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의 후광이 아닌 자신의 복업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옛날 어느 나라에 선광(善光)이라는 왕녀가 있었는데, 그녀는 총명하고 그 용모가 단정하여 부모들이 무척 귀여워하고 궁중에서도 다들 사랑스럽게 여겼다.
왕이 딸에게 말했다.
“너는 내 힘을 입어 많은 사람들한테 사랑과 귀염을 받는다.”
딸은 대답했다.
“아버지의 힘을 입어서가 아니라 제게 그럴만한 복업의 힘이 있기 때문이겠지요.”왕은 이 말을 듣고 벌컥 화를 내면서,
“너한테 그럴만한 복업의 힘이 있는지를 어디 한번 시험해 보리라.”
하고 좌우에 명령하였다.
“이 성안에서 가장 헐벗고 굶주린 거지를 한 사람 데려오너라.”
신하들은 왕명을 받고 가장 가난한 거지 한 사람을 데리고 왔다. 왕은 딸 선광을 거지한테 아내로 삼으라고 주면서 딸에게 말했다.
“네 복업의 힘 때문인지 아닌지 두고 보면 알 것이다.”
그러나 선광은 여전히,
“내가 지어놓은 업의 힘 때문이지요.” 라고 하며 그 거지를 데리고 왕궁을 떠났다.
그녀는 거지인 남편에게 물었다.
“당신에게는 부모님이 계세요?”
거지는 대답했다.
“우리 아버지는 전에 이 성안에서 첫손 꼽는 부자였는데, 양친 다 돌아가시고 나서는 나는 의지할 곳이 없이 이렇게 거지 신세가 되었소.”
그녀는 다시 물었다.
“당신은 예전의 그 집터를 아시나요?”
“터야 알지만 지금은 집도 담장도 다 허물어져 빈터만 남아 있지요.”
그녀는 남편을 데리고 옛 집터를 찾아가 여기저기 살펴 보았다. 이때 흙더미 속에서 반짝거리는 것이 있었다. 흙을 헤치고 보니 그것은 보물궤였다. 그녀는 그것을 팔아 그 터에 집을 새로 짓고, 세간살이에 하인과 종들을 두루 갖추어 놓고 호화롭게 살았다.
왕은 어느날 딸 선광에 대한 생각이 문득 일어났다.
“내 딸은 그동안 어떻게 지내는지 궁금하도다.”
곁에 있던 신하가 아뢰었다.
“집과 재물 등이 왕궁에 못지 않사옵니다.”
왕은 감탄하여 말했다.
“과연 세존의 말씀에는 거짓이 없다. 제가 선악을 지어 스스로 그 갚음을 받는다더니.”
딸은 남편을 보내어 왕을 자기 집으로 초대하였다. 왕은 딸이 사는 집에 가 보고 선광의 말이 옳은 줄을 뒤늦게 알았다.
왕은 부처님을 찾아가 물었다.
“제 딸은 전생에 무슨 복업을 지었기에 왕가에 태어나 몸에서 빛이 납니까?”
부처님은 말씀하셨다.
"과거 비바시불이 계실 때, 반두라는 왕이 있었소. 비바시불이 열반에 든 뒤 그 왕은 탑을 세워 부처님의 사리를 공양했고, 왕비는 비바시불의 등상을 조성하고 나서 이렇게 발원했었소.
이 다음 세상에 내 몸에서는 금빛광명이 나고, 부귀를 누리면서 삼도(三途)와 팔난(八難)을 만나지 않게 하여지이다.
왕이여, 그 때의 왕비가 바로 오늘의 선광입니다. 그리고 가섭 부처님 때에 부처님과 그 제자들에게 맛있는 음식을 공양하는데 남편이 들어와 그것을 만류하려 하였소. 그러자 그녀는 손님들이 맛있게 공양하도록 방해하지 말라고 하였었소. 그 때의 남편이 오늘의 저 남편입니다.
남편은 아내의 공양을 만류한 인연으로 항상 가난하게 살다가, 공양을 허락했기 때문에 그 인연으로 아내 덕으로 부귀하게 된 것입니다. 그러나 아내가 떠나면 다시 가난해질 것입니다. 이와 같이 선악의 업이 마치 몸에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는 것은 어긋남이 없습니다.” <雜寶藏經 제2권>
*** 이 설화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스스로 짓고 스스로 받는다는 인과관계이다. 그러나 그녀가 왕녀의 몸을 받은 것도, 거지 남편을 만나 잘 살게되는 것도 그녀의 말대로 아버지의 후광덕이 아니라, 자기 자신이 일찍이 그럴만한 복을 지었기 때문이라는 것. 그러나 지어놓은 복이 다하면 그 혜택권에서 벗어난다는 것도 인과의 법칙이다.
출전 : 인연이야기(법정스님)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인과(因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란 흐르는 물처럼 세상을 사는 법 (0) | 2017.01.09 |
---|---|
십습인(十習因) (0) | 2016.12.12 |
삼세인과(三世因果) (0) | 2015.10.23 |
과(果) (0) | 2015.09.13 |
인(因) (0) | 2015.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