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안(公案,話頭)이란?

화두로 병을 물리치다

근와(槿瓦) 2017. 9. 8. 00:51

화두로 병을 물리치다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내 나이 스물에 이 일 있음을 알고 서른 둘에 이루도록 열 일여덟 분의 장로(長老를 찾아가 법문을 듣고 정진했으나 도무지 확실한 뜻을 알지 못했었다. 후에 완산()장로를 뵈오니 <()>²자를 참구하라 하시며 이렇게 말씀하셨다. 스물 네 시간 동안 생생한 정신으로 정진하되, 고양이가 쥐를 잡을 때와 같이 하고 닭이 알을 안 듯이 하여 끊임이 없이 하라. 투철히 깨치지 못했으면 쥐가 나무궤를 쏠 듯이 결코 화두를 바꾸지 말고 꾸준히 정진하라. 이와 같이 하면 반드시 밝혀 낼 시절이 있을 것이다.


그로부터 밤낮을 가리지 않고 부지런히 참구하였더니 십팔 일이 지나서 한번은 차를 마시다가 문득 부처님이 꽃을 들어 보이심에 카샤파(迦葉)가 미소한 도리를 깨치고 환희를 이기지 못했었다. 서너 명의 장로를 찾아 결택(決澤을 구했으나 아무도 말씀이 없더니, 어떤 스님이 말하기를 다만 해인삼매(海印三昧)로 일관하고 다른 것은 모두 상관하지 말라하시기에 이 말을 그대로 믿고 두 해를 보냈다.


경정(景定) 오년 유월에 사천(泗川) 중경(重慶)에서 극심한 이질병에 걸려 죽을 지경에 빠졌으나 아무 의지할 힘도 없고 해인삼매도 소용없었다. 종전에 좀 알았다는 것도 아무 쓸 데가 없어, 입도 달싹할 수 없고 손도 꼼짝할 수 없으니 남은 길은 오직 죽음뿐이었다. 업연(業緣)의 경계가 일시에 나타나 두렵고 떨려 갈팡질팡할 뿐 어찌할 도리가 없고 온갖 고통이 한꺼번에 닥쳐왔었다. 그때 내 억지로 정신을 가다듬어 가족에게후사를 말하고 향로를 차려 놓고 좌복을 높이 고이고 간신히 일어나 좌정하고 삼보와 천신에게 빌었다.

이제까지의 모든 착하지 못한 짓을 진심으로 참회합니다. 바라건대 이 몸이 이제 수명이 다하였거든 반야(般若)의 힘을 입어 바른 생각대로 태어나 일찍이 출가하여지이다. 혹 병이 낫게 되거든 곧 출가 수행하여 크게 깨쳐서 널리 후학을 제도케 하여지이다.


이와 같이 하고 <>자를 들어 마음을 돌이켜 스스로를 비추고 있으니 얼마 아니하여 장부(臟腑)가 서너번 꿈틀거렸다. 그대로 두었더니 또 얼마 있다가는 눈꺼풀이 움직이지 않으며, 또 얼마 있다가는 몸이 없는 듯 보이지 않고 오직 화두만이 끊이지 않았다. 밤 늦게서야 자리에서 일어나니 병이 반은 물러간 듯했다. 다시 앉아 삼경 사점에 이르니 모든 병이 씻은 듯이 없어지고 심신이 평안하여 아주 가볍게 되었다.

 

참고

1. 장로 : 학덕이 높고 나이 많은 스님.

2. 無字 : 조주(趙州)의 무자 화두. 어떤 스님이 조주스님에게 묻기를 개에도 불성(佛性)이 있습니까?하니 (없다)라고 했다. 부처님 말씀에는 꿈틀거리는 벌레까지도 불성이 있다고 했는데 어째서 개에는 불성이 없다는 것일까?

3. 決澤 : 바르게 일러 줌.

4. 가족에게 : 이때는 몽산스님이 출가하기 전.

5. 원나라 스님. 그의 법어는 조선 세조때 번역되어 우리에게는 널리 알려졌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성전(蒙山·法語)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공안(公案,話頭)이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개시정안(那箇是正眼)   (0) 2017.10.13
동산마삼근(洞山麻三斤)   (0) 2017.09.30
만법귀일(萬法歸)  (0) 2017.09.07
간화염불(看話念佛)   (0) 2017.07.17
확연무성(廓然無聖)  (0) 2017.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