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업(工業,22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원료에 인공을 가하여 새로운 물품을 만드는 산업. 준) 공(工).
참고
원료에 인공을 가하여⇒00원료에→원료(原料,1788)-국어사전 : 어떤 물건을 제조하거나 가공하는 데 바탕이 되는 재료. 밑감. 원재료. ...제조(製造,2098)-국어사전 : ① 만듦. 지음. ② 원료를 가공하여 제품을 만듦. ...가공(加工,3)-국어사전 : 원료나 재료에 손을 더 대어 새로운 물건을 만드는 일. ...가공(架空,3)-국어사전 : ① 공중에 건너지름. ② 근거 없는 일. 예) 가공의 사실. ③ 사실이 아니고 상상으로 지어 낸 일. 예) 가공의 이야기. / 가공의 인물. 비) 허구(虛構). ...가공(可恐,3)-국어사전 :‘가공하다’의 어근. ...가공하다(可恐-,3)-국어사전 : 두려워할 만하다. 놀랄만하다. (주로,‘가공할’의 꼴로 쓰임.) 예) 핵무기(核武器)의 가공할 파괴력. ...핵무기(核武器,2585)-국어사전 : 원자핵의 분열 반응이나 융합 반응으로 말미암아 일어나는 핵에너지를 응용한 무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원자폭탄·수소폭탄·원자포 따위.] 원자 무기. 핵. 핵병기. ...원자폭탄(原子爆彈,1794)-국어사전 : 원자핵이 분열할 때 생기는 에너지를 이용한 폭탄. [우라늄 235, 플루토늄 239가 주원료임.] 준) 원폭·원자탄. ...수소폭탄(水素爆彈,1397)-국어사전 : 중수소의 원자핵이 열핵 반응에 의해 융합하여 헬륨 원자핵을 만들 때 방출하는 막대한 에너지를 이용하여 만든 폭탄. 준) 수소탄·수폭. ...중수소(重水素,2172)-국어사전 : 수소의 동위 원소로서 질량수가 2 및 3인 수소. [일반적으로 질량수가 2인 동위체 ²H를 이름.] ...헬륨(helium,2605)-국어사전 : 희가스 원소의 한 가지.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다른 원소와 화합하지 않고 불에도 타지 않음. 수소 다음으로 가볍고 끓는점이 낮아 기구용(氣球用) 가스나 극저온 냉각제 따위로 쓰임. [He/2/4.00260] ...원자포(原子砲,1794)-국어사전 : 원자 탄두를 장치한 포탄을 발사할 수 있는 대포. ...원자탄두(原子彈頭,1794)-국어사전 : 로켓탄 따위의 앞부분에 장치된 원자력 폭발물. ...로켓탄(rocket彈,728)-국어사전 : 로켓의 추진력을 이용한 탄환. ...로켓(rocket,728)-국어사전 : 연료를 태워서 생기는 고압 가스를 고속으로 분출시켜 그 반동으로 추진력을 얻는 장치, 또는 그러한 장치로 된 비행체. 예) 로켓을 쏴 올리다. ...핵융합(核融合,2586)-국어사전 : 수소나 중수소 따위 가벼운 원자핵끼리 하나로 합쳐져 무거운 원자핵을 만드는 핵반응의 한 가지. 이때, 엄청난 에너지가 방출됨. 열핵 반응. 원자핵 융합.↔핵분열. ...원자핵(原子核,1794)-국어사전 : 원자의 중심부에 있는 작은 입자. [양자와 중성자가 결합된 것으로 양(陽)의 전하(電荷)를 띰.] 핵(核). ...핵분열(核分裂,2585)-국어사전 : ① 생물의 세포 분열에서, 세포질의 분열에 앞서 핵이 둘로 쪼개지는 일. ② 질량이 큰 무거운 원자핵이 많은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거의 같은 크기의 핵 두 개 이상으로 분열하는 일. 원자핵 분열.↔핵융합. ...핵(核,2585)-국어사전 : ① (사물이나 활동의) 중심이 되는 것. 참) 핵심. ② 생물 세포의 중심에 있는 둥근 물체. 보통, 세포 하나에 하나씩 있어 세포의 증식과 유전에 큰 구실을 함. 세포핵. ③ 핵과(核果)의 씨를 보호하고 있는 딱딱한 껍데기. ④ →핵무기. 예) 핵 개발. / 핵 공격. / 핵 확산 금지 조약. ⑤ →원자핵. ...핵병기(核兵器,2585)-국어사전 : →핵무기. ...원자로(原子爐,1793)-국어사전 : 원자핵 분열의 연쇄 반응을 인위적으로 제어하여 원자력을 필요에 따라 서서히 방출하도록 조절하는 장치. ...핵탄두(核彈頭,2586)-국어사전 : 미사일 따위에 결합시켜 놓은, 핵이 장치된 탄두. ...