品의 往生과 관련시켜서 二善三福, 三福九品으로 말했다. 三福이라 함은 (1) 세간적 도덕(世福) (2) 불타가 정해 놓은 계율을 지키는 것(戒福) (3) 대승의 自行化他의 善根(行福)을 말한다. 慧遠 등은 十六觀을 모두 觀(智業, 定善)이라고 하고 三福을 福業으로 보고 福智二業을 닦아서 왕생을 얻는다고 한데 대해, 善導는 三福을 正因, 九品을 正行으로 보고 三福도 九品도 다같이 散善에 넣어서 三福은 觀을 닦지 못하는 劣機(능력 소질이 低劣한 자)가 왕생하기 위해 닦는 行이라 했으며, 源空도 三福과 九品은 분류하는 방법의 차이에 불과하다고 한다. 源空의 門人들은 三福과 九品과의 관계를 여러 가지로 풀이 했다. 福業을 닦아서 行福을 얻는 것을 福因福果라고 하며 布施를 해야 할 대상인 僧伽를 가리켜서 福德을 生長하는 밭이란 뜻으로 福田, 또는 여행자나 빈궁한 자가 사용토록 제공하는 宿舍라는 뜻으로 福舍라고 한다.
낙(樂) : 범어 sukha로 苦에 대한 말. 身心에 유쾌하게 느끼는 감정. 三受의 하나로서, 樂受라 하며 五受根, 二十二根의 하나로 樂根이라 한다. 身心으로 나누어서 身受를 樂이라 하며 心受를 喜라고 하기도 한다. 모두 善한 業을 따라서 얻어지는 果報는 樂이며, 身心을 攝益하게 하고 身心을 위하는 것이 되는데 이것을 여러 가지로 분류한다. 곧 天樂(十善을 닦으므로 天界에 나서 받는 樂) · 禪樂(禪定의 경지에 들어가서 받는 樂) ·涅槃樂(열반의 깨달음을 얻은 樂)의 三樂이 있으며, 外樂(眼 등의 前五識으로부터 생기는 樂) · 內樂(初禪·第二禪·第三禪의 意識으로부터 생기는 樂) · 法樂樂(無漏의 지혜로부터 생기는 樂. 깨달음의 法悅을 즐기는 樂)의 三樂이 있고, 또 出離樂(出家樂이라고도 한다. 出家해서 道를 얻으므로 苦를 해탈한 樂) · 遠離樂(初禪의 樂. 貪欲과 惡·不善의 法을 여의었으므로 얻는 樂) · 寂靜樂(第二禪 이상의 樂, 尋·伺가 止息했으므로 얻어지는 樂) · 菩提樂(번뇌를 여읜 眞實의 智, 곧 菩提를 얻은 樂)의 4종의 樂(四味·四無罪業이라고도 하며, 世間을 초월한 寂靜의 세계에 있는 4종의 樂味), 또 4종의 樂에 涅槃樂을 더한 五種의 樂 등이 있다.
과보(果報) : 異熟이라고도 한다. 因으로서의 業 곧 業因으로 말미암아 얻는 보답의 결과. 여기에 二報가 있다.
(1) 總報는 引業(總報業)에 의하여 引出되는 總體로서의 果報를 말한다. 예를 들면 일단 인간으로 태어나면 누구나 그 인간으로서의 공통된 생존을 누리게 됨을 말한다.
(2) 別報는 滿業(別報業)에 의하여 引出되는 차별의 果報로서 滿果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같은 인간으로 태어난 경우에도 男 · 女 · 貧 · 富의 차가 있게 되는 등이 그것이다. 또 三時業에 대한 각각의 果報를 합하여 三報라 한다. 곧
(1) 順現報는 現報라고도 하며, 금생에 業을 지어 금생에 받는 果報를,
(2) 順生報는 生報라고도 하며 금생에 業을 지어 다음生에 받는 果報를,
(3) 順後報는 금생에 業을 지어 次生을 넘어 未來世 이후에 받는 果報를 받는다. 六趣 가운데 人趣와 天趣의 果報는 五戒 十善의 因에 의하여 받는 훌륭한 報이므로 人天勝妙의 善果라고 한다. 그렇지만 아직 凡夫의 迷惑의 경계를 여의지 못했으므로 顚倒의 善果라 부른다.
오계(五戒) : 범어 panca-sila의 번역으로 在家佛子가 지켜야 할 다섯가지 戒.
