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원무행(唯願無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원(願)은 있으나 그 실천이 없는 것. 成佛을 하기 위해서는 願과 萬行이 갖추어져야 하는데, 행이 따르지 않으면 果를 이룰 수 없는 것이므로 淨土敎에서 願만 가지고 왕생 성불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을 通敎家들이 비난하는 말.
참고
원(願) : 所期의 목적을 성취하고자 원하고 구하는 決意를 말함. 특히 內心의 願이라는 의미로 心願·志願·意願·念願이라고도 한다. 그 원의 내용을 願事, 願을 일으키는 본인을 願主라고 한다. 특히 어떤 구체적인 일을 하려 하는 원은 行願이라고 하는데, 보살이 깨달음을 구하여 일으키는 10종의 원을 勝義諦品經에서는 十種行願이라 하고 있다. 또 불교의 최고목적 달성을 목표로 불도수행에 들어간 자리(因位)에서의 보살의 원을 本願·因願·宿願이라 하고, 그 本願의 힘, 本願의 작용을 願力이라고 한다. 무릇 불도를 닦는 보살은 불타가 되고자 맹서하는 願作佛心과, 중생을 교화하고자 하는 度衆生心이 具存하지 않으면 안되는데, 이 二心을 약해서 願作度生이라고 並稱한다.
성불(成佛) : 부처님이 되는 것. 菩薩이 自利 · 利他의 덕을 완성해서 究極的인 깨달음의 경지를 실현하는 것으로 作佛 · 得佛 · 成道· 得道 · 成正覺 · 成菩提 · 證菩提 · 現等覺이라고도 한다. 부처님이 되기까지 긴 세월에 걸쳐 여러가지 수행의 階位를 밟아야 되는데(이것을 歷劫成佛이라 함), 그 세월을 小乘에서는 三阿僧祗劫 및 百大劫(百大劫은 三十二相 · 八十種好를 얻기 위한 福業 곧 相好業을 수행하는 기간)이라 한다.
大乘에선 三 · 七 혹은 三十三의 阿僧祗劫의 수행기간을 말한다. 授決集 卷下에는, 藏敎(小乘敎)의 菩薩은 (1) 四弘誓願을 일으키고 (2) 三阿僧祗劫에 有相의 六波羅蜜을 닦고, (3) 百劫에 相好業을 수행하고 (4) 六波羅蜜을 완성하고 (5) 補處菩薩이 된다. (6) 兜率天에 태어난다. (7) 下生하여 成道한다고 하는 7階位를 거쳐 成佛한다고 했다. 이것을 藏敎菩薩 七階位成佛(七階成道)이라 한다. 소승은 물론이며 대승에서도 三乘敎는 五姓各別을 주장한다. 聲聞이나 緣覺은 成佛할 수 없다고 하는데 대해 一乘敎에서는 二乘作佛을 말하고 있으며, 또 謗法 · 闡提에 이르기까지 모든 중생이 성불한다고 한다. 女人(轉女成男)이나 非情(草木國土悉皆成佛)까지도 成佛한다고 한다. 또 小乘敎에서는 成佛은 오직 수행을 쌓아야 될 수 있다(修得)고 하는데 반해 大乘敎에서는 중생은 본래부터 成佛의 因을 갖추고 있다(性得)고 그 가능성을 주장한다.
① 占察經 卷下에는, 보살수행階位의 각 단계가 그대로 佛이라고 하여 十信의 滿位경지를 信滿成佛(화엄종에서 이를 주장), 十住의 滿位경지를 解滿成佛, 十地의 滿位로 보살수행이 완성된 경지를 行滿成佛, 완전히 佛果에 도달한 경지를 證滿成佛이라 하고 이 넷을 四滿成佛이라 했다.
② 天台宗, 別敎에서는 점진적으로 오랜 세월이 지나서 成佛한다고 하며 圓敎에서는 十住 중 初住位에서 成佛한다고도 했다.(法華玄義 卷五下)
③ 화엄종에서는 勝身 · 見聞 · 一時 · 一念 · 無念의 다섯가지에 따르는 五種疾得成佛說(孔目章 卷 四), 約位(十解 곧 十住의 初位에서 成佛하는 것. 信滿成佛과의 同異) · 約行(階位에 따르지 않고 하나하나의 행의 완성이 成佛이다) · 約理(理로서 모든 중생은 본래의 相이 佛이다)의 3종成佛說(화엄경 探玄記 권三), 見聞生(敎를 見聞하고 믿는 階位) · 解行生(智慧를 얻어 수행하는 階位) · 證入生(최고의 佛果를 믿는 階位)의 三生을 거쳐 成佛한다고 하는 三生成佛說(五敎章 권二)등이 있다.