핵전쟁(核戰爭,2586)-국어사전 : 교전(交戰) 중인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이 핵무기를 사용하는 전쟁. ...핵우산(核雨傘,2586)-국어사전 : 핵무기를 가진 대국(大國)이 가상 적국의 핵 공격 따위로부터 동맹국을 보호할 수 있다고 가정하는 범위, 또는 그 전력(戰力). ...미사일(missile,884)-국어사전 : 로켓이나 제트 엔진으로 추진되어, 주로 유도 장치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목표에 이르는 무기. [지대공, 지대지, 공대지, 공대공 따위로 분류됨.] 유도탄(誘導彈). ...유도장치→00유도(誘導,1810)-국어사전 : ① 물리학에서, 전기나 자기가 자계(磁界)·전계(電界) 속에 있는, 어떤 물체에 미치는 작용. 감응. ② 생물에서, 동물의 배(胚)의 일부가 다른 부분의 분화를 일으키는 작용. ③ 꾀어서 이끎. ...꾀어서→꾀다⁴(402)-국어사전 : 그럴듯하게 남을 속이거나 부추기어 자기의 뜻대로 하게 하다. 꼬이다⁴...속이다(1367)-국어사전 : [‘속다’의 사동] 거짓을 참으로 곧이 듣게 하다. 예) 남을 속이고 마음 편히 지낼 수 있나. / 세상에, 조청을 꿀이라 속이다니…. ...속다(1364)-국어사전 : ① 남의 거짓이나 꾀에 넘어가다. 예) 선전(宣傳)에 속다. ② 거짓을 참으로 알다. 예) 인간은 누구나 보이는 것의 허상(虛像)에 속아 사는 것이다. ...선전(宣傳,1306)-국어사전 : ① 주의·주장이나 어떤 사물의 존재·효능 따위를 사람들에게 설명하고 이해와 공감을 얻기 위해 널리 알림. 예) 신제품을 선전하다. ② 과장하여 말을 퍼뜨림. 예) 교묘한 선전에 속아 넘어가다. ...허상(虛像,2596)-국어사전 : ① 렌즈나 반사경 따위를 발산된 광선을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였을 때 이루어지는 상(像). ② 실제 없는 것이 있는 것처럼 나타나 보이거나 실제와는 다르게 보이는 모습.↔실상(實像). ...실상(實像,1476)-국어사전 : ① 빛이 렌즈나 반사경 따위를 통과·반사한 뒤 다시 한데 모여 맺는 상(像). ② (허울이 벗겨진)‘본디의 모습’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허상(虛像). ...부추기어→부추기다(1074)-국어사전 : 남을 들쑤시어 어떤 일을 하게 만들다. 추기다. 예) 싸움을 걸도록 자꾸 부추기다. ...들쑤시어→들쑤시다(679)-국어사전 : (1) <들이쑤시다>의 준말. (2) <들이쑤시다>의 준말. ...들이쑤시다(682)-국어사전 : (자) 마구 찌르는 듯이 아프다. 예) 골머리가 들이쑤시다. 준) 들쑤시다. (타) ① 남을 가만히 두지 않고 잇달아 집적이거나 부추기거나 괴롭히다. ② (무엇을 찾으려고) 샅샅이 쑤시고 헤집다. ③ 마구 찌르거나 들입다 쑤시다. 준) 들쑤시다. ...집적대다(2229)-국어사전 : 집적거리다. 예) 이 일 저 일에 집적대다. ...집적거리다(2229)-국어사전 : 자꾸 집적집적하다. 집적대다. 예) 공연히 귀찮게 집적거리다. ...집적집적(2229)-국어사전 : ① 아무 일에나 함부로 손을 대어 하다 말다 하는 모양. 예) 할 줄도 모르면서 공연히 집적집적해 보다. ② 남의 일에 끼어들어 함부로 참견하는 모양. ③ 남을 공연히 건드려 성가시게 하는 모양. 예) 괜히 남을 집적집적해서 화나게 만들다. ...건드리다(118)-국어사전 : ① 손이나 발 따위로 만지거나 대거나 하다. 예) 머리를 건드리다. ② (말이나 행동으로) 남의 마음을 상하게 하다. 예) 비위를 건드리다. / 자존심을 건드리다. / 아픈 상처를 건드리다. ③ (어떤 일에) 손을 대어 관계하다. 예) 여러 사업을 건드려서 어려움을 겪다. ④ (부녀자를 꾀거나 하여) 육체관계를 맺다. ...부녀자(婦女子,1058)-국어사전 : →부녀(婦女). ...부녀(婦女,1058)-국어사전 : [‘부인과 여자’라는 뜻으로]‘여성’을 뜻함. 부녀자. ...부추기다(1074)-국어사전 : 남을 들쑤시어 어떤 일을 하게 만들다. 추기다. ...추기다(2331)-국어사전 : (가만히 있는 사람을) 꾀어서 무엇을 하도록 끌어내다. 부추기다. 예) 달콤한 말로 추기다. ...