(1) 중생을 죽이지 말라. (2) 훔치지 말라. (3) 음행하지 말라. (4) 거짓말 하지 말라. (5) 술마시지 말라. 이 다섯가지는 재가신자가 지녀 남자는 우바새가 되고 여자는 우바니가 된다고 함. 大毘婆娑論에는 5學處라 하고, 大莊嚴經에는 五大施라 하며, 俱舍論에는 近事律儀라 한다.
십선(十善) : 身 · 口 · 意의 三業중에서 현저히 뛰어난 10種의 善惡의 행위를 말한다. 곧 十惡이라 함은 殺生(斷生命) · 偸盜(不與取 · 劫盜) · 邪婬(欲邪行 · 婬妷 · 邪欲) · 妄語(虛誑語 · 虛妄 · 속임) · 兩舌(離間語 · 破語) · 惡口(麤惡語 · 惡語 · 惡罵) · 綺語(雜穢語 · 非應語 · 散語 · 無義語) · 貪欲(貪 · 貪愛 · 貪取 · 慳貪) · 瞋恚(瞋 · 恚 · 害) · 邪見(愚癡)의 10으로 이들을 여의는 것이 10善이다. 이들은 순차로 身業에 속하는 것이 3, 口業에 속하는 것이 4, 意業에 속하는 것이 3이기 때문에, 이들을 身三 · 口四 · 意三으로 따지고, 意三을 덜어서 7支 · 7支業이라고 한다(口四는 語四라고도 한다). 10善 · 10惡은 十善業道(十善道 · 十善根本業道 · 十白業道) · 十不善業道(十惡業道 · 十不善根本業道 · 十黑業道)라고도 하는데, 이들 十業道는, 業이 遂行되는 經過에 加行과 根本과 後起의 三단계가 있는 중의 根本 곧 根本業道에 대해서 세운다.
10善 · 10惡의 說은 大乘 · 小乘의 많은 경전에 說해지고, 阿含에서는 十善은 人 · 天의 세계에 태어나고, 10惡은 지옥 · 아귀 · 축생의 三惡道에 떨어진다고 하고, 有部 등의 部派에서는 10善 · 10惡에 의한 果를 異熟果 · 等流果 · 增上果로 나누는데, 예컨대 10惡에 의해서 三惡道에 태어나는 것이 異熟果, 殺生業에 의해서 多病斷命인 것이 等流果, 殺生業에 의해서 霜雹, 塵穢 등의 害를 만나는 것이 增上果라고 한다. 또 10惡은 어떤 것이나 貪 · 瞋 · 癡의 三不善根중 어느 하나가 加行(준비적 작용)이 되어 일어나고, 그것이 業道가 되어 나타날 때에는 각기 셋중의 특정의 하나 또는 셋중에 어느 하나에 의한다고 한다.
10惡중에서는 殺生 및 邪見이 가장 重하다고 說하고, 新譯 화엄경 권35에는 10善 · 10惡을 하는 자는, 善의 强弱의 정도에 따라서 人 · 天의 果, 三乘의 果, 佛果를 얻고, 惡의 정도에 따라서 三惡道(强은 지옥, 中은 축생, 弱은 아귀)에 태어나고, 또는 人間에 태어난다 하더라도 斷命 · 多病 그 밖에 不幸을 당한다고 說함. 10善은 惡을 그치고 善을 행하게 하는 戒이기 때문에 十善戒(十善法戒, 十善性戒, 十根本戒)라고도 한다. 瓔珞本業經 卷下에는 下品의 10善을 닦는 자는 人中의 王, 中品의 10善은 栗散王(小國의 王), 上品의 10善은 鐵輪王(轉輪聖王의 1)이 된다고 說하고, 그런 의미에서 王位를 10善의 位, 帝王을 10善의 君이라고 한다. 천태종에서는 圓敎의 十信位의 보살을 十善의 보살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無量壽經 卷下에는 (1) 殺生, (2) 偸盜, (3) 邪婬, (4) 兩舌 · 惡口 · 妄語 · 綺語, (5) 飮酒를 五惡이라 하고, 이에 반하는 것을 五善이라고 說함. 이 가운데 제4에 妄語만을 든다면 5戒와 같은 德目이 되기 때문에 五戒를 지키는 것이 5善, 5戒를 배반하는 것이 5惡이라고도 해석한다.
