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살영락본업경(菩薩瓔珞本業經)

보살영락본업경-40-8

근와(槿瓦) 2016. 6. 1. 00:12

보살영락본업경-40-8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36 / 62]

(八戒)십계(十戒)육바라밀계(六波羅蜜戒)이니라. 이 사람이 다시 십선(十善)을 행하면서 일 겁()ㆍ가삼 겁 동안에 십신(十信)을 닦으면 육천(六天)의 과보를 얻느니라. 십선에 삼품(三品)이 있나니, 상품(上品)은 철륜왕(鐵輪王)으로서 일체를 교화하고, 중품은 속산왕(粟散王)이요, 하품은 인중왕(人中王)이니 일체 번뇌를 구족하면서 한량없는 선업을 지어 모으며, 물러가기도 하고 나아가기도 하지만 만약 선지식을 만나서 불법을 배우되 혹은 일 겁가 겁 동안 하게 되면 바야흐로 발심주의 지위에 들어가느니라. 만약 그렇지 않으면 항상 삼계에서 빠져 나올 수 없나니, 퇴분(退分)에 머무는 선근은 위에서 말한 것과 같으니라.


불자여, 발심주란 이것이 뛰어난 진분선근(進分善根)의 사람이니라. 만약 일 겁가 겁일 항(一恒)가 항삼 항의 부처님 처소에서 십신심(十信心)을 행하고 삼보를 믿으며, 항상 팔만 사천의 반야바라밀에 머물러 일체의 행과 일체의 법문을 다 익히고 받아들여 행하고, 항상 신심을 일으켜 사견(邪見)과 십중(十重)과 오역(五逆)과 팔도(八倒)를 짓지 않으면, 난처(難處)에 태어나지 않고 항상 불법을 만나 문혜(聞慧)를 많이 넓히고 방편을 많이 구하며 비로소 공계(空界)에 들어가 공성(空性)의 지위에 머물게 되므로 이름하여 주()라고 하느니라. ()의 이치에 대해 지혜의 마음으로써 옛 부처님의 법 가운데서 일체 공덕을 배우되 스스로의 마음으로 짓지 않고 또한 일체 공덕을 생하지 않기 때문에 지()라고 할 수 없고 다만 주()라고 할 수 있느니라.


불자여, 치지주(治地住)란 항상 공()의 마음을 따라 팔만 사천의 법문을 청정케 해 깨끗하므로 치지주라 이름 하느니라. 불자여, 일체 행을 장양(長養)하기 때문에 수행주(修行住)라고 이름 하느니라. 불자여, 부처님 가문에 태어나게 되면 종성(種性)이 청정하기 때문에 생귀주(生貴住)라고 하느니라. 불자여, 무량한 선근을 많이 배우기 때문에 방편구족주(方便具足住)라고 이름하느니라. 불자여, 여섯 번째 반야를 성취하기 때문에 정심주(正心住)라고 하느니라. 불자여, 무생필경공계(無生畢竟空界)에 들어가 마음 마음마다 항상 공()무상(無相)무원(無願)을 행하기 때문에 불퇴주(不退住)라고 하느니라.


                                                                                [37 / 62]

불자여, 발심해서부터 전도된 생각을 내지 않고 삿된 마군의 마음을 일으켜 보리심을 파괴하지 않기 때문에 동진주(童眞住)라고 이름 하느니라. 불자여, 불왕(佛王)의 가르침을 따라서 그 가운데에서 깨달음[]을 내고 마땅히 불위(佛位)를 이어야 하기 때문에 법왕자주(法王子住)라고 하느니라. 불자여, 위의 아홉 가지에서 공을 관하고 무생심(無生心)에 최상을 얻기 때문에 관정주(灌頂住)라고 하느니라.


그러므로 불자여, 관정심(灌頂心)에서 더욱 나아가 오음의 법성공위(法性空位)에 들어가 다시 팔만 사천의 반야바라밀을 행하기 때문에 십행(十行)이라고 하느니라. 불자여, 여기에서 비로소 법공(法空)에 들어가 외도의 삿된 논리에 전도되지 않고 정위(正位)에 들어가므로 환희행(歡喜行)이라고 하느니라. 불자여, 항상 일체 중생을 교화하고, 모든 중생을 법으로써 이익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요익행(饒益行)이라고 하느니라. 불자여, 법의 실성(實性)으로 법인심(法忍心)을 얻어서 아()가 없고 아소(我所)가 없으므로 무진한행(無瞋恨行)이라고 이름 하느니라. 불자여, 항상 공덕에 머물러 중생을 교화하는 것을 나타내므로 무진행(無盡行)이라고 하느니라. 불자여, 목숨을 마칠 때에 무명(無明)의 귀신에게 어지럽히거나 혼탁하게 되지 않으며 바른 생각[正念]을 잃어버리지 않으므로 이치란행(離癡亂行)이라고 이름 하느니라. 불자여, 태어날 때마다 항상 불국토 가운데에 태어나므로 선현행(善現行)이라고 하느니라. 불자여, ()에 있어 아가 없고[無我] 나아가 일체법이 공하므로 무착행(無箚行)이라고 하느니라. 불자여, 삼세의 불법 중에서 항상 공경하여 수순하므로 존중행(尊重行)이라고 하느니라. 불자여, 법을 설하여 다른 사람을 가르치고 변화시키면 사물의 법도가 되므로 선법행(善法行)이라 하느니라. 불자여, 이제(二諦)는 같은 것[]도 아니고 상()이 아니고 비상(非相)도 아니므로 진실행(眞實行)이라 하느니라.


