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IDDLE WAY(中道)

THE MIDDLE WAY(中道)

근와(槿瓦) 2016. 3. 16. 06:40

THE MIDDLE WAY(中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 도(道)를 닦는 자로서 조심스럽게 피하지 않으면 안 되는 두 가지 치우친 삶이 있다. 그 하나는 육체(肉體)의 욕심(慾心)에 빠져 쾌락(快樂)을 즐기며 헤어나지 못하는 생활이며, 또 하나는 철저한 금욕주의적(禁慾主義的) 생활로 부질없이 자신의 몸과 마음을 괴롭히는 것이다.

1. To those who choose the path that leads to Enlightenment, there are two extremes that should be carefully avoided. First, there is the extreme of indulgence in the desires of the body. Second, there is the opposite extreme that comes naturally to one who wants to renounce this life and to go to an extreme of ascetic discipline and to torture one's body and mind unreasonably.

 

이 두 가지 치우친 생활(生活)을 떠나 마음의 눈을 열고 지혜(智慧)를 얻기 위해 노력하며 깨침으로 이끄는 삶을 중도(中道)라고 부른다. 이 중도란 무엇인가? 바르게 보는 법, 바른 생각, 바른 말, 바른 행동, 바른 생활, 바른 노력, 바른 마음가짐, 바른 마음의 통일 등 이 여덟 가지의 바른 길이다.

The Noble Path, that transcends these who extremes and leads to Enlightenment and wisdom and peace of mind, may be called the Middle Way. What is the Middle Way? It consists of the Eightyfold Noble Path: right view, right thought, right speech, right behavior, right livelihood, right effort, right mindfulness, and right concentration.

 

모든 것은 인연(因緣)에 의해서 생기고 없어지는 것이므로 유(有)와 무(無)를 떠나 있다. 어리석은 자는 ‘있음’으로 보거나 혹은 ‘없음’으로 보아 집착하지만, 바른 지혜(智慧)로 본다면 ‘있음’과 ‘없음’을 떠나 있다. 바로 이것이 중도(中道)의 바른 견해(見解)이다.

As has been said, all things appear or disappear by reason of an endless series of causes. Ignorant people see life as either existence or non-existence, but wise men see beyond both existence and non-existence to something that transcends them both; this is an observation of the Middle Way.

 

2. 한 토막의 나무가 큰 강에 떠있다고 하자. 그 나무가 좌우(左右)의 언덕에 접근하지 않고, 육지(陸地)에 올라오지 않으며 물 속에 가라앉지도 않으며, 사람에 의해 건져지지도, 썩지도 않는다면 드디어 그 나무는 큰 바다에 이를 것이다. 이 나무의 비유(比喩)처럼 안에도 밖에도 시로잡히지 않고, ‘있음’과 ‘없음’에도 사로잡히지 않으며, 정(正)과 사(邪)에도 사로잡히지 않고, 어리석음을 떠나 깨침에 얽매이지 않고, 물이 흐르는 대로 몸을 맡기는 것이 도를 닦는 자가 가져야 할 중도(中道)의 견해(見解)이고, 중도의 생활(生活)이다.

2. Suppose a log is floating in a river. If the log dose not become grounded, or sink, or is not taken out by a man, or dose not decay, ultimately it will reach the sea. Life is like this log caught in the current of a great river. If a person dose not become attached to a life of self-indulgence, or, by renouncing life, does not become attached to a life of self-torture; if a person dose not become proud of his virtues or dose not become attached to his evil acts; if in his search for Enlightenment he dose not become contemptuous of delusion or fear it, such a person is following the Middle Way.

 

깨침에 이르는 도(道)를 닦는 생활(生活)에 있어서 중요한 일은 양쪽의 극단(極端)에 사로잡히지 않고, 항상 중도(中道)를 걷는 것이다.

The important thing in following the path to Enlightenment is to avoid being caught and entangled in any extreme; that is, always to follow the Middle Way.

 

모든 것은 낳는 것(生)도 없고 죽는 것(死)도 없고, 정해진 성질(性質)이 없는 것임을 알아서, 사로잡히는 일이 없이 자기가 행하는 선(善)에도 사로잡히지 않고 모든 것에 속박(束縛)되어서는 안 된다.

Knowing that things niether exist nor do not exist, remembering the dream-like nature of everything, one should avoid being caught by pride of personality or praise for good deeds; or caught and entangled by anything else.

 

인간이 잘못된 욕망(慾望)의 물줄기에 갇히지 않으려면, 처음부터 그러한 것들에게 익숙해지지도 집착(執着)하지도 않도록 하는 방법(方法)을 배워 익혀야 한다. 있음과 없음, 안과 밖, 착하다는 것과 악하다는 것, 바르다는 것과 나쁘다는 것 등을 구별하는 마음을 내지 않으며, 그 어느 것에도 집착(執着)함이 없어야 한다.