보시(布施) : 범어 dana의 번역. 檀那 · 柁那 · 檀이라 음역하고 베푼다고 한다. 또 범어 daksina는 達嚫(嚫은 䞋이라고도 쓴다) · 大嚫 · 嚫 등이라 음역하고 財施 · 施頌이라 번역하고 嚫施라고도 한다. 達嚫은 원래 공양을 받은 뒤에 이에 보답하기 위해 법을 설하는 것을 말하고 지금은 일반적으로 布施하는 재물을 말한다. 또 財施한 자를 檀越(布施主의 뜻으로 施主 · 檀那主 등이라 하고 略하여 檀那라고도 한다), 베푸는 財物을 嚫資 · 嚫財 · 嚫金 · 嚫錢 · 堂嚫(法堂에 공양하는 물건이라는 뜻) · 信施(信者의 施物이란 뜻)등이라 하고, 財를 바치는 것을 上嚫, 施主한 것을 부처님께 올리는 것을 下嚫이라고 한다. 布施는 六念의 하나(念施) · 四攝法의 하나(布施攝) · 六波羅蜜 및 十波羅蜜의 하나(布施波羅蜜 檀波羅蜜)로 치고 貪心을 떠나 佛 · 僧 · 가난한 사람들에게 衣食의 物資를 베푸는 것을 말하고(財施), 그 행위에 의해서 좋은 業報를 받는다고 한다. 또 敎를 說해주는 것을 法施, 온갖 공포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無畏施도 있다. 財施와 法施의 둘을 二種施, 無畏施를 더하여 三種施라고 하고, 이것들은 보살이 반드시 하지 않으면 안되는 행위라 한다. 또 布施를 貪心을 여의고 깨달음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거룩한 淸淨施와 그렇지 않는 不淸淨施로 나누고, 혹은 法施를 人 · 天 등에 태어나는 행위를 가리키는 世間法施와 깨달음에 이르는 행위(三十七菩提分法 및 三解脫門 등)를 가리키는 出世法施로 나눈다. 또 施와 施波羅蜜과는 구별하여 施波羅蜜은 第三阿僧祗劫의 수행을 하고 있는 보살의 布施라고 하는 수도 있다. 또 菩薩善戒經卷一序品에는 在家의 보살은 財施와 法施를, 出家의 보살은 筆施 · 墨施 · 經施 · 說法施의 四施를 행하고, 無生忍을 얻은 보살은 施 · 大施 · 無上施의 三施를 갖추고 있다고 한다. 또 俱舍論卷十八에는 隨至施 · 怖畏施 · 報恩施 · 求報施 · 習先施 · 希天施 · 要名施 · 爲莊嚴心等施 등의 八種의 布施를, 舊譯의 華嚴經卷十二의 十無盡藏品에는 修習施 · 最後難施 · 內施 · 外施 · 內外施 · 一切施 · 過去施 · 未來施 · 現在施 · 究竟施의 十施를 說하는 등 보시의 행위 · 내용 · 태도 ·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분류가 있다. 또 베푸는 자(施者)도 받는 자(受者)도 베푸는 내용이 되는 물건(施物)도 모든 것이 원래가 본질적으로 空한 것이어서 거기에는 아무 것도 집착함이 없어야 된다는 三輪體空 · 三輪淸淨 등이라야 하고, 布施를 베푸는 물건에 기준을 둘 것이 아니라 베푸는 마음 그것을 표준으로 해야 된다고 한다.
복덕(福德) : 일체의 善行과, 선행에 의해 얻는 행복과 이익을 말함.
고(苦) : 범어 duhkha의 번역. 豆佉 · 諾佉의 音譯. 身(狹義) 또는 身心(廣義)에 대해 逼迫하고 괴롭히는 (損惱) 상태. 괴로움을 말함. 樂의 반대임. 즉, 마음에 계합하는 대상으로 향할 때는 즐거움을 느끼지만 마음에 계합하지 않는 대상으로 향할 때에는 괴로움을 느낀다. 淸淨道論에 의하면, 괴로움에는 嫌惡되고, 常 · 樂 · 我 · 淨이 없는 상태가 苦라고 한다. 苦 · 樂 · 捨(不苦不樂)를 三受라 하는 경우의 苦는 身心으로 느끼는 苦이지만(廣義), 五受 · 二十二根에 配例할 때에는 몸으로 느끼는 苦(狹義)와, 心으로 느끼는 憂로 나눈다. 모든 것은 苦다(一切皆苦)라고 하면 불교의 근본사상의 하나이고, 불교의 네 가지 근본 진리(四法印) 가운데 하나로 꼽게 된다. 苦는 다음과 같이 여러가지로 분류된다.
① 二苦. (1) 內苦는 자기의 心身 안에서 일어나는 苦이며, (2) 外苦는 밖으로부터 받는 苦이다(盜賊이나 天災 등)
② 三苦. (1) 苦苦는 탐탁하지 않은 대상으로부터 느끼는 苦, (2) 壞苦는 좋아하는 대상이 변멸하여 없어짐으로 받는 苦, (3) 行苦는 세상의 일이 바뀌는 것을 보고 느끼는 苦. 이것들을 차례로 苦 · 樂 · 捨(不苦不樂)에 해당시키기도 한다. 數論에서는, 依內苦(內苦에 해당됨) · 依外苦(惡賊 등) · 依天苦(天災 등)를 三苦라고 한다.
