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아미타불 29

미타삼존(彌陀三尊,888)-국어사전

미타삼존(彌陀三尊,88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아미타불과 그 협시(脇侍)인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을 아울러 이르는 말. 아미타 삼존. 준) 삼존. 참고 미타(彌陀,717)-뉴사전 : 아미타불의 약어.→아미타불 ...미타(彌陀,888)-국어사전 : 의 준말. ...아미타불(阿彌陀佛,1516)-국어사전 : →아미타. 준) 미타불. ...아미타불(阿彌陀佛,1629)-뉴사전 : 아미타와 같음. 산, Amitadha Buddha ; Amitayus Buddha. 대승불교의 중요한 부처님. 줄여서 미타. 범본경전(梵本經典)에는 아미타바불타·아미타유사불타의 두 이름이 있다. 한역한 여러 경전에도 여러 가지 이름이 있거니와 보통으로는 아미타불·무량수불이라 한다. 정토 3부경에 있는 이 ..

나무아미타불 2023.01.18

육자명호(六字名號,1830)-국어사전

육자명호(六字名號,1830)-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여섯 자로 된 미타(彌陀)의 명호(名號), 곧‘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만을 외는 염불. 참고 미타(彌陀,717)-뉴사전 : 아미타불의 약어.→아미타불 ...미타(彌陀,888)-국어사전 : 의 준말. ...아미타불(阿彌陀佛,1516)-국어사전 : →아미타. 준) 미타불. ...아미타불(阿彌陀佛,1629)-뉴사전 : 아미타와 같음. 산, Amitadha Buddha ; Amitayus Buddha. 대승불교의 중요한 부처님. 줄여서 미타. 범본경전(梵本經典)에는 아미타바불타·아미타유사불타의 두 이름이 있다. 한역한 여러 경전에도 여러 가지 이름이 있거니와 보통으로는 아미타불·무량수불이라 한다. 정토 3부경에 있는 이 부처님의..

나무아미타불 2023.01.14

이십오보살(二十五菩薩,1884)-국어사전

이십오보살(二十五菩薩,1884)-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아미타불을 염하여 극락왕생을 원하는 사람을 보호하여 주는 스물다섯 보살을 통틀어 이르는 말. 참고 보살(菩薩,1026)-국어사전 : ① 부처에 버금가는 성인. 보리살타. ② 의 준말. ③‘고승(高僧)’을 높이어 이르는 말. ④‘나이 많은 여신도’를 대접하여 이르는 말. ⑤ 의 준말. ...보살승(菩薩乘,1026)-국어사전 : 불교의 삼승(三乘)의 하나. 스스로 부처가 됨과 아울러 남을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가르침. 준) 보살. ...삼승(三乘,1225)-국어사전 : ①‘세제곱’의 구용어. ② [중생을 수레에 태워 열반의 언덕으로 실어 나른다는 뜻으로] 성문승(聲聞乘)·연각승(緣覺乘)·보살승(菩薩乘)의 세 가지 ..

나무아미타불 2022.06.08

선택칭명원(選擇稱名願,1333)-뉴사전

선택칭명원(選擇稱名願,133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아미타불 48원(願)중의 제17. 칭명(부처님의 이름을 외는 것)은 여래(如來)가 많은 행함 중에서 선택해서 왕생(往生·이 세상을 떠나 정토에 태어나는 일)의 정업(正業)이라고 정한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임. 그것은 제17원(願)에 의해 성취한 것임.→사십팔원 참고 선택(選擇,1332)-뉴사전 : 취사(取捨 : 좋은 것은 가지고 나쁜 것은 버림)의 의미. 필요하지 않은 것은 버리고, 바른 것을 골라서 취하는 것. 「於法選擇分別推求」팔, dhammavi-caya 칭명(稱名,2610)-뉴사전 : ① 부처님과 보살의 이름을 부르는 것. ② 부처님을 향해「나무불」이라고 칭하는 것.「법화경」방편품(方便品)의「一稱南無」에서 유래함..

나무아미타불 2022.02.03

이행(易行,2098)-뉴사전

이행(易行,2098)-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난행(難行)의 반대. 타력에 의해 정토에 왕생하는 것. ② 이행도(易行道)의 준말로 난행도(難行道)의 반대. 타력에 의한 왕생정토의 법문. 타력·칭명염불의 대신에 사용되는 말. 참고 난행(難行,340)-뉴사전 : ① 실행하기 어렵다. ② 고행(苦行)과 동일.→고행 ③ 이행(易行)의 상대. 자력(自力)에 의한 어려운 수행. 산, duskara-carya 산, duskara. ...고행(苦行,132)-뉴사전 : ① 깨달음을 얻기 위해 또는 원망(願望)을 달성하기 위해 괴로운 수행을 하는 것. 원래 인도에서 불교외의 종교행자(外道)가 깨달음을 얻기 위해 육체를 극도로 혹사시키는 수행을 말함. 팔, tapa ② 12두타(頭陀)를 말함.→..