성가시다(1318)-국어사전 : (자꾸 들볶거나 번거롭게 굴어) 귀찮거나 괴롭다. ...들볶다(679)-국어사전 : (잇달아 쉬지 않고 무엇을 채근하거나 잔소리를 하며) 못살게 굴다. 예) 들볶는 자식들 등쌀에 겉늙는다. ...겉늙다(133)-국어사전 : ① 나이에 비하여 더 늙은 티가 나다. 예) 고생을 많이 해서 겉늙어 보인다. ② 보람 있는 일을 해 놓은 것도 없이, 나이만 헛되이 많이 먹다. 예) 육십 평생을 겉늙었다. ...잔소리(1971)-국어사전 : ① 듣기 싫게 늘어놓는 잔말. 세설(細說). 예) 두말하면 잔소리지. ② 꾸중으로 이러니저러니 하는 말. 예) 주인한테 잔소리를 듣다. ...꾸중(404)-국어사전 : <꾸지람>의 높임말. 예) 아버지께서 나를 꾸중하시다. / 선생님께 꾸중을 듣다. ...꾸지람(404)-국어사전 : 아랫사람의 잘못을 꾸짖음, 또는 그 말. 지청구. 예) 꾸지람을 내리다. 높) 꾸중. ...지청구(2204)-국어사전 : ① →꾸지람. ② 아무 까닭 없이 남을 탓하고 원망함. ...00장치(裝置,1999)-국어사전 : ① (기계나 설비 따위를) 어떤 목적에 따라 기능하도록 설치함, 또는 그 설치한 물건. 예) 도청 장치. / 무대 장치. ② 어떤 일을 원만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설정한 조직 구조나 규칙 따위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예)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 ...도청(盜聽,623)-국어사전 : 몰래 엿들음. 예) 도청 장치. ...엿듣다(1675)-국어사전 : 남의 말을 몰래 듣다. 예) 방 안의 이야기를 밖에서 엿듣다. ...몰래(830)-국어사전 : 남이 모르게 가만히. 예) 몰래 숨다. ...숨다(1421)-국어사전 : ① 보이지 않게 몸을 감추다. 예) 바위 뒤에 숨다. ② 드러나지 않다. (주로,‘숨은’의 꼴로 쓰임.) 예) 숨은 공로. ...듣다³(676)-국어사전 : ① 소리를 귀를 통하여 느끼다. 예) 새소리를 듣다. ② 칭찬이나 꾸중을 받다. 예) 호된 꾸지람을 듣다. ③ 이르거나 시키는 말에 잘 따르다. 예) 아이가 말을 잘 듣다. ④ 부탁이나 요청을 받아들이다. 허락하다. 예) 부탁을 듣다.
...00인공을→인공(人工,1897)-국어사전 : ① 자연물을 사람의 힘(손)으로 달리 바꾸어 놓는 일. 인위(人爲). ② 사람의 힘으로 자연물과 똑같은 것을, 또는 전혀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일. 인조(人造). 예) 인공 심장. / 인공 호수의 아름다운 경관. ...인위(人爲,1904)-국어사전 : 사람의 힘으로 이루어지는 일. 인공.↔자연·천연·천위(天爲). ...자연¹(自然,1952)-국어사전 : (1) ① 사람의 손에 의하지 않고서 존재하는 것이나 일어나는 현상. [산·강·바다·동물·식물·비·바람·구름 따위.] 예) 자연의 혜택을 누리다. / 자연의 섭리를 거역하다.↔인위(人爲). ② 사람이나 물질의 본디의 성질. 본성(本性). 예) 잠을 안 자면 졸리는 것은 다 자연의 이치다. ③ 철학에서, 인식의 대상이 되는 외계(外界)의 모든 현상을 이르는 말. (2) 사람의 의도적인 행위 없이 저절로. 예) 물은 자연 아래로 흐르기 마련이다. ...천연(天然,2285)-국어사전 : (1) 사람이 손대거나 달리 만들지 아니한, 자연 그대로의 상태. 예) 천연의 아름다운 경관. / 천연의 보루.↔인위(人爲). (2) 매우 비슷하게. 예) 웃는 눈매, 보조개까지 천연 제 어머니 모습이야. ...보루(堡壘,1024)-국어사전 : ① (적의 공격이나 접근을 막기 위하여) 돌흙콘크리트 따위로 튼튼하게 쌓은 진지. 보채(堡砦). ②‘어떤 일을 하기 위한 튼튼한 발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예) 민주주의의 보루. ...민주주의(民主主義,892)-국어사전 : 주권이 국민에게 있고 국민을 위하여 정치를 하는 제도, 또는 그런 정치를 지향하는 사상. 준) 민주(民主).↔전제주의(專制主義). ...전제주의(專制主義,2048)-국어사전 : 지배자의 전단(專斷)에 의한 정치를 합리화하려는 주의.↔민주주의.