④ 密敎에서는 3가지의 卽身成佛을 주장한다.
⑤ 禪宗에선 直指人心見性成佛이라 하여 坐禪에 의해, 현실의 자기 마음을 徹見함으로 깨달을 때 분명히 成佛한다고 한다.
⑥ 淨土宗에서는 往生成佛을 주장하며 阿彌陀佛의 淨土에 태어남으로 成佛한다고 한다.
만행(萬行) : 불교도나 수행자 등이 修業할 일체의 행법.
행법(行法) : 四法의 하나. 부처님의 경계에 이르려 하는 수행하는 방법. 密敎에서는 修法 · 密法과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사법(四法) : 불 · 법 · 승 3寶 가운데서 法寶를 분류하여 敎法 · 理法 · 行法 · 果法으로 한 것이다. 敎는 부처님이 說한 敎法이며, 理는 敎法 중에 포함된 중요한 道理이다. 또한 行은 닦아서 증득할 行法이니, 곧 戒 · 定 · 慧 三學 등이며, 果는 마지막에 도달할 理想境인 열반이다.
행(行) : ① 身·口·意의 조작을 말함. 또는 內心이 外境에 가는 것이 心行과 같음. 일체의 有爲法을 말한다. 유위법은 緣을 따라서 일어나고, 만들어진다는 뜻. 또는 이것이 항상 변화하여 생멸하는 것이므로 遷流의 뜻으로 해석함. (1) 五蘊의 하나. 行蘊의 약칭. (2) 十二因緣의 하나. 무명을 근원으로 하고, 감각 등 여러 가지를 발생하는 신·구·의 三業. (3) 諸行無常의 行은 변화하는 現象諸法. ② 동작 또는 행위의 뜻. 몸소 실천해 나아가는 행. (1) 明行足의 행. 부처님이 지혜와 함께 행의 체험자임을 나타내는 것. (2) 願行의 행. 理想과 희망에 이르기 위한 수행. (3) 敎行의 행. 부처님의 가르침에 대한 실행. (4) 心行의 행. 정토문에서 安心의 對, 안심에서 일어나는 행. (5) 六度萬行의 행. 번뇌를 對治하는 것. 이 행은 번뇌가 많음을 따라서 그 수도 많으므로 萬行. (6) 이 밖에 四安樂行·五行·十行·難行·易行·正行·雜行 등의 행은 모두 행위·수행 등의 행이다.
과(果) : 因 곧, 原因을 따라서 일어나는 결과를 일컬음. 有部宗이나 唯識宗에선 五果로 분류한다.
(1) 等類果. 善因으로부터 생기는 善果, 惡因으로부터 생기는 惡果처럼 因과 同質의 果를 일컬으며, 六因중의 同類因과 遍行因에서 생기는 果를 가리키고 習果라고도 한다.
(2) 異熟果. 善, 不善의 業因 즉 異熟因으로부터 생기는 無記(非善非不善)의 果를 말한다. 因과 성질이 다른 成熟한 異란 뜻. 또 報果라고도 한다. 천태종에서는 習果와 報果를 합해 二果라고도 한다.
(3) 士用果. 俱有因 · 相應因의 果이며, 因이 강한 세력을 男子(士夫)의 동작(用)에 비유해서 士用이라 한 것이다. 士用的인 因에 의해서 생긴 果란 뜻. 곧 동시의 因果를 말한다.
(4) 增上果. 자기 자신(主體)을 제외한 모든 有爲法을 能作因이라 하고, 이 능작인에 의해 생긴 果를 말한다. 果에 대해 힘을 강하게 주는 因에 의해서 생긴 果란 뜻. 이상 四果는 有爲法이므로 有爲果라 한다.
이에 대해 (5) 離繫果는 無爲果가 된다. 離繫란 번뇌의 속박을 여읜 것을 뜻하므로 離繫果는 擇滅 곧, 열반의 깨달음을 가리킨다. 擇滅은 無爲法이어서 因등을 갖지 않으므로 不生不滅이며, 따라서 離繫果는 道因에 의해 생기는 果는 아니지만 道는 擇滅을 얻기 위한 得(離繫得)을 내는 因이 되고, 동시에 擇滅은 道에 의해서 證得되므로 擇滅을 離繫果라고 하여, 이것을 또 果果라고도 한다. 이 果는 修行의 果이므로 菩提에 의해 열반을 증득하게 되는 果이다. 또 이 五果에 다음의 네가지 果를 더하여 九果로 하기도 한다.
(6) 安立果. 다른 것에 의지하여 건립된 果.
(7) 加行果는 修行의 실천에 의해 얻어진 果.
(8) 和合果는 여러 因의 和合에 의해 나오는 果.