나무아미타불 2021.11.08

전수사득(專修四得,2259)-뉴사전

전수사득(專修四得,2259)-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잡수(雜修)의 13실(失)에 대하여, 오직 입으로 아미타불의 명호인“나무아미타불”만을 부르면, 4가지 소득이 있다는 것. 당나라 선도가 지은「왕생예찬」에“밖으로 잡연(雜緣)이 없고 정념(正念)을 얻는 연고며, 부처님 본원과 상응(相應)하는 연고며, 교법에 어기지 않는 연고며, 부처님 말씀에 수순하는 연고”라고 하다. 참고 전수(專修,2259)-뉴사전 : ① 단 오직 염불만을 외고, 다른 행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전수염불(專修念佛)이라고도 함. 정토종(淨土宗)에서 오정행(五正行), 혹은 오정행(五正行) 중의 명칭을 자행하는 것을 말하는데, 진종(眞宗)에서는 특히 타력의 염불을 말하고, 자력이라면 정행(正行)이라도 전수(專修)..

나무아미타불 2021.10.23

염불왕생원(念佛往生願,1761)-뉴사전

염불왕생원(念佛往生願,176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아미타불 48원(願)중 열여덟번째. 염불하는 중생을 한결같이 정토(淨土)에 왕생하도록 맹서한 원(願). 제십팔원(第十八願)의 다른 이름. 참고 아미타불(阿彌陀佛,1629)-뉴사전 : 아미타와 같음. 산, Amitadha Buddha ; Amitayus Buddha. 대승불교의 중요한 부처님. 줄여서 미타. 범본경전(梵本經典)에는 아미타바불타·아미타유사불타의 두 이름이 있다. 한역한 여러 경전에도 여러 가지 이름이 있거니와 보통으로는 아미타불·무량수불이라 한다. 정토 3부경에 있는 이 부처님의 역사는 오랜 옛적 과거세에 세자재왕불의 감화를 받은 법장(法藏)이 2백 10억의 많은 국토에서 훌륭한 나라를 택하여 이상국을 건설하기..

나무아미타불 2020.11.28

미타본원(彌陀本願,718)-뉴사전

미타본원(彌陀本願,718)-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아미타불이 과거세에 법장비구(法藏比丘)라 칭했던 시대에, 일체 중생을 구하기 위해 이것을 성취하여 부처님이 된 48의 서원(誓願). 또 그 제18원(願)을 말함. 그것은 염불왕생(念佛往生)의 원(願)임. 참고 아미타불(阿彌陀佛,1629)-뉴사전 : 아미타와 같음. 산, Amitadha Buddha ; Amitayus Buddha. 대승불교의 중요한 부처님. 줄여서 미타. 범본경전(梵本經典)에는 아미타바불타·아미타유사불타의 두 이름이 있다. 한역한 여러 경전에도 여러 가지 이름이 있거니와 보통으로는 아미타불·무량수불이라 한다. 정토 3부경에 있는 이 부처님의 역사는 오랜 옛적 과거세에 세자재왕불의 감화를 받은 법장(法藏)이 2백 ..

나무아미타불 2020.11.11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326)-뉴사전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326)-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아미타불에게 귀의한다는 뜻. 염불(念佛)이라고도 칭함. 염불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입으로「나무아미타불」이라 제창하는 것을 염불이라 함. 정토교에서는 이것을 육자(六字)의 명호(名號)라 부르고, 이것을 제창하는 것에 의해 정토에 태어날 수 있다고 설함. 그러나, 정토종에 따라서는 아미타불에 구제된 기쁨의 나머지 감사의 생각을 가지고 제창하는 보답의 염불이라 설명함. (해석예) 나무(南無)의 2글자는 모든 잡행을 버리고 현세를 비는 마음을 버리고, 일심으로 미타(彌陀)에 귀명(歸命)하는 마음이고, 아미타불의 4글자는 한마음 한방향으로 부탁하는 중생을 도우신다는 뜻임.「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등에 나오는데, 선..

나무아미타불 2020.10.18

교행신증(敎行信證,201)-뉴사전

교행신증(敎行信證,20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6권. 교행증문류(敎行證文類)의 외제(外題). 이것은 진언종에서 세운 사법(四法)의 이름이다. 교(敎)·행(行)·증(證) 3법 외에 다시 신(信)의 일법(一法)을 더 세운 것으로 진언종의 법문에서 특별히 신심(信心)이 가장 중요함을 보인 것이다. 교(敎)는「무량수경」을 가리키며, 행(行)은 나무아미타불을 가리키고, 신(信)은 나무아미타불을 믿는 신심(信心)을, 증(證)은 극락에 왕생하여 열반의 증과(證果)를 얻는 것을 말한다. 참고 교행증(敎行證,201)-뉴사전 : 교는 부처님의 교법, 행은 교법대로 수행하는 것, 증은 수행하여 진리를 깨닫는 것. 진언종(眞言宗,2463)-뉴사전 : 또는 밀종(密宗). 716(당개원 4년) 선무..

나무아미타불 2020.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