...00가하여→가하다(加-,34)-국어사전 : ① (수량이나 정도 따위를) 더하다. 보태다. 예) 주행 속도를 가하다. / 보충 설명을 가하다.↔감하다. ② (어떤 동작이나 작용을) 다른 것에 미치게 하다. 예) 열을 가하다. / 압력을 가하다. / 제재를 가하다. ③ (병이나 결함을) 손을 써서 고치다. 예) 수술을 가하다. ...감하다(減-,67)-국어사전 : (1) 줄다. 적어지다. (2) (수량이나 정도 따위를) 줄이다. 덜다. 예) 1할을 감하다.↔가하다. ...덜다(602)-국어사전 : ① 일정한 수량이나 정도에서 얼마를 떼어 줄이다. 예) 밥을 덜다. ② 어떤 상태나 행동의 정도를 적게 하다. 예) 이제야 겨우 근심을 덜었다. ...줄이다(2164)-국어사전 : [‘줄다’의 사동] 줄어들게 하다. 예) 종업원 수를 줄이다. / 옷을 줄이다. ...줄다(2163)-국어사전 : 부피나 수효 또는 규모 따위가 본디보다 작아지거나 적어지다. 예) 체중이 줄다.↔늘다. ...늘다(509)-국어사전 : ① 본디보다 길어지다. 예) 봄이 되니 잠이 예전보다 늘었다. ② 본디보다 커지거나 많아지다. 예) 체중이 늘다. / 식구가 늘다. ③ 본디보다 넓어지다. 예) 간척 사업으로 농토가 늘다. ④ 생활이 본디보다 넉넉해지다. 예) 살림이 늘다. ⑤ 학문이나 재능 따위가 더 나아지다(발전하다). 예) 말솜씨가 크게 늘다. / 학식이 늘다. / 기술이 늘다.↔줄다.
새로운 물품을 만드는 산업⇒00새로운→새롭다(1258)-국어사전 : ① 새삼스럽다. 예) 학창 시절이 새롭다. ② 항상 새것의 상태로 있다. 예) 네 가방은 언제 봐도 새롭구나. ③ 전에 없던 것이다. 예) 새로운 기술. ④ (일부 시간이나 수량을 나타내는 말을 주어로 하여) 절실하게 필요하다. 예) 단돈 100원이 새롭다. ...새삼스럽다(1259)-국어사전 : ① 이미 알고 있는 일인데도 새로운 일인 것처럼 생생한 느낌이 있다. 새롭다. 예) 그의 우정이 새삼스럽게 고마웠다. ② 지난 일을 이제 와서 공연히 들추어내는 느낌이 있다. 예) 새삼스럽게 그 일을 문제 삼는 이유를 모르겠다.
...00물품을→물품(物品,876)-국어사전 : 쓸모 있는 물건이나 제품.
...00만드는→만들다(752)-국어사전 : ① (원료나 재료 등을 써서) 어떤 물건을 이루다. 예) 자동차를 만들다. ② 없던 것을 새로 이루어 내다. 예) 규정을 만들다. ③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 어떤 상태로 이루다. 어떻게 되게 하다. 예) 훌륭한 인재로 만들다. ④ (상처 등이) 생기게 하다. ⑤ (무슨 일을) 일으키거나 꾸미다. 예) 공연한 일거리를 만들다. ⑥ 마련하거나 장만하다. 예) 자금을 만들다.
...00산업→산업(産業,1205)-국어사전 : ① 사람이 생활하기 위하여 하는 일. ② 근대의,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 농업·공업·수산업·임업·광업 따위. 넓게는 생산과 직접 관계되지 않는 상업·금융업·서비스업 따위도 포함시킴. ...농업(農業,491)-국어사전 :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가꾸거나, 유용한 동물을 기르거나 하는 산업. 넓은 뜻으로는 임업·양잠업 등도 이에 딸림. ...공업(工業,227)-국어사전 : 원료에 인공을 가하여 새로운 물품을 만드는 산업. 준) 공(工). ...수산업(水産業,1395)-국어사전 : 수산물의 어획이나 채취, 양식이나 기공 따위의 산업. 준) 수산. ...임업(林業,1927)-국어사전 : 이득을 얻고자 삼림(森林)을 경영하는 사업. ...광업(鑛業,254)-국어사전 : 광물을 채굴(採掘)하거나 그것을 제련(製鍊)하거나 하는 사업. ...광물(鑛物,252)-국어사전 : 지각(地殼) 속에 섞여 있는 천연의 무기물(無機物). 일반적으로 질이 고르고 화학 성분이 일정함. [금·철·석탄 따위.] ...상업(商業,1246)-국어사전 : 상품을 사고팔아 이익을 얻는 일, 또는 그러한 목적으로 하는 사업. 곧, 도매업·소매업·중개업 따위의 영업. 준) 상³...도매업(都賣業,617)-국어사전 : 도매를 하는 영업, 또는 그 업체.↔소매업. ...도매(都賣,617)-국어사전 : (생산자로부터 사들인 상품을) 모개로 넘겨 파는 일.↔소매·산매(散賣). ...모개(809)-국어사전 : 이것저것 한데 몬 수효. (주로,‘모개로’의 꼴로 쓰임.) 예) 이 과일 모개로 얼마요? ...몰다(829)-국어사전 : ① (채로 치거나 소리 지르면서) 짐승 따위를 나아가게 하다. 예) 양 떼를 몰다. ② 말이나 차를 타고 부리거나 운전하다. 예) 차를 몰다. / 청노새 몰고 가는 낭군. ③ 공 따위를 발로 차면서 가다. ④ 한데 모으거나 합치다. 예) 한데 몰아서 팔다. ⑤ (막다른 지경으로) 쫓다. 예) 사냥감을 몰다. / 궁지에 몰다. ⑥ 몹시 나무라거나 구박하다. 예) 잘잘못을 가리지 않고 마구 몰아대다. ⑦ (조사‘로’다음에 쓰이어) 남을 나쁘게 인정하여 다루다. 예) 역적으로 몰다. ...소매업(小賣業,1350)-국어사전 : 소매하는 영업. 산매업.↔도매업. ...중개업(仲介業,2166)-국어사전 : 상행위의 대리, 또는 상품 매매의 중개를 전문으로 하는 직업. ...중개(仲介,2166)-국어사전 : 제삼자의 처지로, 둘 이상의 당사자 사이에 들어 어떤 일을 주선함. 예) 중개 상인. ...금융업(金融業,347)-국어사전 : 은행이나 보험 회사 등에서, 자금을 융통하는 영업. ...서비스업(service業,1283)-국어사전 : 서비스 산업에 속하는 업종, 곧 생산이나 상품의 유통에는 직접 관계없이 노무·편의 따위를 제공하는 업종을 통트렁 이르는 말.
