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반야경(大般若波羅蜜多經)

대반야경-305-61

근와(槿瓦) 2016. 7. 7. 20:17

대반야경-305-61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301 / 2116] 쪽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보살마하살 가운데에 정계 안인 정진 정려 반야 바라밀다의 진여가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보시바라밀다의 진여를 여의고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정계 안인 정진 정려 반야 바라밀다의 진여를 여의고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또 선현아, 보살마하살이라 한 것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곧 내공(內空)의 진여가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外空) 내외공(內外空) 공공(空空) 대공(大空) 승의공(勝義空) 유위공(有爲空) 무위공(無爲空) 필경공(畢竟空) 무제공(無際空) 산공(散空) 무변이공(無變異空) 본성공(本性空) 자상공(自相空) 공상공(共相空) 일체법공(一切法空) 불가득공(不可得空) 무성공(無性空) 자성공(自性空) 무성자성공(無性自性空)의 진여가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의 진여와 다른 것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의 진여와 다른 것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의 진여 가운데에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의 진여 가운데에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보살마하살 가운데에 내공의 진여가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보살마하살 가운데에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의 진여가 있느냐?"


                                                                             [302 / 2116] 쪽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의 진여를 여의고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의 진여를 여의고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또 선현아, 보살마하살이라 한 것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곧 4념주(念住)의 진여가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4정단(正斷)과 4신족(神足)과 5근(根)과 5력(力)과 7등각지(等覺支)와 8성도지(聖道支)의 진여가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4념주의 진여와 다른 것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4정단 내지 8성도지의 진여와 다른 것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4념주의 진여 가운데에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4정단 내지 8성도지의 진여 가운데에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보살마하살 가운데에 4념주의 진여가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보살마하살 가운데에 4정단 내지 8성도지의 진여가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4념주의 진여를 여의고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4정단 내지 8성도지의 진여를 여의고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또 선현아, 보살마하살이라 한 것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곧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苦聖諦〕의 진여가 보살마하살이냐?"


                                                                             [303 / 2116] 쪽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괴로움의 발생 괴로움의 소멸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滅道聖諦〕의 진여가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진여와 다른 것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괴로움의 발생 괴로움의 소멸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진여와 다른 것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진여 가운데에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괴로움의 발생 괴로움의 소멸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진여 가운데에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보살마하살 가운데에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진여가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보살마하살 가운데에 괴로움의 발생 괴로움의 소멸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진여가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진여를 여의고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괴로움의 발생 괴로움의 소멸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진여를 여의고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또 선현아, 보살마하살이라 한 것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곧 4정려(靜慮)의 진여가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4무량(無量)과 4무색정(無色定)의 진여가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304 / 2116] 쪽

"4정려의 진여와 다른 것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4무량과 4무색정의 진여와 다른 것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4정려의 진여 가운데에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4무량과 4무색정의 진여 가운데에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보살마하살 가운데에 4정려의 진여가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보살마하살 가운데에 4무량과 4무색정의 진여가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4정려의 진여를 여의고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4무량과 4무색정의 진여를 여의고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또 선현아, 보살마하살이라 한 것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곧 8해탈(解脫)의 진여가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8승처(勝處)와 9차제정(次第定)과 10변처(遍處)의 진여가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8해탈의 진여와 다른 것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8승처와 9차제정과 10변처의 진여와 다른 것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8해탈의 진여 가운데에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8승처와 9차제정과 10변처의 진여 가운데에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305 / 2116] 쪽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보살마하살 가운데에 8해탈의 진여가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보살마하살 가운데에 8승처와 9차제정과 10변처의 진여가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8해탈의 진여를 여의고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8승처와 9차제정과 10변처의 진여를 여의고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또 선현아, 보살마하살이라 한 것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곧 공해탈문(空解脫門)의 진여가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무상(無相) 무원(無願)의 해탈문의 진여가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공해탈문의 진여와 다른 것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무상 무원 해탈문의 진여와 다른 것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공해탈문의 진여 가운데에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무상 무원 해탈문의 진여 가운데에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보살마하살 가운데에 공해탈문의 진여가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보살마하살 가운데에 무상 무원 해탈문의 진여가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공해탈문의 진여를 여의고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무상 무원 해탈문의 진여를 여의고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대반야경(大般若波羅蜜多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반야경-315-63   (0) 2016.07.09
대반야경-310-62   (0) 2016.07.08
대반야경-300-60   (0) 2016.07.06
대반야경-295-59   (0) 2016.07.05
대반야경-290-58   (0) 2016.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