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금강경대강좌(298)-생시는 곧 낮꿈

근와(槿瓦) 2016. 10. 13. 02:27

금강경대강좌(298)-생시는 곧 낮꿈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지금까지 여러분한테 밤 꿈을 얘기했지만 우리가 깨어서 활동하는 생시라는 것도 낮 꿈입니다. 왜 그러냐 하면 밤에 가서 꿈속의 생시라는 것도 만드는데 내 마음 가운데서 무한대 우주를 낮과 똑같이 건립한 때문입니다. 현 생시에 에너지로부터 모든 여러 가지가 창조되어 우주의 현실이 벌어졌듯이 이 꿈에도 가 보면 그렇게 되어 있습니다.


꿈속에서도 사업을 하게 되고 생활을 하게 되는데 불은 뜨겁고 물은 차겁고 소금은 짜고 설탕은 달고 하여 생시의 이 자연계와 똑같은 자연계가 있는데 그것은 모두 마음이 건립한 것입니다. 마음이 만들은 것이라기보다 마음이 그렇게 되었다고 해야 할 일입니다.


마음이 산도 되고 물도 되고 남자 여자, 호랑이도 되고 구렁이도 되고 온갖 유정물이 되어 가는 것이 꿈의 세계, 즉 꿈의 우주인데 이렇게 될 수 있는 것은 다 전체가 마음뿐인 때문입니다.


가령 밤에 잠이 들어 자다가 이불 속에 자기 몸뚱이와 처자를 다 그대로 놓아둔 채 마음만 나와 가지고 꿈속의 세계를 새로 만듭니다. 그러나 나온 것도 들어간 것도 아니고 어디로 갔다 안 갔다 그렇게 생각할 수도 없습니다. 만일 마음이 어디로 들어가는 것이라고 한다면 세포 하나를 가지고 말하는 경우에도 이 마음은 수 억만 가지로 들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 나를 중심으로 사는 중생이면서 제일 작은 것이 제일 큰 것이 되고 큰 게 작은 것이 되는 원리와 하나가 되다 보니 어디까지가 경계인지 그 한계를 지을 도리가 없게 되어 버렸습니다.


이 마음자리가 꿈에 가서 대 우주를 창조하게 될 능력이 있다 보니 꿈속에서 자기 몸뚱이를 끌고 장가도 가고 시집도 가고 아이도 낳아 기르고 하다가 그 살림살이 그대로 다 내버리고 어딘가 다른 세계로 나오는데 그것을 소위 생시라고 말합니다. 꿈에 가서도 우주를 창조할 능력이 있으니까 생시에 나와 가지고도 다시 현실의 우주를 창조합니다. 생시에 마치 활동사진이 필름을 바꿔서 새로운 화면이 갑자기 나타나는 것과 같이 금강산이 나왔다, 지리산이 나왔다, 석굴암이 나왔다 하는 것입니다.그러므로 꿈을 깬다 하는 것은 내가 꿈을 꾼 그 자리에서 필름이 바뀌어 딴 필름이 돌아가게 되어 소위 생시라는 그런 영화가 나오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밤의 꿈속에 있는 영화나 생시에 있는 영화나 다 마음의 조화로 된 것입니다. 그래서 그건 밤꿈이고 이건 낮꿈이고 하지만 또 따지고 보면 꿈도 없는 것이어서 생시도 꿈도 아닙니다. 지금 말하는 이대로일 뿐입니다.


그러나 그러면서 밤꿈은 확실히 낮꿈과는 또 다른 것입니다. 다른 꿈이니까 밤꿈은 낮꿈이 아니고 낮꿈은 밤꿈이 아닌 것입니다. 밤에도 마누라가 있고 낮에도 그 남편 그대로이고 모든 것이 다 그대로 있는 것 같지만 확실히 밤꿈에 만난 자기 마누라는 지금 생시에 있던 그 마누라는 절대로 아닙니다.


꿈에 같이 산 그 마누라가 틀림없는 자기 마누라이고 꿈인 줄도 모르고까지 살게 됩니다. 모든 것이 똑같으니까 서로 부둥켜 안아 봐도 다를 바 없습니다. 그렇지만 낮에 있던 마누라는 꿈 세계로 들어갈 때 자기가 재워 놓고 간 자기 몸뚱이 옆에 자고 있으니까 밤에 있는 마누라와 다르다고 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자기자신도 밤꿈에 있던 자기 몸과 생시의 자기 몸과는 다릅니다.


그런데 이 가운데서 정말 다르지 않은 게 있습니다. 이것이 곧 <마음>입니다. 밤꿈에서도 이 마음 그대로이고 낮꿈에서도 밤꿈에 있던 그 마음이 그대로 낮꿈을 꾸는 격입니다. 여기에 대우주의 꿈을 똑같이 만들어 놓았습니다.


그런데 밤꿈이 순전히 마음의 조화라고 말한다면 낮꿈도 역시 마음이 그렇게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마음이 밤에 굉장한 창조의 힘을 발휘했다고 한다면 낮꿈인 지금 이 순간에도 역시 그런 힘이 그대로 발휘되고 있을 것입니다. 꿈이나 생시나 마음은 달라지지 않았기 때문에 내가 조화하고자 하는 그대로 밤꿈이나 낮꿈이나 필름대로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출전 : 금강경대강좌(청담큰스님)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