000 건성(120)-국어사전 : ① 진심으로 하지 아니하고 겉으로만 함. 예) 너는 왜 그렇게 매사에 건성이니? ② 진지한 자세나 성의 없이 대충하는 태도. (주로,‘건성으로’의 꼴로 쓰임.) 예) 건성으로 대답하였다. / 그는 건성으로 인사하였다. / 그의 말을 건성으로 넘겨 버렸다. ...대충(589)-국어사전 : ① 어림잡아. 예) 대충 스무 명가량 올 것이다. ② 건성으로. 대강. 예) 시간이 없어서 대충 치웠다. 본) 대총(大總). ...어림잡다(1598)-국어사전 : 대강 짐작으로 헤아려 보다. 어림치다. 예) 비용을 어림잡아 보다. ...대강(大綱,566)-국어사전 : (1) <대강령>의 준말. 예) 사건의 대강을 설명하다. (2) 일의 중요한 부분만 간단하게. 건정. 대충. 얼추. 예) 네 사정은 대강 들어서 알고 있다. / 일을 대강 마무리하고 퇴근합시다. ...얼추(1616)-국어사전 : ① 대강. 예) 일이 얼추 끝나다. ② 거의 가깝게. 예) 얼추 다 왔다. ...짐작(斟酌,2226)-국어사전 : (까닭이나 형편 따위를) 어림잡아 헤아림, 겉가량으로 생각함. 침량(斟量). 예) 대강 짐작은 간다.
선법(善法,1318)-뉴사전 : 선한 일. 바른 일. 도리에 따르고 자타(自他)를 이익되게 하는 법(法). 세상의 선법. 오계·십선을 말함. 혹은 출세간(出世間)의 선법. 삼학육도(三學六度)를 말함. <俱舍論 16권 2, 17권 11 등>「因 善法 向上」산, dharmena gamanam urdhvam(미덕(美德)에 의해서 천상에 오른다.) <金七十論 44頌 54권 1255下>
.....오계(五戒,1786)-뉴사전 : ① 5가지 계율. 재가(在家)의 불교신자가 지켜야 할 5가지 훈계. (1) 살생하지 말 것. (2) 도둑질하지 말 것. (3) 남녀 사이를 혼란시키지 말 것. 성에 관해서 문란하지 않는 것. 특히 부인외의 여자, 또는 남편외의 남자와 교제하지 말 것. (4) 거짓말하지 말 것. (5) 술을 마시지 말 것. 살생(殺生)·투도(偸盜)·사음(邪婬)·망어(妄語)·음주(飮酒)의 금제(禁制). 불살생계(不殺生戒)·불투도계(不偸盜戒)·불사음계(不邪婬戒)·불망어계(不妄語戒)·불음주계(不飮酒戒)의 총칭. 우바새계(優婆塞戒)라고도 함. <長阿含經 2권 ㊅ 1권 14下> 팔, Panca-Sila <遊行經 ㊅ 1권 196下> <九橫經 ㊅ 2권 883中> [보통 원어는 산, panca-sila이다.] <四分律 ㊅ 22권 640中> <俱舍論 14권 14-15, 그 위에 3 참조> <觀霧量壽經 ㊅ 2권 345中> 산, panca siksapadani <藥師本願經 ㊅ 14권 407上 : Bhaisaj. p.19, c.8> <灌頂經 12권 ㊅ 21권 534中, 535下> <反故集> ② 오계(五戒)를 지키는 재가(在家)의 남자. 우바새(優婆塞). .....십선(十善,1577)-뉴사전 : ① 10가지의 선한 행위. 십악(十惡)의 반대. 십악(十惡)이란, 살생(殺生)·투도(偸盜)·사음(邪婬)·망어(妄語 : 거짓말을 하는 것)·양설(兩舌)·악구(惡口)·기어(綺語 : 정말로 재미있게 만드는 말)·탐욕(貪欲)·진에(瞋恚 : 화내고 미워하는 것)·사견(邪見 : 잘못된 견해)를 말함. 이상의 십악(十惡)을 행하지 않는 것. 불살생(不殺生)에서 불사견(不邪見)까지를 십선(十善)이라 함. 죽이지 않는다(산, prana-atipatat prativiratah), 훔치지 않는다(산, adatta-adanat p.), 사음하지 않는다(산, kama-mi-thya-carat p.), 망어하지 않는다(산, anrta-va-canat p.), 욕하지 않는다(산, parusa-vacanat p.), 기어하지 않는다(산, sambhinna-pralapat p.), 양설하지 않는다(산, pisuna-vacanat p.), 탐욕하지 않는다(산, abhidhyatah p.), 화내지 않는다(산, vyapadat p.), 사견을 품지 않는다(산, mithya-darsanat p.). <寂志果經 ㊅ 1권 272中> <觀無量壽經 ㊅ 12권 341下> <大智度論 46권 ㊅ 25권 395下 참조> ② 전생에 십선(十善)을 행한 공덕에 의해 금생에 왕위를 받기에 이르렀다는 의미로 천황의 위(位 : 지위)를 가리켜 말함. (해석예) 신삼구사의삼(身三口四意三)임. 성왕(聖王)의 천명을 받아 만민을 무육(撫育)하는 법. <十善戒相 13의 1> 도에 따르는 것을 선이라 함. 차선십종(此善十種)이 있으면, 십선(十善)이라 함. <人登道隨 上 13의 52>