If a person is to avoid being caught in the current of his desires, he must learn at the very begginning not to grasp after things lest he should become accustomed to them and attached to them. He must not become attached to existence or to non-existence, to anything inside or outside, niether to good things nor to bad things, niether to right nor to wrong.

 

사람이 사물(事物)에 한 순간이라도 집착(執着)하게 되면, 그 즉시 어리석은 생활(生活)이 시작된다. 깨침으로 가는 수행(修行)의 길을 따르는 자는 후회(後悔)함도, 어떠한 기대(期待)도 하지 않고 다만 당연하고 평화로운 마음만을 지닌 채로 다가오는 것들과 마주해야 할 것이다.

If he becomes attached to things, just at that moment, all at once, the life of delusion begins. The one who follows the Noble Path to Enlightenment will not maintain regrets, niether will he cherish anticipations, but, with an equitable and peaceful mind, will meet what comes.

 

3. 그러나 다시 생각해 본다면 깨침도 그 자체(自體)의 본질(本質)이 있을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깨칠 것도 없다고 할 수 있다.

3. Enlightenment has no definite form or nature by which it can manifest itself; so in Enlightenment itself, there is nothing to be enlightened.

 

어리석음이 있으므로 깨침이라고 하는 것이 있으며, 만약에 어리석음이 없어진다면 당연히 깨침도 없어질 것이다. 다시 말해서 어리석음을 떠나서 깨침은 없고 깨침을 떠나서 어리석음은 없다.

Enlightenment exists solely because of delusion and ignorance; if they disappear, so will Enlightenment. And the opposite is true also: delusion and ignorance exist because of Enlightenment; when Enlightenment ceases, ignorance and delusion will cease also.

 

그러므로 깨침도 파악해야 할 사물(事物)로 생각하려 한다면 이것 역시 장애물(障碍物)이 될 것이다.

Therefore, be on guard against thinking of Enlightenment as a “thing” to be grasped after, lest it, too, should become an obstruction.

 

어둠 속에서 마음을 깨쳤을 때에는 어둠이 있기에 비추는 것이 있으나, 어둠이 없어지면 비춘다는 것도 없어진다. 깨침은 비추는 것도 비쳐지는 것이 다같이 없어지는 것이다.

When the mind that was in darkness becomes enlightened, it passes away, and with its passing, the thing which we call Enlightenment passes also.

 

사람들이 깨침을 바라고 쫓는 한 환상(幻像)이 그들과 함께 있다. 그러므로 깨침을 구하는 자들은 그것에 집착(執着)하지 말아야 한다. 만약 진정한 깨침을 얻으려면 깨침 안에서 머뭇거리지 말아야 한다.

As long as people desire Enlightenment and grasp after it, it means that delusion is still with them; therefore, those who are following the way to Enlightenment must not grasp after it, and if they gain Enlightenment they must not linger in it.

 

이 경지(境地)에 이르면 모든 것은 있는 그대로 깨침이다. 장애(障碍)는 장애대로 깨침이며, 어둠은 어둠대로 또 다른 빛이다. 모든 번뇌(煩惱)가 그대로 깨침이 되는 것까지 모조리 깨쳐버리지 않으면 안 된다.

When people attain Enlightenment in this sense, it means that everything is Enlightenment itself as it is; therefore, people should follow the path to Enlightenment until in their thoughts worldly passions and Enlightenment become identical as they are.

 

4. 우주(宇宙)는 하나라는 개념(槪念), 즉 본질적(本質的)으로 어떠한 구분이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수냐타, 즉 공(空)이라 한다. 모든 사물(事物) 그 자체의 본질(本質)은 실체(實體)가 없고, 생기는 것도 없으며 없어지는 것도 없다. 그것을 말로 표현(表現)할 수 없으므로 공(空)이라 하는 것이다. 모든 것은 서로 관계(關係)하여 조건(條件)에 의해서 성립(成立)되고, 서로 모아져서 존재(存在)하는 것이며, 어떠한 것이라도 홀로 성립(成立)되는 것은 아니다.

4. This conception of universal oneness –that things in their essential nature have no distinguishing marks-is called “Sunyata”. Sunyata means non-substantiality, the un-born, having no self-nature, no duality. It is because things in themselves have no form or characteristics that we can speak of them as niether being born nor being destroyed. There is nothing about the essential nature of things that can be described in terms of discrimination; that is why things are called non-subtantial.

 

구별(區別)이라는 말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 사물의 본질에는 존재(存在)하지 않는다. 그래서 사물의 본질은 없다고 한다. 모든 사물은 인연(因緣)에 의해 나타나고 사라진다. 아무 것도 혼자서는 존재할 수 없다. 사물과 사물의 관계(關係) 내에서만 존재할 뿐이다.

