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마교(喇嘛敎)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서장불교의 교파. 그 語源은 티벳어 blama(高德의 師·上人)에서 유래하며 영어로 Lamaism이라고 한다. 서장을 중심으로 하여 성행하는 불교. 이것은 근세이래의 구라파人에 의한 호칭이며, 티벳인 자신은 라마교라고 하지 않는다. 라마교도들은 sans rgyas kyi chos 불교, 또는 dampahi chos 곧 正法이라 한다. 티벳의 불교는 7세기 초에 공식으로 티벳에 들어오고, 8세기 중엽이래 주로 인도의 탄트라派의 學僧들이 계속해서 들어오므로 인하여 인도불교 敎典의 역경사업이나, 사원의 건립이 성행했다. 북인도의 高僧 蓮華上座師(Guru Padma=sa=mbhava)를 敎祖로 삼는다. 蓮華는 那爛陀寺에서 밀교와 瑜伽系의 불교를 익혔으며, 그는 747년 티벳에 들어가 티벳의 민족 종교인 Bon교를 불교에 흡수하여 그들의 민족神을 불 · 보살의 化身으로 하는 등, 신교 · 구교를 융합했으며 Samyas寺를 창건, 善海大師(santa-raksita)를 중심으로 하는 喇嘛僧團을 이룩하다. 백여년 뒤 朗達磨王(Lan Dharma) 때에 寺刹과 經論을 불살라 한동안 쇠퇴하였으나, 다시 敎勢를 중흥 1038년 동인도 「벵갈」주의 명승 阿通抄(Atisa)가 들어와 宗門을 새롭게 하고 계율을 일으키다. 13세기 후반부터는 元의 忽必㤠의 보호로 몽고 대제국의 국교가 되기도 한다. 그 뒤 역대 제왕의 庇護를 받고 祭政을 지배, 마치 中世의 교황을 방불케 하는 권세를 누린다. 15세기에 이르러 宗喀巴(Tson-ka-pa)가 新派를 세우니, 이를 黃派, 종래의 종파를 紅派라 함을 따라 몇 개의 분파가 생겼으나 新敎인 황파가 세력을 차지하게 됐으며, 그 뒤 티벳을 비롯 몽고 · 외몽고 · 靑海 등의 라마교는 주로 황파에 속하다. 라마란 말은 스승이란 뜻이니, 원래는 達賴喇嘛 · 班禪喇嘛에 대한 존칭으로만 쓰던 말인데 뒤에 일반 승려에게도 쓰게 되었다. 라마를 불 · 법 · 승의 3보와 함께 숭배하고, 최고의 라마를 「다라이라마」라 하며, 현재 티벳 · 인도의 라다크 · 부-단, 소련의 부리아-트와 蒙古人 사이 또는 北部支那에서 행해지고 있다.
참고
서장불교(西藏佛敎) : 티벳불교를 말함. .....티벳불교→는 라마교라고도 일컫는다. 티벳에는 일찍부터 네팔 등의 불교가 들어온 것으로 생각되는데 토속적 샤머니즘인 笨敎가 성행하여 교세를 넓히지 못하였다. 6~7세기에 인도에서 공식적으로 불교가 들어왔고, 8세기경부터는 다시 인도로부터 밀교와 中觀계 대승불교가 전해져, 경전의 티벳어 번역도 진척되면서 불교는 널리 전파되었다. 10세기에 한 때 쇠퇴하였으나 11세기에 다시 일어나 밀교를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15세기에 초두 宗喀巴가 나와 宗風을 쇄신, 교세를 크게 높였으며, 이후 그 法系는 대대로 다라이라마가 되어 종교와 정치의 실권을 잡았다.
연화생상사(蓮華生上師) : 범어 Padma-sambhava. 라마교의 開祖. 서장에서는 구르린포즈에(名譽敎主)라 한다. 북인도 烏仗那국 사람. 그 나라 왕궁의 못 가운데 있는 연화에서 화생하여서 이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또 세존의 수기에 응하여 출현하였다고 자칭한다. 747년 서장왕 걸률쌍데찬의 초청을 받고 선해대사 등과 함께 서장에 갔다. 수도의 동남 사무야스에 전후 수 십년 동안 큰 사원을 창건하였다. 그는 항상 금강저를 가지고 국내의 요물들을 제복하고 폰교에서 말하는 禁呪說을 깨뜨리고 불교를 찬양. 이리하여 서장 특유의 비밀교인 라마교를 대성. 제자 25인으로 하여금 범본 · 한역본의 경전을 번역하게 하여 라마교의 장경을 만들었다.
