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화염불(看話念佛)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염불을 公案으로 삼고, 拈提參究하여 깨닫는 것을 말함. 또는 念佛公案 · 參究念佛이라고도 한다.
참고
간화(看話) : 看은 본다는 뜻. 話는 화두 · 공안을 뜻함. 古人의 公案을 看하는 참선법.
염불(念佛) : 불타를 念하는 것. 念佛은 일반으로 불도수행의 기본적 行法의 하나인데, 여기에는 理法으로서의 불타를 念하는 法身의 念佛과, 불타의 공덕이나 불타의 相을 마음에 떠올려서 보는 觀念의 念佛과, 불타의 이름을 입으로 부르는 稱名의 念佛(口稱念佛)이 있다. ① 阿含에서는, 三念 · 六念 · 十念의 하나로 하고, 범어로는 buddhanusmrti라고 한다. 석존에 대한 歸敬 · 禮拜 · 讚嘆 · 憶念 등의 뜻. 염불에 의해서 번뇌를 일으키지 않게 되어, 하늘에 태어나거나 涅槃을 얻을 수가 있다고 한다. ② 大乘에서는, 三昧에 들어가서 염불하는 염불삼매의 法을 說하여, 이것에 의해서 罪를 滅하고 定중에 불타를 본다고 하고, 또 佛國에 태어나고자 원하고 불타를 念하면 佛國에 태어난다(念佛往生)고 한다. 梵文의 아미타경에 있는 念佛 · 念法 · 念僧의「念佛」은 처음의 原語는 buddhamanasikara, 뒤에는 buddhanusmrti로 앞의 것은 作意(마음을 일으킴), 뒤의 것은 憶念(마음에 떠올린다)의 의미이다. 또 執持名號의 原語도 manasikara로서 淨土敎에서는 이것을 稱名이라 풀이하는데 原語로는 그 뜻은 발견하기 어렵다.
공안(公案) : 公府案牘의 약칭. 선종에서 修學人에게 깨달음을 열어주기 위해 주는 문제. 곧 예로부터 祖師가 보여온 언어 또는 그 행위의 宗要를 모아 참선하는 사람들에게 공부의 과제로 주었다. 부처와 조사가 그 깨달음을 열어 진리를 나타내 보여준 古則은 수도자에게 있어서 가장 존엄한 것이므로 公案이라 한다. 禪宗의 宗師가 心地를 밝게 깨달은 機緣 또는 學人을 인도하던 사실을 가지고 후세의 공부하는 규범으로 삼았다. 공안이란 古德禪師의 言句이다. 그의 言句에는 일종의 殺氣가 있어서 參學者들은 그와 악전고투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공안은 일종의 문제이기 때문에 이것을 풀어야 하는데, 그것이 쉽게 해결되지 않는다. 身命을 내놓고 공부해도 되거나 말거나 하기 때문에 殺氣가 있다고 한 것이다. 그러나 그 사람의 信根에 따라서는 直下에 성취할 수도 있는, 다만 그 사람의 근기에 달려 있을 뿐이다. 信根이란 맹세코 꼭 이루어 보겠다고 하는 큰 결심을 말한다. 공안에는 千七百則의 화두가 있으나 우선 趙州의 無字가 가장 유명하다. 이 千七百則의 원리는 모두 같으므로 굳이 前後 순서를 가릴 것 없겠으나 처음에 이 無字를 보이는 이유가 있다. 그러나 이것을 설명하지는 못한다. 다만 參學者가 스스로 체득하고 인식해야만 알 수 있을 따름이다. 이 無字의 공안은 無門關이란 四十八則으로 엮어진 古德들의 言句중 제 1칙에 쓰여 있다. 즉 그것은 어느 때 조주선사에게 僧이 묻기를 「개에게도 佛性이 있습니까? 없읍니까?」이때 조주가 대답하기를 「없다(無)」라고 했다. 그런데 사실상 없다는 말은 無字를 풀이한 말이다. 조주선사는 풀이로 말한 것이 아니라 「無!」라고 대답했던 것이다. 공안을 볼 때 해석이나 또는 이론으로는 되지 않는다. 화엄경에 「일체 중생이 모두 여래의 지혜 덕상을 가지고 있다.」고 설했고, 열반경에도 「일체 중생이 모두 불성이 있다」고 했다. 