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스님 말씀

산이나 바다 어디에도 숨길 곳은 없다

근와(槿瓦) 2015. 11. 28. 19:15

산이나 바다 어디에도 숨길 곳은 없다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네 형제의 바라문이 있었다. 그들은 모두 다섯 가지 신통력이 있어 국왕의 스승이었다. 그러나 일주일 후에는 자신들이 죽을 것을 미리 알았다. 그들은 서로 의논했다.

 

“우리에게는 다섯 가지 신통력이 있어 하늘과 땅을 뒤집고 해와 달을 어루만지며 산을 옮기고 강물을 흐르지 못하게 하는 등 못하는 일이 없다. 그런데 어째서 이 죽음만은 피할 수 없단 말인가?”

 

한 바라문이 말했다.

“나는 큰 바다 속에 들어가 바닥까지 내려가지 않고 중간에 머물러 있겠다. 아무리 죽음의 살귀(殺鬼)라 한들 어떻게 내가 있는 곳을 알 것인가.”

 

또 한 바라문은 말했다.

“나는 수미산(히말라야) 속에 들어가 그 표면을 합쳐 틈이 보이지 않게 하련다. 아무리 죽음의 살귀라도 내 있는 곳은 모를 거다.”

 

한 바라문은 이렇게 말했다.

“나는 허공으로 높이 올라가 거기에 은신하고 있어야지. 죽음의 살귀라도 어쩔 수 없을거야.”

 

또 한 바라문은 말했다.

“나는 큰 시장 복판에 숨어야겠다. 죽음의 살귀가 와서 한 사람을 붙들 때 하필 나를 찾을 리는 없겠지.”

 

이와 같이 그들은 각기 숨을 곳을 말하고 나서 왕에게 하직을 고했다.

“우리들의 수명을 헤아려 보니 앞으로 이레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그 죽음을 피하려고 각기 길을 떠나기로 했습니다. 죽음에서 벗어난 뒤 돌아와 뵙겠으니 왕께서는 부디 덕으로써 나라를 다스리십시오.”

 

그들은 왕궁을 떠나 저마다 자기가 숨을 곳으로 갔다. 그러나 이렛날이 되자 그들은 모두 죽고 말았다. 그것은 마치 과일이 익어 제물에 떨어지는 것과 같았다. 시장 감독이 왕에게 아뢰었다.

“어떤 바라문이 시장 한복판에서 갑자기 죽었습니다.”

 

왕은 스승인 바라문임을 알아보았다.

“네 사람이 죽음을 피해 각기 딴 곳으로 떠났는데 벌써 한 사람이 죽었도다. 그 나머지 세 사람인들 어찌 죽음을 면할 수 있으랴.”

 

왕은 곧 수레를 준비하여 부처님께 나아가 예배하고 말씀드렸다.

“바라문 네 형제가 있었습니다. 그들은 다섯 가지 신통력이 있어 자기들의 목숨이 이레 뒤로 임박한 것을 미리 알고, 저마다 죽음을 피해 길을 떠났습니다. 그들이 과연 죽음을 면할 수 있겠습니까?”

 

부처님은 말씀하셨다.

“사람으로서는 면할 수 없는 네 가지 일이 있소. 첫째는 중음(中陰)으로 있으면서 생(生)을 받지 않을 수 없고, 둘째는 한번 태어났으면 늙지 않을 수 없으며, 셋째는 늙어서는 병들지 않을 수 없고, 넷째는 이미 병들었으면 죽지 않을 수 없소.”

 

부처님은 다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허공도 아니고 바다속도 아니어라

산속도 아니고 바위 틈도 아니어라

죽음을 벗어나 은신할 곳

그 아무데도 있을 수 없네

이것은 힘써야 할 일 내가 할 일

나는 이 일을 성취해야 한다고

사람들은 그 때문에 초조히 오가면서

늙고 죽음의 근심을 밟고 다니네

이런 줄 알아 스스로 고요하고

생사가 이미 끝났음을 알았다면

그는 악마의 손에서 벗어난 것

비로소 생사의 강을 건너게 되리 <법구비유경 무상품(無常品)>

 

무상(無常)이란 단순히 덧없고 허무하다는 뜻이 아니다. 모든 존재는 생멸 변화하면서 잠시도 같은 상태로 머물지 않음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무상이란 말의 본 뜻은 변한다는 것. 모든 것이 변하지 않고 그대로 있다면 오히려 큰 일이 벌어질 것이다. 변하기 때문에 거기에 가능성이 있다. 변하기 때문에 창조적이고 의지적인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얼마든지 개선될 수가 있다. 육신의 무상함을 알고 침울해 할 것이 아니라, 그러기 때문에 아무렇게나 살지 않고 시시(時時)로 거듭 나면서 후회없이 알차게 살아야 한다는 뜻이다. 유기체인 육신은 영원하지 않지만, 법신(法身)은 무상하지 않고 상주(常住)하므로 청정한 법신을 구현해야 한다는 것이 불타 석가모니의 가르침이다. 중음(中陰)이란 중유(中有)라고도 하는데, 의식을 지닌 중생(生物)이 죽음의 순간(死有)으로부터 다음 생을 받을(生有)때까지의 중간 시기를 말한다. 이 기간이 49일이라는 설이 있기 때문에, 죽은 사람을 위해 49일 동안 명복을 빌고 재(齋)를 지내는 풍습이 생기게 된 것이다.

 

 

출전 : 인연이야기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법정스님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수로 저지른 일의 깊음은 실수로 받는다  (0) 2016.07.05
그 자리’를 헛딛지 말라  (0) 2015.12.07
나무 지옥대보살  (0) 2015.11.27
법정스님 법문(9)  (0) 2015.11.26
법정스님 법문(8)  (0) 2015.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