As has been pointed out, all things appear and disappear because of the concurrence of causes and conditions. Nothing ever exists entirely alone; everything is in relation to everything else.

 

빛과 그림자, 길고 짧음, 흑(黑)과 백(白)과 같은, 사물 자체의 본질(本質)이 홀로 있을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자성(自性)이 없다고 한다.

Wherever there is light, there is shadow; wherever there is length, there is shortness; there is white, there is black. Just like these, as the self-nature of things can not exist alone, they are called non-substantial.

 

깨달음은 무지(無知)로부터 독립(獨立)될 수 없고, 무지 또한 깨달음으로부터 독립될 수가 없다. 모든 사물이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는 것이니 어떻게 이중성(二重性)이 있겠는가.

By the same reasoning, Enlightenment can not exist apart from ignorance, nor ignorance apart from Enlightenment. If things do not differ in their essential nature, how can there be duality?

 

5. 사람은 언제나 사물이 생기고 없어지는 것을 보고 있으나, 사물은 본래 생기는 일이 없으므로 없어지는 일도 없다.

5. Peaple habitually think of themselves as being connected with birth and death, but in reality there are no such conceptions.

 

이런 것들의 진실한 모습을 보는 눈을 얻어, 사물이 생기고 없어짐이 둘이 아님을 알아 불이(不二)의 도리를 깨치는 것이다.

When people are able to realize this truth, they have realized the truth of the non-duality of birth and death.

 

사람은 내(我)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내 것에 집착(執着)한다. 그러나 원래 나는 없는 것이기 때문에 내 것이 있을 수 없다. 나와 내 것이 없음을 알아서 나와 너가 둘이 아님의 도리를 깨치는 것이다.

It is because people cherish the idea of an ego-personality that they cling to the idea of possession; but since there is no such a thing as an "ego", there can be no such things as possessions. When people are able to realize this truth, they will he able to realize the truth of "non-duality".

 

사람은 깨끗함과 더러움을 애써 구별하려 하나 사물에는 원래 깨끗한 것도 없고 더러운 것도 없는데 사람들 마음 속의 거짓되고 어리석은 모습으로부터 나온 것이다.

People cherish the distinction of purity and impurity; but in the nature of things, there is no such distinction, except as it rises from false and absurd images in their mind.

 

마찬가지로 사람은 착함과 나쁨을 따로 생각하여, 그것에 구애받고 있다. 그러나 본질적으로는 착함도 없고 나쁨도 없다. 깨침의 도(道)에 든 사람은 이 착함과 나쁨이 원래 따로 있는 것이 아님을 알고 착함과 나쁨이 둘이 아님인 도리(不二)를 깨치는 것이다.

In like manner people make a distinction between good and evil, but there is no good or no evil existing separately. Those who are following the path to Enlightenment recognize no such duality, and it leads them neither to praise the good and condemn the evil, nor to despise the good and condone the evil.

 

사람은 불행(不幸)을 두려워하여 행복(幸福)을 바란다. 그러나 그 구별을 유심히 살펴보면 불행의 상대가 그대로 행복이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불행이 그대로 행복이라고 깨달아서 몸과 마음에 엉겨붙어 자유(自由)를 속박(束縛)하는 어리석음과 진정한 자유라는 것도 특별히 없음을 알아 행복과 불행이 둘이 아님의 도리를 깨치는 것이다.

People naturally fear misfortune and long for good fortune; but if the distinction is carefully studied, misfortune often turns out to be good fortune and good fortune to be misfortune. The wise man learns to meet the changing circumstances of life with an equitable spirit, being neither elated by success nor depressed by failure. Thus one realizes the truth of non-duality.

 

그러므로 유(有)라고도 하고 무(無)라고도 하며, 어리석음이라 하고 깨침이라 하고, 있는 것이라고 하고 없는 것이라고 하고, 바른 것이라 하고 삿된 것이라 하나 실은 서로 반대(反對)되는 두 가지가 있는 것이 아니라 진실한 모습에 있어서는 말할 것도, 가르칠 것도, 의식할 수도 없다. 이런 말이나 꾀하는 바를 떠나는 것이 필요하다. 사람이 이와 같이 말이나 꾀하는 바를 떠났을 때 진실한 공(空)을 깨칠 수가 있다.

Therefore, all these words that express relations of duality-such as, existence and non-existence, worldly-passions and true-knowledge, purity and impurity, good and evil-all of these terms of contrast in one's thinking are neither expressed nor recognized in their true nature. When people keep free from such terms and from the emotions engendered by them, by so much do they realize Sunyata's universal truth.

