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해탈지견신(解脫知見身)

근와(槿瓦) 2018. 3. 12. 03:00

해탈지견신(解脫知見身)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五分法身의 제5. 에서 이 생기고, 에 의하여 지혜를 얻고, 지혜로 해탈에 도달하고, 해탈에 의하여 해탈의 知見을 얻는다. 부처님은 이 공덕으로 佛身을 형성하였고 자신이 참으로 일체 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난 자유 자재한 몸인 줄을 알므로 解脫知見身이라 한다.

 

참고

오분법신(五分法身) : 無漏5이라고도 한다. 無學(최고의 깨달음)의 자리에 이른 사람이 구비해야 할 다섯가지 공덕. 戒蘊(戒身·戒衆·戒品이라고도 부른다. ···複數를 나타냄. 이하 같음定蘊·慧蘊·解脫蘊·解脫知見蘊의 총칭. 解脫解脫知見을 모아서 解知見이라고도 한다.

소승불교 해석에 따르면 身業語業無漏淸淨이 되어(), ·無相·無願三三昧를 성취하고(), 正見·正知(漏智·無生智 正見과 상응하는 勝解를 얻고(解脫), 漏智·無生智를 얻는다(解脫知見)고 되어 있으나 근본은 불교교단에 들어가 육체적·정신적 욕망을 억제하고 마음을 寂靜하게 하여 지혜를 닦고 일체의 속박에서 해방되고 그 해방된 마음으로 말미암아 편안함을 스스로 의식하는 開悟境地로 깊숙이 들어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계정혜(戒定慧) : 佛道에 들어가는 세 가지 . 戒律 · 禪定 · 智慧의 준말. 이를 三學이라 이름한다.  · · 로 범하는 나쁜 짓을 방지하는 것. 은 산란한 마음을 한 경계에 머물게 하는 것. 을 깨뜨리고 진리를 깨닫기 위한  · 十二緣起 또는 眞如 · 實相하는 것이다.

따라서 계 · · 3학은 실천 방면에서도 불교의 모든 것을 포함하게 된다. 이 세 가지가 서로 도와 證果를 얻는 것이므로 에 의하여 을 얻고, 에 의하여 智慧를 얻는다.

또는 불교경전을 三學에 배당하여 經藏, 律藏, 論藏로 분류하는 도 있는데 이에는 異說이 있다.


해탈(解脫) : 毘木叉라고 음역. 풀려오다. 번뇌에 묶인 것에서 풀려 미혹의 에서 풀려서 나오는 것. 미혹의 세계를 넘는다는 뜻으로 度脫이라고도 한다.

본래는 열반과 같이 실천도의 究極境地를 나타내는 말이었다. 그러나 후세에 와서 여러 가지로 분류하여서 고찰하게 되었다.

예를 들면 有爲解脫(아라한 곧 해탈한 자가 확실히 了解하여서 인정하는 마음의 작용. 勝解)

無爲解脫(열반), 혹은 性淨해탈(중생이 본래의 모습에서 번뇌의 汚染에서 벗어나서 청정한 것)

障盡해탈(현실에서 번뇌때문에 그 본래의 청정이 오염되어 있어 그 번뇌를 끊고 해탈할 수 있는 것) 혹은 해탈(마음에 탐애를 여의는 것) 해탈(지혜에 의하여 무명 즉 無智에서 벗어나는 것

혹은 해탈(아라한이나 아직도 滅盡定이 아닌 것)해탈(아라한이 滅盡定을 얻는 것)

혹은 해탈과 不時해탈로 둘로 나누어 이것을 해탈이라고 한다. 煩惱해탈·邪見해탈 등의 해탈을 열거하기도 한다

귀로 불법을 듣고 해탈하므로 귀를 기울이여 불법을 듣는다고도 한다. 해탈의 眞味解脫味라고 한다. 그러나 해탈의 경지는 평등하고 차별이 없으므로 一味라고도 한다. 소승에선 해탈하는 데 아주 빠르면 3년이 걸린다고 하며 3년 해탈이라고도 한다. 또 여래를 眞解脫(진실한 해탈)이라 일컫는 것은 아라한(소승의 해탈)은 일부분의 해탈로 진실한 해탈이 아니므로 이와 같이 해탈을 하여도 그것에 집착하여 다른 사람을 유익하게 하지 못하는 자는 해탈의 깊은 구렁에 떨어진 자라고 한다.


지견(智見) : 正智見, 또는 知見이라고도 함. 意識에 의해 아는 것을 , 眼識에 의해 보는 것을 이라 한다. 推求, 覺了이라고도 한다. 三智, 五眼이라 한다. 事理證知하는 의 작용을 일컫는다.


불신(佛身) : 범어 buddha-kaya의 번역. 佛身.

佛身에 대해서는 불교도 사이에 여러 가지로 고찰되었다. 이것을 佛身論이라고 한다. 이미 釋尊在世時, 혹은 滅後 얼마 안되는 무렵부터, 석존은 보통인간이 아니고, 佛身은 보통 사람의 신체를 넘어선 원만함, 거룩함(三十二相, 八十種好), 신비로운 능력(十力, 四無所畏)을 가졌다고 생각했는데, 部派불교시대에 이르러 分別論者大衆部에서는 佛身無漏라고 하고, 壽量이나 威力 등은 無限大하다고 하였다.

