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법(末法)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正法] · [像法] 석존이 入滅하고 나서 시대가 흘러감에 따라 그 說한 敎가 如法하게 實行되지 않는다는 역사관에 입각해서 시대를 正 · 像 · 末의 三時로 나누어 末法이 끝나면 敎까지도 들을 수 없는 法滅의 시대가 있다고 한다. 正法 · 像法 · 末法이란 말은 大乘同性經 卷下 등에 있고, 雜阿含經 卷三十三에는 正 · 像 二時의 說이 있다. 窺基의 義林章 卷六에는, 敎說(敎)과 그 실천(行)과 그 結果(證)가 모두 갖추어져 있는 시대를 正法, 敎 · 行만의 시대를 像法, 敎만 있는 시대를 末法이라고 했으며, 吉藏의 法華玄論 卷十에는 正 · 像의 구별을 하는데 여러 說이 있다고 하여, 佛陀의 在世와 入滅, 部派의 분열 전과 그 뒤, 깨달음을 얻는 자의 多少 등에 의해, 보살은 佛法이 항상 있음을 깨닫고 있기 때문에 正, 二乘은 佛法에 興衰가 있다고 보기 때문에 像이 있다고 했다.
三時의 時限에 대해서는 諸說이 있으나 대개는 正法 5백년, 像法 1천년, 末法 1만년설을 취한다. 중국에서는 北齊때부터 末法사상이 성하여, 信行(AD 540~594)의 三階宗, 道綽(AD 562~645) · 善導(AD 613~681)의 淨土敎 등에서는 스스로의 宗旨가 末法에 적합한 敎라고 주장했다.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