중생이라고 했으니 生을 가진 것에 한한 것처럼 생각되나, 부처님께서는 삼라만상 어떤 물체를 막론하고 불성을 지니고 있다고 했다. 그래서 어떤 것에도 모두 불성이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개에게도 불성이 있느냐고 물었다. 조주는 無라고 대답했다. 이 無라는 글자는 아무 것도 없다는 의미지만, 조주의 無는 그런 의미가 아니다. 여기를 뚫어내야 한다. 또 어느 때 어떤 僧이 조주선사에게 똑같이 물었다. 「개에게도 불성이 있습니까? 없읍니까?」이때는 「有」라고 대답했다. 그러면 똑같은 물음에 한쪽에는 無라고 대답하고 다른 한쪽에는 有라고 대답했으니, 이것은 문제의 해답으로는 큰 모순이 있다고 생각된다. 가령 이것을 풀이로 대답한 것이라면, 無라고도 하고 有라고도 하여 兩舌을 내 휘두른 조주는 정신빠진 사람이 아닐 수 없다. 이런 점으로 보아 「無」「有」하는 兩端의 차별 문제가 아니다. 이 無字가 결코 有無의 상대의 無字가 아니라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古來로 수많은 祖師와 영웅호걸들이 모두 이 無字를 터득하느라고 진땀을 흘렸던 것이다. 결코 학문적 이론이나 분별지식으로서는 해결되지 않는다. 우리들이 오늘날까지 배운 지식을 가지고 생각해서 해결하려고 해서는 절대 안된다. 도리어 머리 속을 텅 비워야 하며, 우리들이 배워온 지식을 모두 버려야 한다. 가장 주의할 것은 모든 것 즉 생사를 초월해야 하는데, 이것을 절대 멀리서 구하지 말고, 가까이 가까이 또 가까이 끄집어 내라. 사실은 너무 가깝기 때문에 어렵다. 한치 두치의 거리에 있다면 도리어 쉬울 것인데 머리털 하나 사이 보다도 더 가깝고 너무 가깝기 때문에 도리어 알기 어렵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속 눈썹이 눈에 제일 가깝지만 이것이 눈에 보이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 이치다. 공안이란 公府의 案牘이란 뜻이다. 안독은 정부가 정한 법도이기 때문에 어떤 사람이라도 굽힐 수 없고 그 정한대로 준수해야 하며, 만일 이를 범하면 처벌하는 것이 공부의 안독이다. 이런 의미에서 예로부터 禪宗의 조사들이 정한 법문을 공안이라 했다. 즉 만인이 다 통하는 不易의 법문으로서 때에 응하고 機에 觸하여 자유자재로 제시하는 公法이다. 그래서 일명 則이라고도 한다. 참선자들을 위한 公定의 법칙, 즉 古德들이 인정한 理法이란 의미에서 公이고, 그 理法에 따라 정진하면 반드시 禪旨에 이를 수 있다는 뜻에서 다시 말하면 師弟間의 문답(공안)에 따라 수행하면 반드시 禪의 심경에 이를 수 있다는 데서 案이라고 했다.
염제(拈提) : 拈古. .....염고(拈古)→拈은 손으로 쥐고 만지작거리는 것. 禪宗에서, 古人이 學人을 깨달음으로 인도하기 위해서 준 문제(古則)를 잡아서, 거기에 評을 더하여 자기의 견해를 보인 것을 말한다. 拈提라고도 한다.
참구(參究) : 참선을 하여 진리를 探究하는 것.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공안(公案,話頭)이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두로 병을 물리치다 (0) | 2017.09.08 |
---|---|
만법귀일(萬法歸) (0) | 2017.09.07 |
확연무성(廓然無聖) (0) | 2017.01.04 |
세존지지(世尊指地) (0) | 2016.09.15 |
천칠백측(千七百則) (0) | 2016.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