③ 四苦. (1) 生苦(태어나는 괴로움) (2) 老苦 · (3) 病苦 · (4) 死苦의 四. 人間苦를 山에 비유하여 四山이라고 한다.
④ 八苦. (1) 生 (2) 老 (3) 病 (4) 死의 四苦와, (5) 사랑하는 이와 헤어지는 고(愛別離苦), 좋은 현실을 여의는 苦. (6) 미워하는 사람을 만나는 고(怨憎會苦), 또 맞지 않는 환경을 만나는 苦. (7) 구하여도 얻어지지 않는 고(求不得苦). (8) 身心環境 일체를 형성하는 五要素(五蘊 · 五陰)에 집착되어 있기 때문에 일어나는 苦(五盛陰苦 또는 五陰盛苦, 五取蘊苦)로 최후의 것은 앞의 七苦를 총괄하는 苦이다. 八苦중 처음의 四苦를 하나로 하여 五苦라고도 한다.
⑤ 그 밖에 諸經論에는 여러가지 형태의 苦로 분류 說示하고, 瑜伽論 卷四十四에는 百十苦를 나열하고 있다.
⑥ 老 · 病 · 死를 三種의 身苦, 貪 · 瞋 · 癡를 三種의 心苦라고 하여, 身心의 苦를 대표하기도 한다. 또한, 임종이 다가올 때 百千의 칼로써 몸을 찌르는 듯한 것을 風刀苦라 한다.
오역(五逆) : 다섯가지의 극악무도한 重罪를 말함. 小乘의 五逆(單五逆)과 大乘의 五逆(複五逆)이 있다.
① 소승의 오역이라 함은, 害母(殺母) · 害父(殺父) · 害阿羅漢(殺阿羅漢) · 出佛身血(惡心出佛身血) · 破和合僧(破僧)의 5로 앞의 2는 恩田에 배반하고, 뒤의 3은 福田에 배반하기 때문에 五逆, 五逆罪라 하고, 그 행위는 無間지옥에 떨어지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五無間業, 약하여 五無間, 또 五不救罪라고 한다. 앞의 셋은 각기 고의로 母 · 父 · 阿羅漢을 죽이는 것이고, 出佛身血은 불타의 몸을 상처나게 하는 것. 破和合僧은 교단을 따로 세워 분열시킴으로 어지럽히는 것. 破和合僧은 또 소속한 교단을 떠나서 따로 집단을 만들어 布薩 · 羯磨 등을 행하는 破羯磨僧과 異師異說을 세워서 다른 집단을 만드는 破法輪僧으로 나눈다. 또 五無間業에 유사한 것으로서 五無間同類業(近五無間 · 五無間同分)이 있어, 母와 無學의 尼를 더럽히는 것, 住定의 보살을 죽이는 것, 有學의 聖者를 죽이는 것, 僧伽의 화합의 緣을 깨뜨리는 것, 率塔婆를 파괴하는 것을 말한다.(俱舍論 권十八)
② 대승의 五逆이라 함은, 大薩遮尼乾子所說經 권四에 說하는 다섯가지 근본중죄로, 곧, (1) 塔寺를 파괴하여 經像을 불태우고 三寶의 물건을 빼앗고 혹은 그와 같은 짓을 사람에게 시키고 또는 그 행위를 보고 기뻐하는 것. (2) 성문 · 연각 · 대승의 法을 비방하는 것. (3) 출가자가 불법을 닦는 것을 방해하고 혹은 그를 죽이는 것. (4) 소승의 五逆중 一罪를 범하는 것. (5) 모든 업보는 없다고 생각하여 十不善業을 행하여 후세를 두려워하지 않고 또 사람에게 그런 것들을 가르치는 것을 말한다. 慧沼의 金光明最勝王經疏 권五에는, 小乘五逆의 殺父母를 하나로 묶고, 誹謗正法(불법을 비방하는 것)을 더한 것을, 三乘通說의 五逆으로 하고 있다.
십악(十惡) : 열 가지 죄악. 身3 · 口4 · 意3.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위 十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악업(惡業) : 악한 결과를 받을 身 · 口 · 意 3業으로 짓는 행위. 5惡 · 10惡 등이 있다.
죄악(罪惡) : 죄가 될만한 악한 짓. 도덕, 종교의 敎旨나 계율에 어긋나는 일.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