 

6. 이를테면 맑고 청정한 연꽃이 깨끗한 옥토(沃土)나 맑은 연못에서 피지 않고 오히려 더러운 늪의 진흙 속에서 피어나듯이, 어리석음을 떠나서 따로 깨침이 있은 것이 아니다. 잘롯된 견해(見解)나 어리석음, 그 자체가 바로 깨달음의 씨앗이 된다.

6. Just as the pure and fragrant lotus flower grows out of the mud of a swamp rather than out of the clean loam of an upland field, so from the muck of worldly passions springs the pure Enlightenment of Buddha-hood. Even the mistaken views of heretics and delusions of worldly passions may be the seeds of Buddha-hood.

 

잠수부(潛水夫)가 모든 산호초나 위협적인 고래의 위험을 무릅쓰고 바다의 깊은 바닥으로 내려가지 않으면 진귀한 진주(珍珠)를 얻을 수 없듯이, 인간도 깨침을 얻으려면 어리석음의 위험과 대면(對面)하지 않으면 안 된다. 처음엔 산과 같이 큰 나(我) 때문에 바위 속에서 길을 잃겠지만, 용감하게 그 앞에 설 때 깨침으로 자신을 이끌 수 있는 길을 찾으려는 진정한 마음이 생길 것이다.

If a diver is to secure pearls he must descend to the bottom of the sea, braving all dangers of jagged coral and vicious sharks. So man must face the perils of worldly passion if he is to secure the precious pearl of Enlightenment. He must first be lost among the mountainous crags of egoism and selfishness, before there will awaken in him the desire to find a path that will lead him to Enlightenment.

 

옛날에 한 선인(仙人)이 도를 깨치고자 하는 욕심(慾心)이 너무 강해 칼처럼 생긴 산에 올라가 희망(希望)으로 견디며 자신의 몸을 불 속에 던졌다. 도(道)를 향해 기꺼이 그 위험을 무릅쓴 그는 이기주의(利己主義)의 날카로운 산 위에 섰을 때, 증오(憎惡)의 불구덩이 속에서 불어오는 시원한 바람을 찾을 수 있었고, 그 때 비로소 그토록 극복(克服)하려 노력하고, 고통(苦痛)을 받던 이기주의와 어리석음 그 자체가 바로 깨침임을 깨달을 수 있었다.

There is a legend of a hermit who had such a great desire to find the true path that he climbed a mountain of swords and threw himself into fire, enduring them because of his hope. He who is willing to risk the perils of the path will find a cool breeze blowing on the sword-bristling mountains of selfishness and among the fires of hatred and, in the end, will come to realize that the selfishness and worldly passions against which he has struggled and suffered are Enlightenment itself.

 

7. 붓다의 가르침은 서로 반대(反對)가 되는 두 가지 것을 떠나는 것이다. 모든 것의 반대(反對)되는 개념(槪念)들을 진실(眞實)의 눈으로 보면 결코 둘이 아니었다는 진실한 도리를 깨닫는 것이다.

7. Buddha's teaching leads us to non-duality, from the discriminating concept of two conflicting points of view. It is a mistake for people to seek a thing supposed to be good and right, and to flee from another supposed to be bad and evil.

 

만약, 반대되는 둘 중의 하나를 취하여 집착(執着)하면 비록 그것이 선(善)이고 정(正)이라 할지라도 잘못된 것이다. 만약 사람이 모든 것은 변한다는 생각에 빠진다면 이것도 잘못된 것이며, 반대로 변하지 않는다는 생각에 사로잡힌다면 이것도 처음부터 잘못된 생각이다. 만일에 또, 내가 있다고 집착하면 그것은 잘못된 생각이며 항상 괴로움 속에서 떠날 수 없다. 만약 내가 없다고 집착한다면 그것도 잘못된 생각이며 도를 닦아도 효과가 없다. 모든 것은 오직 괴로움이라고만 생각해도 잘못된 생각이며 모든 것이 즐거움이라고 생각하는 것도 잘못된 것이다. 붓다는 이 두 가지의 선입관(先入觀)을 떠난 중도(中道)를 가르치셨고 그 안에서 서로 다른 두 가지 개념(槪念)은 비로소 하나가 된다.

If people insist that all things are empty and transitory, it is just as great a mistake to insist that all things are real and do not change. If a person becomes attached to his ego-personality, it is a mistake because it cannot save him from dissatisftion or suffering. If he believes there is no ego, it is also a mistake and it would be useless for him to practise the Way of Truth. If people assert that everything is suffering, it is also a mistake; if they assert that everything is happiness, that is a mistake, too. Buddha teaches the Middle Way transcending these prejudiced concepts, where duality merges into oneness.

 

 

출전 : 불교성전(THE TEACHING OF BUDDHA)-화은각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THE MIDDLE WAY(中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연(因緣)-CAUSATION   (0) 2018.01.30
네가지 진리(四諦)[THE FOURFOLD NOBLE TRUTH]  (0) 2018.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