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대강좌(21)-세존 선남자 ~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原文 解義 아(阿)는 무(無) 없다는 뜻이고 뇩다라(耨多羅)는 상(上) 최고란 뜻이며 삼(三)은 정(正) 바르다, 틀림없다는 뜻이며 먁(藐)은 두루하다(徧) 전 우주에 꽉 찼다, 보편타당하다는 뜻이니, 진리는 있는 데 없는 데가 있어서는 안된다, 두루 꽉 있어야 하며 불공평하게 어디 치우치지 않아야 한다는 뜻이며, 삼보리의 삼은 역시 정(正), 바르다는 뜻이고 보리(菩提)는 깨달았다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이란 깨닫는 마음이생겼다, 보리심을 발했다, 또 더 줄이면 발심(發心)했다는 말이 됩니다. 마음이 <참나>라는 불법의 원리에 대해 조금도 의심 없는 사람, 생사에 얽매이지 않고 부동하게 실천하는 것을 발심이라 합니다. 「이렇게 발심을 해서 모든 것이 환각임을 확실히 깨닫고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킨 선남자 선여인이 내 생각 내 마음을 어떻게 가져야 하며 어떻게 행동을 해야 하고 어떻게 살아가야겠습니까. 무슨 말을 하고 무슨 말을 안 해야겠습니까. 내 마음 가운데 죽 끓듯이 일어나는 이 번뇌, 나만 살겠다는 욕심, 이 욕심이 우주에 가득차서 남이야 죽건 말건 내 육신이 내라 하여 끝없이 짓는 죄와 번뇌를 어떻게 하여야 없앨 수 있겠습니까. 이 번뇌의 마음을 쉬는 방법이 무엇이옵니까.」하고 수보리존자가 부처님께 피눈물 나는 호소를 했고 청법(請法)을 한 것입니다. 이에 대한 대답을 하신 부처님의 말씀은 여러가지로 반복되어 있습니다.
출전 : 금강경대강좌(청담큰스님)
-나무 관 세 음 보 살- |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대강좌(23)-여금제청 당위여설~ (0) | 2016.01.17 |
---|---|
금강경대강좌(22)-불언 선재선재 ~ (0) | 2016.01.16 |
금강경대강좌(20)-희유세존 여래 선호념~ (0) | 2016.01.14 |
금강경대강좌(19)-時 長老 須菩提 ~ (0) | 2016.01.13 |
금강경대강좌(18)-第二 善現起請分 (0) | 2016.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