그러므로 불자여, 진실한 마음에서 중생공[衆生空 : 인공(人空)과 무아공(無我空 : 법공(法空)]에 들어가지만 이공(二空)이 평등하여 다름이 없느니라. 일관상(一觀相) 일합상(一合相)으로써 백만 억의 반야바라밀의 공관을 학습하므로 앞뒤의 온갖 마음을 회향시켜 바꿔놓고, ()이 오로지 밝고 밝아 적멸하며 상지명관법(上智明觀法)을 장양하므로 인을 돌려서 과로 향하게


                                                                                 [38 / 62]

하느니라. 또 무량한 마음을 버리지도 않고 받지도 않나니 십회향법(十廻向法)이 이와 같으니라. 불자여, 항상 무상심(無相心) 가운데서 육도(六道)를 행하여 과보에 들어가되 받음이 없이[不受] 온갖 받음을 받아 회향시켜 바꿔놓고 전변하여 교화시키기 때문에 구호일체중생이중생상회향(救護一切衆生離衆生相廻向)이라고 하느니라.


불자여, 일체법을 관하더라도 다만 수()가 있고 다만 용()이 있고 다만 이름[]만 있어서 생각 생각에 머물지 않으므로 불괴회향(不壞廻向)이라고 이름하느니라. 불자여, 삼세제불의 법을 모든 때에 언제나 행하므로 등일체불회향(等一切佛廻向)이라고 하느니라. 불자여, 대원력으로써 일체 불국토에 들어가서 일체불을 공양하므로 지일체처회향(至一切處廻向)이라고 하느니라. 불자여, 상주(常住)하는 삼보로써 앞의 사람에게 수여하기 때문에 무진공덕장회향(無盡功德藏廻向)이라고 하느니라. 불자여, 상선(相善)과 무루선(無漏善)을 학습하여 행하되 둘이 아니므로 수순평등선근회향(隨順平等善根廻向)이라고 하느니라. 불자여, 선악의 부모에는 둘이 없어 일상일합상(一相一合相)임을 관하기 때문에 수순등관일체중생회향(隨順等觀一切衆生廻向)이라고 하느니라. 불자여, 항상 유()와 무()의 이제(二諦)가 일체법과 일합상임을 비추므로 여상회향(如相廻向)이라고 하느니라.


불자여, 제법이 둘이 아니며, 반야는 무생(無生)이며, 이제가 평등하여 과거(過去) 일합상이며, 현재(現在) 일합상이며 미래(未來) 일합상이므로 무박해탈회향(無縛解脫廻向)이라고 하느니라. 불자여, 일체법은 제일의제중도무상(第一義諦中道無相)이어서 일체법이 모두 한결같이 비추는 상()임을 깨닫기 때문에 법계무량회향(法界無量廻向)이라고 이름하느니라. 불자여, 이 서른 가지 마음의 뜻과 해석이 무량무변하나니, 일체 범부의 지혜로는 능히 헤아릴 수 없으며, 오직 시방의 제불(諸佛)과 일체 보살만이 그 길에서 노니시느니라.


불자여, 그대는 앞에서 어떤 것을 지()라고 이름 하느냐고 물었느니라. 불자여, ()는 지닌다[]고 이름 하나니 일체 백만 아승기 공덕을 지니느니라. 또는 생()이라고 이름 하나니, 일체 인과를 이루기 때문에 지라고 이름 하느니라. 불자여, 범부의 행을 버리고 부처님의 가문에 태어나서 보살위


                                                                                [39 / 62]

(菩薩位)를 잇고 성중(聖衆) 속에 들어감에 사마(四魔)가 무너뜨리지 못하고, 무의 양 끝을 평등하게 서로 비추고 큰 믿음이 비로소 만족하며, 무생중도제일의제관(無生中道第一義諦觀)을 배워 익히느니라. 그 위로 이지(二地)삼지 나아가 십일지에 이르러 밝게 법문을 관하고 마음 마음마다 적멸하는 법류(法流)의 물속에서 일상(一相) 무상(無相)의 이신(二身)이 거스름이 없어 불토(佛土)에 동등하게 통하므로 환희지(歡喜地)라고 이름 하느니라.


불자여, 정무상선(正無相善)으로써 중생공(衆生空)에 들어가 만불(萬佛)의 세계에 여섯 가지로 신통 변화를 나타내고, 공으로써 무위(無爲)와 동등하므로 이구지(離垢地)라 하느니라.


