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사(無上士) 무상사(無上士)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님의 十號의 하나이다. 범어 anuttara(阿耨多羅)의 번역. 부처님은 有情 가운데 가장 높은 어른으로 더 위가 없는 大士라는 뜻이다.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십호(十號,부처님) 2016.01.23
선서(善逝) 선서(善逝)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sugata의 번역. 好去 ∙ 妙往이라고도 번역하며 須伽陀라 음역한다. 如來 十號의 하나.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십호(十號,부처님) 2016.01.23
명행족(明行足) 명행족(明行足)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님의 十號중의 하나이다. 열반경에 의하면 明은 無上正遍智이며, 行足은 脚足이란 뜻으로 戒·定· 慧 三學을 가리킨다. 부처님은 三學의 脚足에 의하여 無上正遍智를 얻었으므로 明行足이라 한다. 또한 智度論에 의하면 .. 십호(十號,부처님) 2016.01.22
정변지(正遍知) 정변지(正遍知)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님 十號의 하나. 범어 sam=yak-sambuddha의 번역. 三藐三佛陀 ∙ 三耶三佛檀이라고 音譯하며, 正眞道 ∙ 等正覺 ∙ 等覺 ∙ 正覺이라고도 번역한다. 부처님은 本體界와 現象界에 대한 一切智를 갖추어 우주간의 .. 십호(十號,부처님) 2016.01.21
여래(如來) 여래(如來)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범어 tathagata의 번역. 多陀阿伽度 · 怛薩阿竭 · 怛他誐多 · 多阿竭이라 音譯. 如去라고도 번역한다. 진리(곧 如)에 따라서 왔고, 眞如에서 現出한 이, 곧 佛陀를 말함. 위없는 높은 이라고 하는 의미로 無上의 無上, 곧 .. 십호(十號,부처님) 2016.01.21
십호(十號) 십호(十號)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님께 있는 功德相을 일컫는 열 가지 명호. (1)如來. 범어 tathagata. 多陀阿伽陀 ∙ 多陀阿伽度라 음역. 이 말 뜻에는 이 말을 조성한 두 단어를 나누는 것이 좋다. 첫 말을 tatha. 둘째 말을 gata 또는 agata라고 하는 차이가 있다. tat.. 십호(十號,부처님) 2016.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