(9) 修習果는 聖道의 修行을 따라 생기는 果를 말한다. 특히 佛의 十力 · 四無所畏 · 十八不共法 · 自在神力 등은 修行의 결과이며 佛力이므로 果力이라고도 한다. 대승에 있어 佛果, 소승에 있어 阿羅漢果는 究極의 果이므로 極果라고도 한다.
정토교(淨土敎) : 自力的인 수행을 하는 것을 聖道敎라 하는데 대해 아미타불의 本願力을 믿고 그 힘에 의해 극락정토에 往生할 것을 發願하는 것을 일컬으며, 일단 극락세계에 가서 아미타불과 성인들의 교화를 받아 佛法을 성취하고는 다시 사바세계의 중생들을 구제할 것을 發願하는 종파. 어느 경우나 極樂淨土를 전제로 하는 敎이므로 淨土敎라 한다.
왕생(往生) : 목숨이 다하여 다른 세계에 가서 태어나는 것. 極樂往生 · 十方往生 · 兜率往生 등이 있다. 往生을 원하는 것을 願生(願往生)이라고 한다.
① 極樂往生은 無量壽經 등의 說에 의거하여 아미타불의 淨土에 태어나는 것을 말한다. 淨土敎는 이것을 목적으로 하는 敎이고, 다른 대승불교에서도 깨달음을 열기 위한 수단으로서 說한다. 眞宗등에서는 往生即成佛의 說을 세운다. 往生의 방법에는, 念佛往生(불타의 이름을 부름으로 인하여 왕생함) · 諸行往生(염불이외의 착한 행위를 해서 왕생함) · 助念佛往生(염불의 도움으로 하여 諸行을 닦아서 왕생함)등이 있고, 또 聞名往生(부처의 이름을 듣고 믿어 왕생함)이라고 하는 것도 있다. 또 即往生[불타께서 주신 信心에 의해서 報土에 태어나는(化生) · 便往生(자기의 힘을 의지해서 化土에 태어나는 것(胎生))의 二往生說, 혹은 即往生을 難思議往生(第十八願 他力念佛往生) · 便往生을 難思往生(第二十願 自力念佛往生) · 雙樹林下往生(第十九願 諸行往生)이라고 하는 三往生說이 있다. 또 眞宗에서는 信心을 얻은 때에 왕생할 수 있는 것이 定해지는(往生一定) 것을 前念命終 後念即生이라고 하고, 即得往生이라고 한다. 도 이것을 不體失往生(더러운 몸 그대로 平生중 어느 때에 왕생이 정해지는 것)이라고 하고, 體失往生(육체가 죽으면 곧 왕생한다)에 상대시킴. 또 한번 죽어 새로 태어났다가 왕생하는 것을 願次往生이라고 한다. (極樂傳記를 往生傳이라 한다).
② 十方往生은 十方隨願往生經 등의 說에 의거하여 아미타불 이외의 諸佛의 淨土에 태어나는 것. ③ 兜率往生은 彌勒上生經등의 설에 의거하여, 미륵보살이 現存하는 兜率天에 태어나, 56억 7천만년 뒤에 세계에 태어나서 깨달음 얻기를 원하는 것으로, 법상종 계통에서 많이 행해졌다.
통교가(通敎家) : 성도문(聖道門)→불교를 크게 둘로 나누어 이 세상에서 성자가 되어 깨달음을 얻는 길(此土入聖)과 阿彌陀佛의 힘으로 그 淨土에 태어나서 깨달음을 얻는 길(彼土入證)로 구별한다. 此土入聖을 聖道門, 彼土入證을 淨土門이라 한다. 이 구별은 원래 唐의 道綽이 安樂集卷上에 서술했다. 淨土敎에서는 이 說에 따라 佛敎를 聖道 · 淨土의 2門으로 나눈다. .....통교사문(通敎四門)→이 敎는 비록 같이 如幻即空의 뜻을 배우나 4人의 觀法이 4門으로 같지 않다. (1) 有門 또는 實門이라 한다. 如幻即空이란 有即空이며 空即有이다. 이 중 空即有로써 道에 들어가는 것. (2) 空門 또는 不實門. 有即空으로써 道에 들어가는 것. (3) 亦有亦空門 또는 亦實亦不實門이라 함. 空과 有를 서로 비추어 道에 들어가는 것. (4) 非有非空門 또는 非實非不實門이라 함. 幻有도 幻空도 얻지 못하므로 空·有를 다 막음으로써 道에 드는 것.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종교(五宗敎) (0) | 2018.06.22 |
---|---|
외교(外敎) (0) | 2018.06.22 |
사유위상(四有爲相) (0) | 2018.06.21 |
세속에서 뛰어나는 법(불교성전) (0) | 2018.06.20 |
유념(有念) (0) | 2018.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