.....출세간(出世間,2573)-뉴사전 : ① 3계의 번뇌를 떠나 깨달음의 경지에 드는 것. 또는 그 경지. 세속·세간의 대어(對語). 초월성. 세속을 벗어난 깨끗한 세계. 팔, lokuttara <雜阿含經 28권 ㊅ 2권 203上 : MN. Ⅲ, p.72> ② 진실을 구하는 깨달음의 수행. 해탈을 위한 가르침. 사제(四諦)·6도(六度) 등. <維摩經 ㊅ 14권 554中> ③ 불법(佛法)의 영역. <眞言內證> (해석예) 이 3계의 속박을 벗어나 무루성도(無漏聖道)에 들다. <人登道隨 上 31의 53>「出世間慧」산, lokauttara prajna
.....사제(四諦,1118)-뉴사전 : 산, Catvari-aryasatyani 팔, Cattari-ariyasaccani. 사성제(四聖諦)라고도 함. 고(苦)·집(集)·멸(滅)·도(道). 불교의 강격(綱格)을 나타낸 전형(典型)으로서 유력(有力)한 것. 제(諦)는 불변여실(不變如實)의 진상(眞相)이란 뜻. (1) 고제(苦諦). 현실의 상(相)을 나타낸 것이니, 현실의 인생은 고(苦)라고 관하는 것. (2) 집제(集諦). 고(苦)의 이유 근거(理由根據) 혹은 원인(原因)이라고도 하니, 고의 원인은 번뇌인데, 특히 애욕과 업(業)을 말함. 위의 2제는 유전(流轉)하는 인과. (3) 멸제(滅諦). 깨달을 목표. 곧 이상(理想)의 열반. (4) 도제(道諦). 열반에 이르는 방법. 곧 실천하는 수단. 위의 2제는 오(悟)의 인과. 이 사제설(四諦說) 자신에는 아무런 적극적인 내용이 들어 있지 않지만, 후대에 이르면서 매우 중요시하게된 데는 여러 가지 체계를 포괄(包括)하여 조직적으로 취급한 것이 있다. 고제는 무상(無常)·고(苦)·무아(無我)·5온(蘊) 설(說)을, 집제·멸제는 연기설(緣起說)을, 도제는 8성도(聖道) 설을 표하는 것. 그리고 고제·집제는 12인연의 순관(順觀)에, 멸제·도제는 역관(逆觀)에 각각 해당한다. 사제(四諦)는 사체로도 읽는다.→사성제. ...사성제(四聖諦,1090)-뉴사전 : 사제(四諦)와 같음. 사제는 뛰어나고 신성한 것이므로, 성(聖 ; 산, arya 팔, ariya)이라는 자를 붙임. 제(諦 ; 산, satya 팔, sa-cca)란 진리·진실이라고 하는 것. 인생문제와 그 해결법에 대한 네가지의 진리라고 하는 뜻. 즉, 고제(苦諦 ; 산, duhkha-satya)·집제(集諦 ; 산, samudaya-s ; 고집체), 멸제(滅諦 ; 산, niro-dha-s ; 苦滅諦·苦集滅諦)·도제(道諦 ; 산, marga-s ; 苦滅道諦·苦集滅道諦)를 말함. (1) 고제. 이 세상은 고통이라고 하는 진실. (2) 집제. 고통의 원인이 번뇌·망집이라고 하는 진실. (3) 멸제. 고통의 원인이 멸이라고 하는 진실. 즉 무상의 세상을 초월하여 집착을 끊는 것이 고통을 없앤 깨달음의 경지라고 하는 것. (4) 도제. 깨달음으로 이끄는 실천이라고 하는 진실. 즉 이상의 경지에 이르기 위해서는 팔정도의 올바른 수행방법에 의해야만 한다고 하는 것. (俱舍論 22권 1-3> <中阿含經 7권 ㊅ 1권 464中 : MN. Ⅰ, p.184>