홍교(紅敎) : 범어 Shamar. 티베트 라마교의 일파. 붉은 색의 가사와 붉은 모자를 쓰므로 紅敎라 함. 라마교는 불교가 티베트에 들어가 변형한 종교. 전설에 의하면 4세기에 불교가 티베트에 전해졌다고 하지만 오늘의 定說은 7세기 초로 되어 있다. 그후 8세기 후반에 진언밀교가 인도에서 들어와 티베트에 옛적부터 내려오는 귀신숭배의 신앙 등과 합쳐 이루어진 종교. 많은 변천을 겪어오면서 많은 분파가 생겼으나, 이 일파만은 그대로 옛 모습을 지녀 내려오다 다른 파들에 비하여 戒行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고 공공연하게 아내를 데리고 살면서 수행하고 있다. 또 本初佛로서 보현보살을 예배하며, 무상의 觀法으로서 maha-utpanna를 닦고, 라마교의 開祖 蓮華生을 여러 가지의 형식으로 존숭한다. 14세기경에 宗喀巴가 출생하여 라마교의 혁신을 주장하면서부터 이 파의 세력이 쇠퇴하고, 지금은 교세가 매우 미약하다.
밀교(密敎) : 秘密佛敎의 약칭. 일반적인 불교를 顯敎라 하는 것에 대한 말. 석가모니 부처님 혹은 報身의 아미타불 등을 교주로 하는 모든 대승 顯敎에 대하여 法身의 大日如來를 교주로 하며 우주를 이 법신 自在證의 경계로 보고 한 字 한 字의 진언다라니는 신비력이 있으며 그 三密의 秘法은 가볍게 전수할 수 없다고 하는 데서 밀교라고 한다. 보통 밀교를 미신적인 呪術의 체계이며, 性力(범어 sakti)을 숭배하는 타락된 불교로 인식되고 있으나 그것은 힌두교의 탄트라(범어 tantra) 신앙과 결합되어 말기에 나타났던 左道密敎를 가리킬 따름이다. 정통적인 밀교사상은 개체와 전체의 신비적 合一을 목표로 하며, 그 통찰을 全身的으로 파악하는 실천과 儀禮의 체계이다. 밀교에 해당하는 인도의 호칭은 金剛乘(범어 vajrayana)으로 금강승은 후기 대승불교를 대표한다. 금강승은 實在와 현상을 자기의 한 몸에 융합하는 卽身性佛을 목표로 한다. 그것은 다양한 것의 통일이라는 사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그 통일원리는 空과 慈悲의 일치 즉 반야와 方便의 일치로 나타난다. 종교의식상에서 여러 가지의 비법과 火祭 등을 행하는 것은 소위 탄트리즘으로 베다(veda)의 옛적부터 인도에서 행하여졌으며, 이런 법을 불교에서도 최초에는 배척하고 있었으나 석존 멸후 얼마 안가서 받아들이게 되었다.
유가(瑜伽) : 범어 yoga의 音譯으로 相應이라 번역한다. 調息(呼吸을 조정함)등의 방법에 의해서 마음을 한곳에 집중하여, 奢摩他 · 毘鉢舍那 곧 止와 觀을 주로 하는 觀行을 닦음으로 正理에 相應하여 冥合一致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密敎에서는 흔히 三密瑜伽(또 三密相應)를 說한다. 이 瑜伽의 觀行을 닦는 사람을 瑜伽師라 하고, 瑜伽師에 의해서 이루어진 경계를 瑜伽師地라고 하며, 瑜伽師地論에서는 이것을 五識身相應地로부터 無餘依地에 이르는 十七地로 說하고 있다. 이 論을 받드는 學派를 瑜伽派라고 한다. 또 外道의 一派에 瑜伽外道가 있다. 또한 瑜祇(범어 yogin)는「瑜伽를 두는 者」의 뜻으로, 瑜伽의 觀行을 行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라마(喇嘛) : 티벳어 bla-ma의 음역. 最上者, 上人의 뜻. 처음에는 티벳불교에서는 長老 · 高僧의 칭호였는데 뒤에는 일반 승려들도 喇嘛라고 부르게 되었다. 가장 유명한 것은 達賴喇嘛와 班禪喇嘛로서 대대로 티벳국을 통치하는 法王과 副法王의 지위에 해당한다. 이것을 敎主로 하는 불교(티벳이 그 중심이지만 몽고·만주 중국 북부에도 전해진 불교)를 라마교라고 한다. 達賴(다라이·dalai)는 몽고어로 太洋의 뜻. 班禪(pan-chen)은 범어 pan-dita와 티벳어 chen-po(젠포)를 합한 말의 생략으로 大學者의 뜻이 있다. 達賴喇嘛는 관세음보살의, 班禪喇嘛는 아미타여래의 化身이라고 믿고 있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다른 나라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불교(日本佛敎,2139)-뉴사전 (0) | 2022.02.26 |
---|---|
중국불교(中國佛敎,2382)-뉴사전 (0) | 2022.02.24 |
중국사회와 불교 (0) | 2016.04.26 |
다라이라마 (0) | 2015.12.27 |
자제공덕회(대만의 불교,증엄스님) (0) | 2015.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