이것은 佛陀의 육신 곧 生身에 대해서 말한 것으로 생각되지만 有部에서는 이와 같은 사고방식과는 반대로, 佛陀라 할지라도 그 生身은 역시 번뇌의 이기 때문에 有漏라고 보았다.

그러나 有部에서는 다른 방면에서 부처를 성취한 十力, 四無所畏 등의 功德法, 혹은 부처가 敎法無漏라고 하고, 이것을 法身이라고 이름 붙여 有漏生身과 구별하였다. 대저 法身이라 함은, 佛陀肉身이전의 심층으로부터 발견한 佛陀佛陀되게 하는 근거로서의, 보이지 않는 理佛을 말한다. 이와 같은 法身生身二身이라고 하는데, 有部 등에서 · · · 解脫 · 解脫知見의 다섯을 五分法身이라고 하는 것은 이와 같은 功德法으로서의 法身을 가리킨다.

大乘佛敎가 성립된 뒤부터는 佛身論은 급속한 발전을 보았다. 우선 法身의 내용이 변해서, 法性 · 眞如法身이라고 했다. 無箸金剛般若論經典은 곧 言說法身이라고 하고, 이에 대해 修行에 의해 깨달음을 얻으므로 비로소 나타나는 法身이라고 이름하여 두 가지 法身을 말하고 있는 것은 두 가지 法身을 차례로 열거하고 있다.

이와 같이 大乘이 성립된 뒤로는 眞如理體法身이라고 불렀는데, 다시 生身應身이라고 하고 또 이 양자 사이에 報身을 세웠으니 여기에 十地經論卷三, 梁譯攝大乘論卷下 등에 해 있는 法報應三身說이 성립했다.

法身은 또 法佛 · 法身佛 · 法性身 · 自性身 · 如如佛 · 如如身 · 實佛 · 第一身이라고도 하고, 眞身이라고도 한다. 有部에서 하고 있는 것과 같은 法身說은 대승불교에서도 그대로 받아들이고는 있지만은, 대승에서 말하는 法身說의 특색은 오히려 常住 · 眞實 · 普遍 · 平等理體眞如法性 혹은 如來藏을 세워서 法身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報身은 또 報佛 · 報身佛 · 受用身 · 受法樂佛 · 受樂報佛 · 食身 · 應身 · 第二身이라고도 한다. 보살로서 因位에 있었을 때에 세운 修行應報, 그 결과로 나타난 修樂로서, 예컨대 아미타불과 같은 것을 말한다. 報身大慧大定大悲로 하고, 無量色相 · 功德 · 樂相을 갖추고, 또 부처의 淨土는 이 報身으로 하여 성립되고 淨土에 있어서 보살이 의 즐거움을 받는 것도 또한 이것을 으로 한다고 한다. 智度論에서는 이것을 法性身 · 眞身 · 法性生身이라고도 칭하고 있고 또 梁譯攝大乘論卷上에서는 應身이라고도 하고 있다.

應身은 또 應佛 · 應身佛 · 應身如來 · 應化身 · 應化法身이라고도 한다. 중생의 根機(를 받는 사람의 先天的 능력과 그 性格)에 응해서 示現로서 예컨대 身長 十六尺(一丈六尺)의 석가모니불과 같은 경우를 말한다.

이들 三身의 상호관계는 흡사 달의 와 그 빛, 그리고 그 그림자와 같다고 하며, 이것을 一月三身이라고 한다. 法身理體唯一常住不變인 것을 달의 에 비유하고 報身의 지혜가 法身理體에서 생기어 일체를 비치는 것을 달의 빛에 비유하며, 應身은 변화하는 작용으로서 機緣에 따라서 나타나는 佛身이므로 달의 그림자가 물에 비치는 것에 비유한 것이다(念佛三昧寶王論卷中).

二身.

(1) 法身生身.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주로 小乘에서 말하는 것. 自性身自受用身을 합해서 法身이라 하고, 變化身他受用身을 합해서 生身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2) 法性身父母生身. 法性生身隨世間身, 法性生身佛隨衆生優劣現化佛, 眞身化身, 眞身應身을 말하기도 한다(智度論卷九, 卷三十 ). 전자는 앞의 것의 報身이고, 후자는 앞의 것의 生身(肉身)에 해당한다. 그래서 이런 경우의 化身應身과 한 가지이다. 法身報身이 나누어지기 이전의 양쪽의 성질을 갖춘 眞身 또는 果極法身이라고 하며, 이에 대해서 應身化身을 합해서 應身 또는 應化法身, 또는 方便法身이라고 하는 수도 있다.

三身.

(1) · · 三身.

(2) 法身應身化身. 合部 金光明經卷一. 먼저의 法身報身을 합해서 法身이라고 하고, 다시 따로 化身(이 중생의 根機에 따라 · · · 둥의 모습을 나타내고 의 모습을 취하지 않은 경우로, 變化身이라고도 한다)을 더한 것.

(3) 法身解脫身化身. 解深密經卷五. 法身佛果, 解脫身五分法身, 化身은 먼저 것의 應身으로 석존 등을 가리킴.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교(通敎)  (0) 2018.03.13
정정(正定)  (0) 2018.03.13
장교(藏敎)  (0) 2018.03.12
정어(正語)  (0) 2018.03.12
팔인(八忍)  (0) 2018.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