.....십이인연(十二因緣,1589)-뉴사전 : 인간의 고통, 고민이 어떻게 해서 성립하는지를 고찰하고, 그 원인을 추구하여 12가지 항목의 계열을 세운 것. 존재의 기본적 구조의 12구분. 연기(緣起)의 이법(理法)을 12가지 항목으로 나눠서 설명한 것. 생존의 조건을 나타내는 12가지의 계열. 늦게 성립된 해석에 의하면, 중생이 과거의 업에 의해 현재의 과보를 받고, 또한 현세의 업에 의해 미래의 과보를 받는 인과의 관계를 12가지로 분류하여 설명한 것. (1) 무명(無明 : 무지), (2) 행(行 : 잠재적 형성력), (3) 식(識 : 식별작용), (4) 명색(名色 : 마음과 물질), (5) 육처(六處), (6) 촉(觸 : 감관과 대상과의 접촉), (7) 수(受 : 감수작용), (8) 애(愛 : 맹목적 충동, 망집, 갈망에 비유되는 것), (9) 취(取 : 집착), (10) 유(有 : 생존), (11) 생(生 : 태어나는 것), (12) 노사(老死 : 무상한 모습)을 가리킨다. 차례로 앞의 것이 뒤의 것을 성립시키는 조건이 되어 있음. 따라서 차례로 앞의 것이 없어지면 뒤의 것도 없어진다.
.....삼학(三學,1242)-뉴사전 : 불도를 수행하는 자가 반드시 닦아야 하는 가장 기본적인 세가지 수행 부류를 말함. 계학(戒學)과 정학(定學)과 혜학(慧學)의 이 세가지를 가리킴. (1) 계(戒)는, 악(惡)을 멈추고 선(善)을 닦는 것. (2) 정(定)은, 심신을 정결히 하여 정신을 통일하고, 잡념을 몰아내어 생각이 뒤엉키지 않게 하는 것. (3) 혜(慧)는, 그 정결해진 마음으로 바르고 진실한 모습을 판별하는 것. 이 부즉불이(不即不離)한 삼학의 겸수(兼修)가 불도수행을 완성시킴. 규율이 있는 생활을 영위하고, 마음을 잘 가라앉혀서, 거기에서 바른 세계관을 갖게 되는 것. 또 3학(學)(산, trini siksani)이란, 증상계학(增上戒學 산, adhisilam)·증상심학(增上心學 산, adhicit-tam)·증상혜학(增上慧學 산, adhiprajna)이라 함. 증상(增上 탁월)하게 하는 3종의 수행법이라는 뜻. <集異門論 5권 ㊅ 26권 388中> <俱舍論 24권 9, 12 참조> (해석예) 계정혜(戒定慧). <聞解 1의 38>
.....육도(六度,1971)-뉴사전 : 보시(布施)·지계(持戒)·인욕(忍辱)·정진(精進)·선정(禪定)·지혜(智慧)의 피안(彼岸)에 이르는 여섯가지 뛰어난 수행. 육바라밀(六波羅蜜)과 동일. (해석예) 보시 지계 인욕 정진(布施 持戒 忍辱 精進). 이 네가지를 복(福)이라고 하고, 선정 지혜(禪定 智慧) 이 두 가지를 지(智)라고 한다. ...육바라밀(六波羅蜜,1975)-뉴사전 : 대승불교(大乘佛敎)에 있어 보살이 열반에 이르기 위해 실천해야 할 여섯가지 덕목. 바라밀은 산, 팔, paramita의 음역으로, 피안(彼岸)에 이르는 것으로 해석하고, 도(度)라 한역함. 이상(理想)을 달성하는 것. 완성의 의미임. 육도(六度)라고도 함. 여섯가지 덕목의 완성. (1) 보시(布施 산, dana). 주는 것. 그것에는 재시(財施 : 의복 등을 베푸는 것)와 법시(法施 : 진리를 가르치는 것)와 무외시(無畏施 : 공포를 없애고, 안심을 주는 것)의 3종이 있음. (2) 지계(持戒 산, sila). 계율(戒律)을 지키는 것. (3) 인욕(忍辱 산, ksanti). 고난을 참고 견디는 것. (4) 정진(精進 산, virya). 진실의 도(道)를 느슨히 하지 않고 실천하는 것. (5) 선정(禪定 산, dhyana). 정신을 통일하고 안정시키는 것. (6) 지혜(智慧 산, prajna). 진실한 지혜를 얻는 것. <摩訶般若波羅蜜 6권 ㊅ 8권 256下 등>(해석예) 단계인진선혜(檀戒忍進禪慧). <金般講 57> 보시(布施), 지계(持戒), 인욕(忍辱), 정진(精進), 선정(禪定), 지혜(智慧). <念佛名義集 76> ...바라밀(波羅蜜,730)-뉴사전 : 산, 팔, paramita의 음역. 예전에는「도(度)」라 한역했다. 당대(唐代)에 있어서는 도피안(度彼岸)이라 한역. 도(度)란, 건넜다,「도피안」이란 피안에 이르렀다의 뜻. 동시에 완료형임. 절대, 완전한의 뜻. 예를 들면 보시바라밀다(布施波羅蜜多)란, 절대완전의 보시(布施), 은혜를 베푸는 완성의 뜻. 피안에의 길. 완성. 수행의 완성. 깨달음의 수행. 깨달음의 길. 