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듣는 놈은 어디에 있는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어떤 사람은 입만 열면 나는 선객(禪客)이라고 한다. 그러다가 「어떤 것이 선인가?」하고 물으면 어름어름하다가 마침내 입을 다물고 마니, 이 어찌 딱한 일이 아니며 굴욕이 아니랴. 버젖하게 불조(佛祖)의 밥을 얻어 먹고 본분사(本分事)를 까맣게 알지 못하면서 다투어 말귀나 세속 지식을 가지고 이러쿵저러쿵 떠들며 부끄러운 줄을 모른다.
또 어떤 자는 부모에게서 낳기전 본래면목은 찾으려 하지 않고, 두툼한 방석 위에 앉아 부질없이 품팔이 방아(졸고 있다는 뜻)나 찧으면서 복이 되기를 바라며 업장을 참회한다 하니, 도하고는 참으로 십만팔천리(十萬八千里 : 아득하게 멀다는 뜻, 즉 어긋난다는 말)이다.
어떤 사람은 마음을 한곳으로 굳히고 생각을 거두어 사물을 보고 공(空)으로 돌리며 생각이 일어나면 곧 눌러 막는다. 이런 견해는 공에 떨어진 외도(外道)이며 혼이 돌아오지 않는 산 송장이다. 어떤 사람은 망녕되이 성내고 기뻐하면서 보고 듣는 사물로써 명백히 알아마친 것을 삼고 일생 공부 다 마쳤다 하니, 내 잠깐 그런 사람에게 묻겠다.
「문득 죽음이 닥쳐와 불구덩이 속의 한줌 재가 되면, 성내고 기뻐하고 보고 듣는 놈은 어느 곳에 있는가?」
참고
초석(楚石) : 중국 승려. 이름은 梵琦, 자는 楚石이다. 원나라 叟端에게 법을 얻다. 75세로 명나라 3년(1370)에 입적.
시중(示衆) : 여러 사람에게 訓示함.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성전(楚石·示衆)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본래면목(本來面目)'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자리(743)-국어사전 (1) | 2024.01.07 |
---|---|
본래면목(本來面目,1045)-국어사전 (0) | 2022.02.18 |
무위진인(無爲眞人,674)-뉴사전 (0) | 2021.09.11 |
체(諦) (0) | 2017.07.19 |
본래면목(本來面目) (0) | 2016.12.14 |