불자여, 광혜신인(光慧信忍)하여 옛 부처님의 도()를 수습하나니, 이른바 십이부경(十二部經)이니라. 수다라(修多羅)기야(祇夜)비가라나(毘伽羅那)가타(伽陀)우다나(憂陀那)니다나(尼陀那)아바다나(阿波陀那)이제목다가(伊帝目多伽)사타가(闍陀伽)비불략(毘佛略)아부타달마(阿浮陀達摩)우바제사(憂波提舍) 등 이러한 법으로써 중생을 제도하고 신통 변화의 광명이 빛나므로 명지(明地)라 이름 하느니라.


불자여, 크게 무생(無生)에 수순하여 인()을 일으키고, 일체법과 이제(二諦)의 상을 관하여 위로 부처님의 공덕을 관하고 아래로 육도 중생을 관하여 대자(大慈) 관법으로 법을 설하여 기쁨을 주고, 대비(大悲)의 관법으로써 삼고(三苦)의 중생을 구제하고, 대희(大喜)의 관법으로써 전인(前人)이 기쁨 얻는 것을 기뻐하고, 대사(大捨)의 관법으로써 일체 중생을 모두 평등에 들어가게 하는 일곱 가지 관법에 들어가므로 염지(焰地)라고 하느니라.


불자여, 수순하고 인내하며 도를 닦으면 삼계의 무명(無明)()() 등의 일체가 모두 공 아님이 없기에 팔변(八辯)의 공덕과 오명론(五明論)에 들어가느니라. 이른바 팔변이란 사변(四辯)과 인()()내도(內道)외도변(外道辯)이며, 오명론(五明論)이란 내()(: 工巧明)방도(方道 : 醫明)인과(因果 : 因明)귀사(鬼師 : 聲明)이니 이 모두를 통달하지 않음이 없으므로 난승지(難勝地)라고 이름 하느니라.


불자여, 위로 제법에 수순하여 과거의 일체법과 일합상이며, 현재의 일체


                                                                                [40 / 62]

법과 일합상이며, 미래의 일체법과 일합상이어서 법계 인연의 적멸이 둘이 아님을 관하기 때문에 현전지(現前地)라고 이름 하느니라.


불자여, 무생인(無生忍)의 제법관(諸法觀)은 번뇌가 있는 것도 아니고 번뇌가 없는 것도 아니며, 일생(一生)일멸(一滅)일과(一果)와 삼계 최후의 일신(一身)이라도 한 번 들고 한 번 나옴[一入一出]에 무량 공덕을 모으고, 항상 상지(上地)를 향하면서도 생각 생각이 적멸하기 때문에 원행지(遠行地)라고 이름 하느니라.


불자여, 이러한 까닭에 보살은 무생관(無生觀)으로써 삼계의 과보를 버리고 변화된 과가 작용하는 가운데 인무상(忍無相)의 지혜에 들어가며, 유에서 나와 무에 들어가 무상(無相)을 화현(化現)하고 스스로의 몸에서 당과(當果)를 보느니라. 이 때 모든 부처님께서 이마를 만지며 설법해 주시면 몸과 마음이 따로 행해져서 불가사의하기 때문에 부동지(不動地)라 하느니라.


불자여, 다시 위와 같은 관으로써 불화(佛化)를 온갖 빛으로 드러내고 무생인(無生忍)의 도에 들어가 일체 불신(佛身)을 나투기 때문에 묘혜지(妙慧地)라고 이름 하느니라.


불자여, 보살이 이 때 중도제일의제와 대적인하품(大寂忍下品) 속에 들어가서 부처님의 행처(行處)를 행하고 천보상(千寶相)의 연꽃 위에 앉아 부처님의 수기를 받고 부처님께서 행하신 교화의 공덕을 배우고, 두 가지 습기를 끊고 조복하여 큰 믿음을 성취하느니라. 진제(眞際)와 한가지로 법계에 평등하고 이제(二諦) 일상(一相)의 일체 공덕을 갖추고 중생의 근()에 들어가 무량한 영락의 공덕을 일시에 평등하게 일체 형상을 나투기 때문에 법운지(法雲地)라고 이름 하느니라.


불자여, 보살이 그 때 대적문중품인관(大寂門中品忍觀)에 머물러 공행(功行)이 만족하고, 큰 산의 누대[大山臺]에 올라 백천 삼매에 들어가 부처님의 의용(儀用)을 모으지만, 다만 누적된 과[累果]의 무상한 생멸만은 있느니라. 온갖 마음의 무위행이 십지를 지나고, 요해(了解)하는 것이 부처님과 마찬가지라 부처의 자리에 앉느니라. 그 지혜는 두 가지의 상()무상(無常)과 일체의 법의 경계를 보나니, 마땅히 알아야 하느니라. 부처님과 같이 됨을 이름하여 부처님을 배운다고 하느니라. 하지(下地)의 일체의 보살은 이...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보살영락본업경(菩薩瓔珞本業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살영락본업경-50-10   (0) 2016.06.03
보살영락본업경-45-9   (0) 2016.06.02
보살영락본업경-35-7   (0) 2016.05.31
보살영락본업경-30-6  (0) 2016.05.30
보살영락본업경-25-5   (0) 2016.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