깨달음에 이르기 위한 보살의 수행. 바라밀(波羅蜜)로서는 시(施)·계(戒)·인(忍)·진(進)·정(定)·혜(慧)의 육바라밀(六波羅蜜), 또는 이것에 방편(方便)·원(願)·역(力)·지(智)를 더하여 십바라밀(十波羅蜜)을 세운다. 육바라밀(六波羅蜜)이란, (1) 보시(布施)(산, dana). 사람에게 재물을 주고, 진리(法)을 가르치고, 안심(無畏)를 주는 것. (2) 지계(持戒) (산, sirla). 계율을 지키는 것. (3) 인욕(忍辱)(산, ksanti). 박해곤고(迫害困苦)를 참는 것. (4) 정진(精進)(산, virya). 심신을 힘쓰며, 다른 오바라밀(五波羅蜜)을 수행하는 노력을 계속하는 것. (5) 선정(禪定)(산, dhyana), 마음을 집중하고 안정시키는 것. (6) 지혜(智慧) : 般若 산, prajna). 미혹을 여의고, 존재의 궁극에 있는 실상(實相)을 깨닫는 것을 말함. 제6의 반야에 방편(方便)·원(願)·력(力)·지(智)의 4가지를 더하여 십바라밀(十波羅蜜)이라하는 경우도 있다. 모두 자기를 완성함과 동시에, 많은 다른 사람을 이롭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俱舍論 18권 9> <起信論 ㊅ 32권 579中> (해석예) 도피안(度彼岸). <金般講 4> [표현예] 궁극. 완전한. ...바라밀다(波羅蜜多,731)-뉴사전 : 바라밀(波羅蜜)과 동일.→바라밀 산, paramita <Bodhis.p.4 六波羅蜜多 ; 58, 1.16(十波羅蜜多) ; 371 1.7> <MAV. 眞, 玄>
분별(分別,945)-뉴사전 : ① (외적인 사물에 구애된) 단정. ② 다투다. ③ 수기(授記)와 동일. ④ 논의. 구분교(九分敎)의 하나. ⑤ 배분하는 것. 나누어 배부하는 것. ⑥ 조치. ⑦ 하나하나 분해함. ⑧ 구별. ⑨ 구별하는 것. 열어 보임. 사유. 구분하는 것. ⑩ 구별하여 생각함. 판별하기. ⑪ (두개 이상의) 경우를 나누어 구별하여 설명하는 것. ⑫ 개념으로서 표시할 수 없는 것을 표시하는 것. ⑬ 개념작용. 생각. ⑭ 망분별(妄分別)을 하는 것. 망상. ⑮ 주관적 구상. 구상작용. 아라야식이 개전하여 차별상을 나타낼 때의 주관적 측면. ⑯ 아라야식이 개전하여 차별상을 나타내는 것. 또는 그때의 주관적 측면. ⑰ 망분별. 잘못된 인식. 망상. ⑱ 사물(事物)을 분석하고 구별하는 것. ⑲ 특수. 바이세시카 철학에서 말함. ⑳ 사유(思惟). ㉑ 구별. ㉒ 분별기(分別起)의 약어. 생각하는 것으로부터 일어남.→분별기 ㉓ 사람들이 이해되도록 나누어 설명함. ㉔ 생각하는 것. ㉕ 수심(受心)을 말함. ㉖ 지식으로 하는 이해. 대상을 사려하는 것.「分別名意識」(분별이 즉 뜻이라는 것.) [해설] vika-lpa는 마음의 작용이 대상을 사유하고 계산하는 것이지만, 여기에는 세 종류가 있다. (1) 자성분별(自性分別)(산, svabhava-vikalpa) 안(眼)·이(耳)·비(鼻)·설(舌)·신(身)의 오식(五識)이 대상을 식별하는 작용. (2) 계탁분별(計度分別)(산, abhinirupana-vikalpa). 대상의 차별을 추량하고 재는 작용. (3) 수염분별(隨念分別)(산, anusmarana-vikalpa). 과거의 것을 추념하는 작용. <俱舍論 2권 ㊅ 29권 8中>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 :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낼지니라.
출전 : 불교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수처작주(隨處作主)'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작(客作) (0) | 2017.05.03 |
---|---|
수처작주(隨處作主) (0) | 2016.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